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njang810/연습장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틀:Example farm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is the latest standard in the mobile network technology tree that produced the GSM/EDGE and UMTS/HSPA network technologies.[1][2] It is a project of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operating under a name trademarked by one of the associations within the partnership, th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LTE(Long Term Evolution)는 GSM/EDGE, UMTS/HSPA와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의 최신 표준이다.[3][4] LTE는 유럽 통신 표준 기관(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의 하나의 협회의 이름 아래 운영되는, 3GPP의 프로젝트이다.

The current gener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are collectively known as 3G (for "third generation"). Although LTE is often marketed as 4G, first-release LTE does not fully comply with the IMT Advanced 4G requirements. The pre-4G standard is a step toward LTE Advanced, a 4th generation (4G)[5] standard of radio technologies designed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speed of mobile telephone networks. LTE Advanced is backwards compatible with LTE and uses the same frequency bands, while LTE is not backwards compatible with 3G systems.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세대는 통틀어서 3G(3 세대)로 알려져 있다. LTE는 4G로 광고되지만, 처음으로 상용화되는 LTE는 IMT Advanced 4G 요구사항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pre-4G 표준은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무선 기술의 4세대(4G)[6] 표준인 LTE Advanced으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단계이다. LTE가 3G 시스템과의 하위호환성이 없는 반면 LTE Advanced는 LTE와의 하위호환성이 있고 3G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MetroPCS and Verizon Wireless in the United States and several worldwide carriers announced plans, beginning in 2009, to convert their networks to LTE. The world's first publicly available LTE-service was opened by TeliaSonera in the two Scandinavian capitals Stockholm and Oslo on the 14th of December 2009. LTE is a set of enhancements to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hich was introduc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Release 8. Much of 3GPP Release 8 focuses on adopting 4G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luding an all-IP flat networking architecture. On August 18, 2009, the European Commission announced it will invest a total of €18 million into researching the deployment of LTE and the certified 4G system LTE Advanced.[7]

미국의 MetroPCSVerizon Wireless 및 세계적인 통신회사들은 2009년 초부터 그들의 네트워크를 LTE로 변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세계에서 최초로 대중적으로 이용가능한 LTE 서비스는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에 의해 스칸디나비아의 두 수도인 스톡홀름오슬로에서 2009년 12월 14일에 개시되었다. LTE는 3GPP 릴리즈 8에서 도입된 UMTS를 향상시키는 기술의 집합이다. 3GPP 릴리즈 8 기술의 대부분은 All-IP 플랫 네트워킹 아키텍쳐를 포함하여 4G 이동통신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2009년 8월 18일, 유럽 위원회는 총 1800백만 유로를 LTE와 인증된 4G 시스템의 구축 연구에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8]

While it is commonly seen as a cell phone or common carrier development, LTE is also endorsed by public safety agencies in the US[9] as the preferred technology for the new 700 MHz public-safety radio band. Agencies in some areas have filed for waivers[10] hoping to use the 700 MHz[11] spectrum with other technologies in advance of the adoption of a nationwide standard.

휴대전화 또는 통신사의 개발사업에서 LTE 기술이 확산되어 가는 동안, LTE는 새로운 700MHz 공중안전 주파수 대역의 선호되는 기술로서 미국 공중안전기관에서 승인을 받았다.[12]

Overview/개요[편집]

The LTE specification provides downlink peak rates of at least 100 Mbps, an uplink of at least 50 Mbps and RAN round-trip times of less than 10 ms. LTE supports scalable carrier bandwidths, from 1.4 MHz to 20 MHz and supports both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an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LTE는 하향링크 최고 속도는 100Mbps, 상향링크 최고 속도는 50Mbps, RAN(Radio access network) round-trip time LTE는 100Mbps의 하향링크 최고 속도, 50Mbps외 상향링크 최고 속도, 10ms 이하의 RAN(Radio access network) round-trip time을 제공한다. 또한 반송파 대역폭을 1.4MHz에서 20MHz까지 조정이 가능하며, TDD와 FDD를 이용한 전이중통신을 지원한다.

Part of the LTE standard is the 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a flat IP-based network architecture designed to replace the GPRS Core Network and ensure support for, and mobility between, some legacy or non-3GPP systems, for example GPRS and WiMAX respectively.[13]

LTE 표준의 일부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이라고 불리며, 이는 GPRS 코어 네트워크를 대체하고 과거의 시스템이나 GPRS, WiMAX와 같은 비-3GPP 시스템 사이에서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플랫 IP 기반 네트워크 아키텍쳐이다.[13]

The main advantages with LTE are high throughput, low latency, plug and play, FDD and TDD in the same platform, an improved end-user experience and a simple architecture resulting in low operating costs. LTE will also support seamless passing to cell towers with older network technology such as GSM, cdmaOne, UMTS, and CDMA2000. The next step for LTE evolution is LTE Advanced and is currently being standardized in 3GPP Release 10.[14]

LTE의 주요 이점은 높은 처리량, 낮은 지연 시간, 플러그 앤 플레이, 같은 플랫폼에서 FDD와 TDD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향상된 end-user experience, 단순한 아키텍쳐, 그로 인한 낮은 운영비이다. LTE는 또한 GSM, cdmaOne, UMTS, CDMA2000와 같은 구형 네트워크 기지국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한다. LTE의 다음 단계는 LTE advanced이며, 현재 3GPP Release 10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14]

Current state/현재 상태[편집]

Much of the standard addresses upgrading 3G UMTS to 4G mobile communications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ly a mobile broadband system with enhanced multimedia services built on top.

