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驪州李氏 守拙堂派 門中 典籍 및 古文書)
대한민국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499호
(2017년 1월 5일 지정)
수량8冊 1枚
소유이동진
위치
경주 강동면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경주 강동면
경주 강동면
경주 강동면(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단구안계길 164-8
좌표북위 36° 2′ 37″ 동경 129° 14′ 58″ / 북위 36.04361° 동경 129.24944°  / 36.04361; 129.2494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驪州李氏 守拙堂派 門中 典籍 및 古文書)는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에 있는 전적 및 고문서이다. 2017년 1월 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99호로 지정되었다.[1]

지정사유[편집]

이번에 문화재로 신청된 자료는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의 넷째 손자인 수졸당 이의잠(守拙堂 李宜潛)의 후손가에 전해오는 전적 및 고문서이다. 이 가운데 문화재적 지정 가치가 있는 자료는 5종 8책의 전적과 1매의 고문서이다.[1]

속자치통감강목[편집]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 권27』(1책)은 북송 태조부터 원나라 순제까지의 408년 역사를 속찬해 27권으로 간행한 책 가운데 권27만 있는 잔본(殘本)이다. 초주갑인자본(初鑄甲寅字本)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서적으로서 역사학과 서지학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두공부칠언율시[편집]

두공부칠언율시(杜工部七言律詩)』(1책)는 원나라 우집(虞集)이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집에서 120수를 뽑아 주해한 책으로, 1443년(정통 8) 간행된 明판본을 저본으로 판각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내용 탈락과 훼손이 있지만 문학과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문원공회재선생년보[편집]

문원공회재선생년보(文元公晦齋先生年譜)』(1책)는『회재선생문집』의 연보와 부록 부분으로서 초간본 혹은 경주 중간본으로 추정된다.

영규률수[편집]

영규률수(瀛奎律髓), 권16∼19』(1책)는 원나라의 방회(方回)가 당과 송의 오언·칠언 율시 3,014수를 선택해 49주제로 편찬한 책이다. 전체 20권 가운데 영본(零本)으로 1475년(성종 6) 번각본의 후쇄본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 시(詩)학습서로 널리 읽힌 점에서 중요한 서적이다.

회재선생문집[편집]

1565년(명종 20)에 이전인(李全仁)이 이언적의 글을 정리하고 1566년에 이황이 쓴 행장을 붙여 정고본을 완성하였는데,『회재선생문집(晦齋先生文集), 권1∼13』(4책)은 1575년(선조 9)에 경주부에서 간행한 초고본이다. 회재(晦齋)의 사상과 행적을 연구하는 기본 자료이면서 서지학 연구의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1]

경상도유생응제[편집]

아울러, 고문서 「경상도유생응제(慶尙道儒生應製)」(1매)는 정조연간 경상도 유생들의 활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거시험의 응시 및 당락 등을 지역별로 파악한 희귀한 자료이다.[1]

의의[편집]

따라서 이상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의 전적 5종 8책과 고문서 1매를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1]

지정 내역[편집]

일련번호 명칭 재료 구조·형식
·형태
규격(cm) 수량 기타 특징
有形
文化財
499
驪州李氏 守拙堂派 門中
典籍 및 古文書
8冊 1枚
-1) 續資治通鑑綱目 卷27 金屬活字本 35.5×23.0cm 1冊 16세기 인출 추정,
初鑄甲寅字本
-2) 杜工部七言律詩 木版本 27.0×16.1cm 1冊 1443년 明판본을
저본으로 판각 추정
-3) 文元公晦齋先生年譜 木版本 33.6×22.0cm 1冊 초간본 또는 경주
중간본 추정
-4) 瀛奎律髓 卷16∼19 木版本 26.9×15.7cm 1冊 1475년 번각본의
후쇄본 추정
-5) 晦齋先生文集 卷1∼13 木版本 33.0×21.5cm 4冊 경주부 간행 초간본
-6) 慶尙道儒生應製 寫本 33.6×457.2cm 1枚 1790년경 추정

각주[편집]

  1. 경상북도 고시 제2017-11호, 《도지정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6096호, 5-14면, 2017-01-05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