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 (여말선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창(劉敞, ? ~ 1421년)은 고려조선 초의 인물로, 조선의 개국공신이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다. 초휘(初諱)는 유경(劉敬)이고 자(字)는 태화(太和) 호는 선암(仙庵),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생애[편집]

강릉부(江陵府) 우계현(羽溪縣)에서 태어났으며, 목은 이색(李穡)과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이었다.

1371년(공민왕 20) 문과에 급제해 성균학유(成均學諭)에 보직(補職)되었다가 성균박사(成均博士)로 승진한 후 문하주서(門下注書)로 옮겼다.

1375년(우왕 원년) 통례문지후(通禮門祗候)로 임명되었고, 이후 전공좌랑(典工佐郞), 예의정랑(禮儀正郞), 군부정랑(軍簿正郞)을 차례로 거쳤다.

1389년(공양왕 원년) 성균사예(成均司藝)로 임명되었고, 이후 호조의랑(戶曹議郞)과 성균좨주(成均祭酒)를 차례로 거쳤다.

1392년(태조 원년)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같은 해 대사성(大司成)으로 승진하고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1]

이듬해 사마시(司馬試)를 관장하여 박안신(朴安信) 등 99명을 선발했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 옮겼는데, 같은 해 사직하여 신선술(神仙術) 배우기를 청했으나 허락받지 못하고[2], 오히려 중추원좌부승지(中樞院左副承旨)로 발탁되었다.[1]

1395년(태조 4)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옥성군(玉城君)[3], 우부빈객(右副賓客)을 차례로 거쳤고[1][2], 이 무렵 유창으로 개명했다.

이후 승녕부윤(承寧府尹)으로 있다가 1402년(태종 2)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1404년(태종 4)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차례로 거쳤다.

이듬해 문과의 동지공거(同知貢擧)를 맡아 지공거(知貢擧) 이숙번(李叔蕃)과 함께 정초(鄭招) 등 33명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 해 다시 우부빈객에 임명되었으며, 1406년(태종 6) 해임될 때까지 쭉 그 자리에 있었다.

1407년(태종 7) 옥천군으로서 영가군(永嘉君) 권홍(權弘)과 함께 명에 사은사(謝恩使)로 갔다가 돌아왔고[4], 이듬해 태상왕(太上王)으로 있던 태조(太祖)가 훙하자 3년 동안 능을 지켰다.[1]

1410년(태종 10)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로 발탁되었고,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로 옮겼다.

이후 다시 옥천군으로 있다가 1413년(태종 13) 세자이사(世子貳師)에 임명된 듯하다.

1415년(태종 15)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으로 올려 봉해졌고, 이듬해 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상서문(上書文)을 올렸다.

1418년(태종 18) 다시 세자이사에 임명되었다가[4], 세종(世宗)이 즉위하자 다시 옥천부원군에 봉해졌다.

1421년(세종 3) 예문관대제학 류관(柳觀)과 함께 궤장(几杖)을 하사받았으며, 같은 해 졸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1]

가족 관계[편집]

  • 증조 - 유승비(劉承備)
    • 조부 - 유송백(劉松栢)
      • 아버지 - 유천봉(劉天鳳)
      • 어머니 - 전성무(田成茂)의 딸
        • 부인 -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증 좌찬성(左贊成) 이집(李集)의 딸
          • 아들 - 유인통(劉仁統) 장남
          • 아들 - 유인제(劉仁梯) 차남
          • 아들 - 유인길(劉仁吉)
          • 사위 - 류사눌(柳思訥, 1375년 ~ 1440년)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문숙공(文肅公)

관련 문화재[편집]

문희공 유창 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

송계서원

각주[편집]

  1. 『세종실록』
  2. 『태조실록』
  3. 이후 언제 고쳐 봉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405년(태종 5)부터 옥천군(玉川君)이란 작호가 등장한다.
  4. 『태종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