표준의 대부분은 3G UMTS를 4G 이동통신 기술로 개선할 것이며, 4G는 근본적으로 상위에 향상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갖는 이동 광대역 통신기술이다.


In music theory, a diatonic scale (from the Greek διατονικός, meaning "[progressing] through tones", also known as the heptatonic prima) is a seven note, octave-repeating musical scale comprising five whole steps and two half steps for each octave, in which the two half step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either two or three whole steps. This pattern ensures that, in a diatonic scale spanning more than one octave, all the half steps are maxim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e. separated by at least two whole steps).

음악에서 온음계(Diatonic scale)(heptatonic prima로도 알려짐)은 일곱 개의 음으로 구성된 옥타브가 반복되는 음계로 옥타브마다 5개의 온음과 2개의 반음이 있다. 두개의 반음은 두개의 온음들과 세개의 온음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패턴은 온음게가 한 옥타브 이상 확장될 수 있게 해주며, 반음들은 모두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다.(예: 최소한 두개의 온음들에 의해 떨어져 있음)

징후와 증상[편집]

소화성 궤양은 위염과 동반하여 나타날 수 있다. 내시경 영상은 Esophagogastroduodenoscopy.

위염 환자 중 많은 사람들은 전혀 증상이 없다. 그러나, 상복부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통증은 둔중하거나, 어렴풋하거나, 타는 듯 하거나, 쪼는 듯 하거나, 쓰라리거나, 날카롭다.[15] 통증은 대개 상복부에서 나타나지만,[16] 상복부 좌측부터 등까지의 어느 곳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징후와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구역질
  • 구토] (구토가 있다면, 구토물이 맑고, 녹색 또는 노란색이며 피가 섞여 있을 수 있다. 피가 섞이는 정도는 염증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다.)
  • 트림 (트림이 통증은 그다지 완화시키지 않는다.)
  • 복부 팽만감
  • 포만감
  • 식욕 부진
  • 체중 감소

원인[편집]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가 있다. 그 밖에는 알콜, 코카인, 심각한 질병, 크론병 등이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편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전세계 인구의 과반수의 위장에 존재하고, 이로 인한 감염은 여러 위 십이지장 질병의 발병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위 점막에 대량 번식하면, 감염된 사람에게 만성 위염이 발생하고, 만성 위염 환자의 일부는 합병증으로 진행된다. (예: 궤양, 위장 신생물(neoplasias), 위장 외부 질환)[17] 그러나, 박테리아 감염자의 80 퍼센트 이상이 무증상이고, 자연 위장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18]

심각한 질병[편집]

위염은 큰 수술 또는 외상(쿠싱 궤양), 화상(컬링 궤양), 심각한 감염을 겪은 이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밴드를 이용한 체중 감량 수술 또는 소화관 재건술을 받은 사람에게서 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식단[편집]

매운 음식과 커피와 같은 특정 음식이 소화성 궤양의 발병에 어떠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는 없다.[19] 보통 먹어서 불편한 음식을 피하라고 권고한다.[20]

병태 생리학[편집]

급성 위염[편집]

급성 미란성 위염의 경우에는 전형적으로 점막 방호 손상으로 인한 표면 괴사의 이산적인 지점들이 있다.[21]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는 위장에서 에이코사노이드의 생합성을 담당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1(또는 COX-1)을 억제하여 소화성 궤양 형성의 가능성을 높인다.[22] 또한 아스피린과 같은 NSAID는 프로스타클란딘이라고 불리는 위를 보호하는 물질을 감소시킨다. 단기간에 사용되는 이러한 약물은 일반적으로 위험하지 않다. 그러나 정기적인 사용은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23] 또한, 패혈증, 저산소증, 외상 또는 수술로 인한 심한 생리적 스트레스("스트레스성 궤양")도 급성 미란성 위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됩니다. 이 형태의 위염은 입원 환자의 5 %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알코올 섭취가 만성 위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위의 점막 내벽을 침식한다. 저용량의 알콜은 염산 분비를 자극하나, 고용량의 알코올은 산 분비를 자극하지 않는다. [24]

만성 위염[편집]

만성 위염은 위 조직의 광범위한 문제를 말한다.[21] 면역계는 체내의 감염과 싸우는 단백질과 항체를 만들어 항상성 상태를 유지한다. 어떤 장애에서는 몸이 마치 외래 단백질이나 병원균인 것처럼 위를 겨냥한다. 이는 항체를 만들거나, 심한 손상을 입히거나, 위나 그 내벽을 파괴할 수도 있다. [23] 일부 경우, 소장에서 소화를 돕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즙은, 수술 중 유문이 제거되었거나 유문이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을 경우 위의 유문을 통해 들어가서 위염을 유발합니다. 위염은 또한 HIV, 크론병, 특정 결합 조직 장애, 신장 이상 또는 기타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1992 년 이후 만성 위염은 시드니 시스템에 따라 분류된다. [25]

