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Beomjunc/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광천(佛光川)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하천으로 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에 걸쳐 흐른다. 삼각산 비봉에서 발원하여 서울 은평구 불광동을 기점으로 역촌, 응암, 증산, 북가좌, 성산동을 거쳐 흐른다. 본래는 한강의 제1지류로, 난지도로 유입되었으나 하천 정비로 홍제천에 합류 후 제2지류가 되어 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구파발로 이어지는 강 상류는 복개구간이며, 응암역 신사오거리부터 강이 드러난다. 현재 불광천의 길이는 9.21km이다. 비가 와야 물이 흐르는 건천(乾川)인 불광천은 한때 쓰레기와 악취로 가득했지만, 2002년 오수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지하수를 끌어올려 물이 흐르게 함으로써 자연 하천으로 탈바꿈했다. 하천변을 따라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운동 기구를 설치하고 갖가지 꽃나무·수초를 심어 주민들의 휴식처로 사랑받고 있다.


이름[편집]

불광천은 불광동(佛光洞) 지명의 유래와 같이 인근 불광사(佛光寺)에서 이름을 따왔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연서내, 연신내, 까치내 등이 있으며, 한자로 연서천(延曙川)이라고도 하였다. 이는 조선 인조반정 때 거사에 참여하기로 한 장단부사 이서(李曙)가 약속장소인 이곳에 늦게 도착했다 하여 붙여졌다 한다.[1] 능양군(綾陽君:인조)이 이서를 맞이하였다고 하여 영서천(迎曙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광동에서는 연서내, 증산동에서는 까치내로 각각 불렸다..

역사 [편집]

불광천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는 없지만, 겸재 정선 [2]의 작품을 통해 주변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불광천은 예부터 모래내, 홍제천과 맞닿아 한강으로 흘러들었다. 이곳은 지금의 수색, 화전 지역이며 이 곳은 저지대였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당시 한강 폭이 넓어지는 것처럼 보였는데, 이 모양이 호수처럼 넓어 보인다 하여 서호(西湖)라고 불렀다. 서호지역과 반대편 안양천은 한강에 흙모래를 잔뜩 실어 왔는데 결국 이 곳에 모래섬이 생기게 된다. 이 섬이 지금의 난지도다.


재탄생 [편집]

건천이던 불광천은 서울 도시화 된 후 생태하천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 2002 한일 월드컵은 불광천을 생태하천으로 거듭나게 했다. 2002 한일월드컵을 앞두고 서울시는 경기장 일대 불광천, 홍제천을 자연 생태하천으로 복원하기로 한다(당시 서울의 대표적인 생태하천으로 양재천이 있었는데, 양재천은 불광천 하천복원의 중요한 롤모델이었다) 그 당시 도심 속 생태하천 조성이 크게 유행했다. 생태하천 복원 작업은 서울 전 지역에서 이루어졌는데, 불광 홍제천을 포함하여 창릉천, 중랑천, 탄천 등도 생태하천으로 복원 대상이었다. 지금 서울의 랜드마크로 자리잡은 청계천은 이런 서울시의 하천복원 프로젝트의 화룡정점이라 할 수 있다(참고로 청계천 복개 작업은 월드컵이 끝난 다음 해인 2003년 7월 1일, 고가도로 철거로 시작했다). 1999년 11월, 불광천 복원 계획이 발표된다. 당시 목표는 ‘불광천을 포함해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 부근 난지천, 홍제천을 2002한일 월드컵 개최이전까지 생태지구로 조성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2000년 9월까지 전체적인 도시 설계 방향을 설정한 후 월드컵 이전까지 공사 작업을 마무리 하는 과정이었다. 도시를 디자인 하는 것 치고는 조금 갑작스러웠는지 계획 수립 단계에서 우려가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당시 불광천을 ‘갈대가 우거지고 물고기가 노니는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조성하려 했는데, 하천정비 후 안정화 기간 등을 포함하면 공기에 맞추기에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기 했다.(정책에 대한 우려표명은 어느 때나 있는 일이다. 단순히 공사 기간을 맞출 수 있느냐 하는 문제도 중요하다. 사실 당시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난지도 조립주택 주민 철거 문제였다)

생태하천[편집]

당시 불광천 정비와 관리방식은 치수 위주였다. 생태하천 복원은 자연환경 보전과 친수환경 조성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자생식물 군락지 조성 사업을 통해 악취를 줄였고, 수질개선, 정화기능을 통해 스스로 자생하는 불광천으로 거듭났다. 물길을 곡선형으로 만들어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건천(乾川)이었던 불광천은 연신내역 등 4개 지하철 역사에서 배출되는 지하수와 독바위 골의 계곡수 등을 끌어들여 조성했다. 지금 연신내 옆 앞에는 물빛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 역시 불광천 하천 복원과 함께 조성됐다. 역 앞 녹지대 4백 25평에 통일로(서울역에서 시작되는 도로는 서대문 홍제 불광 연신내를 거쳐 문산까지 이어진다)를 연상할 수 있도록 “일출형 분수”와 소나무 동산 등을 건설했다. 여기서 사용된 수경시설의 물이 불광천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참고로 이 당시 연신내 역 앞 공원조성은 여의나루역과 함께 추진됐으며 두 곳 모두 ‘물빛공원’이라는 이름을 공유하고 있다.


산책로&자전거길[편집]

도심 하천으로서 계획을 완성한 후 불광천은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2008년 8월 불광천을 비롯한 10개 지천에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고 이를 한강까지 연결하는 자전거도로망 계획이 수립된다. 이 계획은 2001년 말까지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당시 하천변 자전거도로 총 길이는 106.043KM였고 이를 2001년 상반기까지 152.544KM로 늘리기로 했다. 당시 불광천은 안양천, 홍제천, 도림천, 양재천, 성내천 과 함께 2000년 말까지 지천의 기존 자전거도로를 한강과 연결시키기로 한다(나머지 4개 지천인 중랑천 청계천, 탄천, 여의천 역시 다음해인 2001년 도로연결 사업을 시작했다). 불광천은 현재 강 하류에서 홍제천과 만나 성산, 난지지구로 이어진다. 시간이 지나고 2002년 5월, 월드컵 개막을 한달여 앞두고 불광천 산책로가 완성된다. 불광천 하류방면에 한강까지 이어지는 산책로를 조성해 불광천 양쪽에 산책로가 조성된다. 이곳에는 체력단련시설, 건강지압보도 등을 마련해 주민들이 애용하게 했고, 징검다리 7곳을 설치해 불광천 좌우를 오갈 수 있게 했다. 시민들의 자전거도로 이용이 잦아지면서 불광천과 홍제천을 연결하는 다리를 개설하기로 한다(자전거용 징검다리가 있기 전까지 시민들은 불광천에서 홍제천으로 넘어가기 위해 자전거를 들고 징검다리를 건너야했다...). 2004년, 징검다리가 개설되면서 지금과 같은 불광천 하류의 형태가 완성된다.


활용 [편집]

벚꽃 에너지테마파크

주변지역 [편집]

응암동 감자탕골목

서울월드컵경기장

디지털미디어시티

난지공원

홍대

  1. 지금도 이 지역에는 도로명주소로 연서로를 쓰고있으며, 연서시장이 위치하고 있다.
  2. 겸재 정신이 남겨놓은 옛 한양에 대한 자료는 동아일보에서 연재한 겸재정선이 본 ´한양진경´(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444)에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