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간 주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언어학에서 행간 주석(行間註釋, 영어: interlinear gloss)은 예문과 그 의역의 행간에 형태소마다 붙여지는 축차번역(逐次飜譯)을 가리킨다. 주해(註解) 또는 주석(註釋)이라고도 말한다.

주요 규칙[편집]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와 라이프치히 대학의 언어학 부문에 의해 다음 10가지 약속이 제안되었다.

  1. 예문과 행간주석은 각 어휘마다 왼쪽으로 정렬한다.
  2. 예문과 행간주석에서 형태소의 경계를 붙임표(-)로 표시한다. 예문과 행간주석에서 접어의 경계는 등호로 표시한다.
    1. 형태적으로 자립하지 않지만 음운적으로는 독자의 말인 요소는, 반각공백과 하이픈으로 표시해도 좋다.
  3. 행간주석에서 문법적 형태소는 약호(略號)로 표시한다. 약호는 대문자(특히 작은 대문자)로 표기한다. 번역도착어에 대응하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을 사용하여 번역해도 좋다.
  4. 예문의 한 요소가 행간주석에서 복수의 요소에 대응하는 경우, 행간주석의 축차번역(逐次飜譯)을 마침표로 나눈다.
    1. 예문의 한 형태소가 번역도착어에서 복수의 요소로밖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축차번역을 밑줄문자(_)로 나눈다.
    2. 예문의 한 형태소가 명백히 구별되는 복수의 의미기능을 가지는 경우, 그 축차번역을 세미콜론으로 나누어도 좋다.
    3. 예문에서 복수의 형태소를 나누지 않고 제시하고 싶은 경우, 행간주석에서는 그 축차번역을 콜론으로 나누어도 좋다.
    4. 예문의 한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의 연결과 관계 없는 교체에 따라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경우, 그 축차번역을 백슬래쉬로 나누어도 좋다.
    5. 동작주(動作主)의 논항과 피동작주의 논항의 인칭 등을 동시에 나타내는 굴절접사가 있는 경우, 그 축차번역에 「>」를 써도 좋다. 「>」 앞에 동작주적 논항을, 뒤에 피동작주적 논항을 나타낸다.
  5.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형태소가 이 순서로 나타나는 경우, 마침표로 나누지 않는다.
  6. 제로요소에 대응하는 축차번역은 대괄호로 둘러싼다. 혹은, 예문에 제로기호로 표시한다.
  7. 내재석인 문법범주(문법적 성 따위)를 축차번역하는 경우, 소괄호로 둘러싼다.
  8.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요소(접주사 따위)는 같은 행간주석을 반복한다. 혹은, 한 쪽에 특별한 레이블을 붙인다.
  9. 접요사는 「< >」로 둘러싼다.
  10. 중첩물결표로 나눈다.

약어[편집]

다음은 행간주석에서 쓰이는 약호의 일부의 목록이다.

Leipzig Glossing Rules Oxford Handbooks Online[1] 영어 의미
1 first person 1인칭
2 second person 2인칭
3 third person 3인칭
a agent-like argument of canonical transitive verb 표준적인 타동사의 동작주적 논항
abs absolutive 절대격
acc accusative 대격
actfoc - Actor focus 행위자 초점
ad - adessive (en)  처격
all allative 향격
art article 관사
ben benefactive 수혜자격
caus causative 사역형; 사역동사; 원인격
circ - circumfix 접주사
clf classifier 분류사
com comitative 수반격
cond conditional 조건…
- conj conjunctive 접속법; 접속사
conn 연결사
cop copula 계사
cvb converb (en)  부동사(副動詞)
dat dative 여격
dem demonstrative 지시사
det determiner 한정사
du dual 쌍수
erg ergative 능격
excl exclusive 제외
f feminine 여성
foc focus 초점
gen genitive 속격
imp imperative 명령
incl inclusive 포함
ind indicative 직설법
inf infinitive 부정사(不定詞)
ins instrumental 구격
- inter interrogative 의문사, 의문…
ipfv imperfective 미완료상
irr irrealis 불확정법, 비현실상
loc locative 처소격
neg negative 부정
nmlz nominalizer/nominalization 명사화
nom nominative 주격
m masculine 남성
obj object 목적어
obl oblique 사격
p patient-like argument of canonical transitive verb 표준적인 타동사의 피동작주적 논항
pass passive 수동태; 수동형; 수동태
pfv perfective 완료상
pl plural 복수
poss possessive 소유격
pred predicative (en)  술사; 서술어
pret - preterite 과거
prf perfect 완료상
prog progressive 진행형; 진행상
proh prohibitive 금지(법)
prs present 현재
pst past 과거
ptcp participle 분사
- ptl particle 불변화사
purp purposive
- red reduplication 중첩
rel relative 관계사
- rem remote
- rls realis (en)  현실상
s single argument of canonical intransitive verb 표준적인 자동사의 단일논항
sbj subject 주어
sbjv subjunctive 가정법
sg singular 단수

[편집]

예문은 모두 Leipzig Glossing Rules을 따른 것으로, 번호는 #주요 규칙의 각 조항에 대응한다. 선두에 *가 붙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서식임을 나타낸다.

(1)    인도네시아어
Mereka  di  Jakarta  sekarang 
그들  에  자카르타  지금 
그들은 지금 자카르타에 있다
(2)    레즈기어
Gila  abur-u-n  ferma  hamišaluǧ  güǧüna  amuq’-da-č 
지금  그들-obl-gen  밭  영원히  나중에  남다-fut-neg 
이제 그들의 밭은 영원히 나중에 남지 않는다
(2)'    그린란드어
palasi=lu  niuirtur=lu 
사제=와  상점주=와 
사제도 상점주도
(2-1)    라이어
a-nii -láay 
3sg-웃다-fut 
그(녀)는 웃는다
(3)    러시아어
Мы  с  Марко  поеха-л-и  автобус-ом  в  Переделкино 
1pl  com  마르코  가다-pst-pl  버스-ins  all  페레젤키노 
우리  와  마르코  가다-pst-pl  버스-로  에  페레젤키노 
마르코와 함께 나는 버스로 페레젤키노(영어판)에 갔다.
(4-1)    튀르키예어
çık-mak 
come.out-inf 
come_out-inf 
to come out
(4-2)    라틴어
insul-arum 
섬-gen.pl 
섬들의
(4-3)    히타이트어
n=an  apedani  mehuni  essandu 
conn=him  that.dat.sg  time.dat.sg  eat.they.shall 
conn=him  that:dat;sg  time:dat;sg  eat:they:shall 
they shall celebrate him on that date.
(4-4)    아일랜드어
bhris-is 
pst.부수다-2sg 
pst\부수다-2sg 
네가 부수었다
(4-5)    자민중어
nanggayan  guny-bi-yarluga? 
누구  2du.a.3sg.p-fut-찌르다 
누구  2du>3sg-fut-찌르다 
너희 두 명은 누구를 창으로 찌르고 싶은가
(5)    이탈리아어
and-iamo 
가다-prs.1pl 
우리는 간다
(6)    라틴어
puer 
소년[nom.sg
소년
(7)    훈지브어
oz#-di-g 
boy-obl-ad 
소년 때문에 나무가 굽었다.
(8)    독일어
ge-seh-en 
ptcp-보다-ptcp 
보여지다
(9)    타갈로그어
b<um>ili 
<actfoc>사다 
산다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Glossing Rules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7년 4월 3일 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