화생성 위염(Metaplasia)[편집]

점액선의 화생(metaplasia)은 분화된 세포의 가역적 교체물로서, 위샘(gastric gland)이 심한 손상을 입어서 생기는 것으로, 위샘은 사라지고 점차 점액선으로 교체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위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것이 원인인지 결과인지는 불분명하며, 장의 화생은 전형적으로 만성 점막 손상에 반응하여 시작되며, 몸으로 확장 될 수 있다. 위 점막 세포는 장 점막과 유사하게 변하고 심지어 흡수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장상피화생은 조직 학적으로 완전 또는 불완전한 것으로 분류된다. 완전한 상피화의 경우, 위 점막은 조직학 및 기능면에서 양분을 흡수하고 펩타이드를 분비 할 수있는 소장 점막으로 완전히 변형된다. 불완전 화생증에서 상피는 대장의 조직에 가까운 조직학적 외양을 나타내며 종종 이형성(dysplasia)를 나타낸다.


  1. “An Introduction to LTE”. 3GPP LTE Encyclopedia. 2010년 12월 3일에 확인함. 
  2. “Long Term Evolution (LTE): A Technical Overview” (PDF). Motorola.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3. “An Introduction to LTE”. 3GPP LTE Encyclopedia. 2010년 12월 3일에 확인함. 
  4. “Long Term Evolution (LTE): A Technical Overview” (PDF). Motorola.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5. “Mobile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Wikipedia. 2010년 6월 16일에 확인함. 
  6. “Mobile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Wikipedia. 2010년 6월 16일에 확인함. 
  7. “European Commission pumps €18 million into LTE research | Wireless News”. Betanews. 2010년 3월 24일에 확인함. 
  8. “European Commission pumps €18 million into LTE research | Wireless News”. Betanews. 2010년 3월 24일에 확인함. 
  9. “NPSTC Votes To Endorse LTE Technology for Broadband Network” (PDF). 《National Public Safety Telecommunications Council》. 2009년 6월 10일. 
  10. “PS Docket No. 06-229” (PDF).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2009년 8월 14일. 
  11. “700 MHz Public Safety Spectrum”. Fcc.gov. 2009년 6월 12일. 2010년 3월 24일에 확인함. 
  12. “NPSTC Votes To Endorse LTE Technology for Broadband Network” (PDF). 《National Public Safety Telecommunications Council》. 2009년 6월 10일. 
  13. 《LTE – an introduction》 (PDF). Ericsson. 2009. 
  14. 《LTE – An End-to-End Description of Network Architecture and Elements》. 3GPP LTE Encyclopedia. 2009. 
  15. “Gastritis Symptoms”. eMedicineHealth. 2008. 200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16. “Gastritis”. 《National Digestive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December 2004. 2008년 10월 6일에 확인함. 
  17. Kandulski A, Selgrad M, Malfertheiner P (August 2008).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 clinical overview”. 《Digestive and Liver Disease》 40 (8): 619?26. doi:10.1016/j.dld.2008.02.026. PMID 18396114. 
  18. Blaser, M. J. (2006). “Who are we? Indigenous microbes and the ecology of human diseases” (PDF). 《EMBO Reports》 7 (10): 956?60. doi:10.1038/sj.embor.7400812. PMC 1618379. PMID 17016449. 
  19. Pennsylvania, editors, Raphael Rubin, M.D., Professor of Pathology, David S. Strayer, M.D., Ph. D., Professor of Pathology, Department of Pathology and Cell Biology, Jefferson Medical College of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hiladelphia, Pennsylvania ; Founder and Consulting Editor, Emanuel Rubin, M.D., Gonzalo Aponte Distinguished Professor of Pathology, Chairman Emeritus of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nd Cell Biology, Jefferson Medical College of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hiladelphia, (2012). 《Rubin's pathology : clinicopathologic foundations of medicine》 Six판.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23쪽. ISBN 9781605479682. 
  20. Holdsworth, [edited by] Joan Gandy, Angela Madden, Michelle (2012). 《Oxford handbook of nutrition and dietetics》 2판.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USA. 571쪽. ISBN 9780199585823. 
  21. “Gastritis”. Merck. January 2007. 2009년 1월 11일에 확인함. 
  22. Dajani EZ, Islam K (August 2008).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toxicity of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s in man” (PDF). 《J Physiol Pharmacol.》. 59 Suppl 2: 117?33. PMID 18812633. 
  23. Siegelbaum, Jackson (2006). “Gastritis”. Jackson Siegelbaum Gastroenterology. 200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24. Wolff G (1989). “[Effect of alcohol on the stomach]” [Effect of alcohol on the stomach]. 《Gastroenterol J》 (독일어) 49 (2): 45?9. PMID 2679657. 
  25. Mayo Clinic Staff (2007년 4월 13일). “Gastritis”. MayoClinic. 2008년 11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