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탕산대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탕산대지진[편집]

기준[편집]

  1. 믿을 수 있는 높은 품질
    • 전문적인 기준이 적용된 잘 짜여진 글인가?
    • 주요한 사실과 세부사항, 문맥이 포함된 포괄적인 글인가?
    •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기반한 확인이 이루어진 인용을 통한 신뢰할 수 있는 글인가?
    • 편향된 시각이 없는 중립적인 글인가?
    • 주요한 내용의 변함이 없이 안정된 글인가?
  2. 세부적인 양식 기준: 편집 지침과 다음 조건에 적합하는가?
    • 도입부 문단에 전체 문서의 내용이 간단히 잘 요약되어 있는가?
    • 목차의 구성이 알찬가?
    • 인용이 일관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가?
  3. 멀티미디어: 저작권에 대한 설명이 충족하는 미디어 사용 정책에 일치하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있는가?
  4. 길이: 불필요한 세부사항 없이 주요 주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의견[편집]

의견 드립니다.
  • 도입부 부분을 최소 2~3 단락 이상으로 보충했으면 좋겠습니다. twotwo2019님이 만드신 다른 지진 문서도 최소한 단락이 2개 이상은 됩니다.
  • 아래는 제가 확인했을 때 출처가 없다고 보이는 문장만 따로 떼온 것입니다.
    • 탕산 지진#지진에서: "여진으로 무너진 건물에 갇힌 사람들과 건물에서 옷가지 등을 찾으러 돌아다닌 사람들이 사망했다."
    • 탕산 지진#지진에서: "이 지진은 탕산 단층의 북쪽 끝을 가로지르는 북북서를 주향으로 하는 사교단층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곳에서의 좌수향 움직임과 탕산 단층에서의 우수향 움직임은 서쪽과 동쪽의 지각괴가 함께 압축되면서 두 지진 사이의 지각괴가 남쪽으로 눌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탕산 지진#철도망 피해에서: "1975년 하이청 지진 이후가 되어서야 일부 대형, 중형 교량에 대한 일부 내진조치가 취해졌다."
    • 탕산 지진#사망자수에서: "지진으로 탕산시 당위원회 제1서기였던 리웨눙과 시당위원회 제1서기 대행 뉴융 등 지방 및 지자체 당지도자 10명도 사망했다."
  • 기념과 추모 문단과 영화 문단의 경우 서술할 내용이 많지 않을 경우 한 문단으로 합치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 같이 보기 문단에 있는 1976년 지진의 경우 문서를 만들어 주시던지, 아니면 지워주시던지 해야겠네요.
  • File: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ap with craton and tectonic elements final 3.png, File:Alarm dilemma.png 이 두 파일은 한글화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문화 대혁명}}에는 탕산 지진의 링크가 되어 있지 않은데, 넣으신 이유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Nt 2024년 5월 21일 (화) 00:36 (KST)[답변]
도입부를 보충했고, 출처 없는 문장은 출처 찾아서 추가했습니다. 문화대혁명과 본 지진이 깊은 관련이 있어서(#정치적 측면 참조) 틀을 넣었는데 중국어 쪽 참고해서 틀 내용을 보강하겠습니다. 같이 보기의 문서는 곧바로 생성하겠습니다. 파일의 경우에는 제가 그림 편집 프로그램이 없어 svg라면 편집하겠는데 png라 당장 바로 한글화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1일 (화) 11:58 (KST)[답변]
@Twotwo2019 기념과 추모 문단에 탕산지진유지기념공원에 대한 설명도 넣을 수 있지 않을까요? — Nt 2024년 5월 21일 (화) 19:31 (KST)[답변]
예완료 했습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1일 (화) 19:43 (KST)[답변]
이 경우는 2020년에 일어난 다른 지진에 비해 중요성이 엄청나긴 합니다만, 다른 위키백과의 표제어도 '1976년 탕산 지진'혹은 '탕산 대지진'인데다가 탕산 대지진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표제어를 탕산 지진으로 하는게 좋은지 의문스럽습니다. 표제어를 탕산 대지진으로 옮기고 '1976년 탕산 지진'을 병기하되, 탕산 지진은 넘겨주기 처리하는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2001:2D8:215:7199:0:0:1067:40B0 (토론) 2024년 5월 21일 (화) 09:49 (KST)[답변]
중국 측에서도 정부는 보통 단순 '탕산 지진'이라거나 7.28 탕산지진이라고 표기해서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1일 (화) 11:58 (KST)[답변]
