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朝鮮王朝實錄 太白山史庫本)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151-2호
(1973년 12월 31일 지정)
수량848책
시대조선시대
관리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주소부산광역시 연제구 경기장로 28 (거제동,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朝鮮王朝實錄 太白山史庫本)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1973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2호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朝鮮王朝實錄 太白山本)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개요[편집]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역사적 사실을 일어난 순서대로 기술하는 역사서술의 한 방식)로 기록한 책이다.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있는 방대한 역사서이다.

이것은 조선시대 사회, 경제, 문화, 정치 등 다방면에 걸쳐 기록되어 있으며, 역사적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다. 또한 사료의 편찬에 있어서 사관이라는 관직의 독립성과 기술에 대한 비밀성도 보장되었다. 실록을 편찬하는 작업은 다음 왕이 즉위한 후 실록청을 열고 관계된 관리를 배치하여 펴냈으며, 사초는 임금이라 해도 함부로 열어볼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하였다. 사료가 완성된 후에는 특별히 설치한 사고(史庫:실록을 보관하던 창고)에 각 1부씩 보관하였는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었지만 20세기 초까지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오대산의 사고에 남아서 전해내려 왔다.

이 태백산본은 848책으로, 태조부터 명종까지 실록은 선조 36년(1603) 7월부터 39년(1606) 3월 사이에 전주사고본을 토대로 만든 4부 중 하나이다. 그 이후 고종 2년(1865)에 만든『철종실록』에 이르기까지 실록이 편찬되는 대로 첨가되어 온 것으로, 선조 39년(1606)부터 1910년 일제시대까지 계속 태백산 사고에 보관되어 왔다.

그러나 1930년 일제가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하였다가, 광복 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그대로 소장되었다가 이관되어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