해당 글의 제목은 1976년 탕산 지진이고 본문에서 탕산 대지진도 들어있는데요? 2001:2D8:21F:1F1:0:0:C9D:50A4 (토론) 2024년 5월 21일 (화) 12:17 (KST)[답변]
해당 글에서 탕산 지진은 단독 1회, 제목에 연도가 붙은채 1회, 탕산 대지진 단독 1회, 대지진은 탕산대지진에 포함된걸 빼고도 단독 2회 사용되어, 이미 문서 제목에서 서술 대상을 한정한 뒤에 쓰인것이라 단순 탕산지진이 중국(정부)에서 주로 쓰는 표기라는 근거로 보기 어렵습니다. 중국어 위키백과 표기등을 봐도 탕산대지진이 중국어권에서 많이 쓰이는 표기로 추측되고요. 2001:2D8:21F:1F1:0:0:C9D:50A4 (토론) 2024년 5월 21일 (화) 12:25 (KST)[답변]
제목을 '지진'으로 할지 '대지진'으로 할지에 대해서 @Twotwo2019님 나름의 기준이 있을 듯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지진 분야의 전문가시니까요. '대지진'을 제목으로 사용한 문서로는 간토 대지진, 2008년 쓰촨 대지진, 가마쿠라 대지진, 게이초 대지진, 가정대지진, 921 대지진, 안세이 대지진 등이 있네요. — Nt 2024년 5월 21일 (화) 19:27 (KST)[답변]
지진 규모가 크고 피해가 크면 얼추 '대지진'이라고 붙이는 것 같습니다. 중국공산당이랑 정부 쪽 홈페이지를 보니 대지진과 그냥 7.28 탕산지진, 탕산지진을 혼용해서 사용하네요. 그렇다면 "탕산대지진" 표기로 이동하겠습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1일 (화) 19:36 (KST)[답변]
띄어쓰기는 안 해도 되나요? — Nt 2024년 5월 21일 (화) 19:41 (KST)[답변]
복합고유명사.. 어렵긴 하네요. 규정상 단어별로 띄어야 하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고 하니 원래는 전부 띄어 쓰는 게 원칙이긴 하네요.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1일 (화) 19:46 (KST)[답변]
여쭤본 이유는 알찬 글 후보 토론 문서도 제목을 이동해야 해서 그렇습니다. 지금은 이동했고, 탕산대지진 문서 안에도 {{다른 뜻 넘어옴}}을 사용했습니다. — Nt 2024년 5월 21일 (화) 20:11 (KST)[답변]
의견 탕산대지진#지진 예측 문제에서 "... 두루뭉실해 대규모 사회적, 경제적 혼란을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혼란은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혼란은 탕산 지진 이후에 심해졌다."라는 문장이 있는데 혼란이라는 단어를 가지고 문장이 세 번 반복되어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간결하게 수정했으면 좋겠습니다. — Nt 2024년 5월 22일 (수) 00:03 (KST)[답변]
문장에서 반복 쓰인 단어를 바꿔서 교정해 보았습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5일 (토) 15:14 (KST)[답변]
감사합니다. 사진 한글화가 바로 이루어지지 못해 아쉬운 점은 있지만 저는 {{문화대혁명}}의 수정만 이뤄지면 일단 찬성을 하려고 합니다. — Nt 2024년 5월 28일 (화) 07:40 (KST)[답변]
예완료 틀에 대한 수정도 진행했습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8일 (화) 19:45 (KST)[답변]
찬성 감사합니다. — Nt 2024년 5월 28일 (화) 20:21 (KST)[답변]
찬성 --Heiliges (토론) 2024년 5월 29일 (수) 21:04 (KST)[답변]
의견 흥미로운 글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정치적 문제 문단과 #지진 예측 문제의 두 장(章)은 내용이 상당히 겹칠 뿐만 아니라 선후관계가 도치되어 있는 인상을 줍니다. 전체적인 서술을 읽어보면, (a) 1975년 하이청 지진은 사회주의 정부가 예측에 성공했지만 1976년 탕산대지진의 예측은 내·외부적 문제로 인해 실패했고, 이는 정부의 권위추락 등 여러 결과를 유발했다, (b) 탕산대지진 발생 직후 정부의 대처가 미흡하였으며 심지어 원조를 거부하기도 하였다는 두 가지 내용이 두 장을 이루고 있는데, 이 중에서 현재 '정치적 문제' 장의 첫 두 단락은 (a)에 해당하는 내용이고, 그에 이어지는 나머지 두 단락은 (b)에 해당하는 내용이며, '지진 예측 문제' 장은 전체적으로 (a)만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장을 적절히 재배치하여, (a)에 관한 내용이 서술구조상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b)에 관한 내용이 그 아래의 '재건' 장과 유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서술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게 독자들에게 다가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 SCMBD (토론) 2024년 6월 14일 (금) 13:5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