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1]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아강: 수아강
하강: 유대하강
목: 주머니쥐목
과: 주머니쥐과
아과: 주머니쥐아과
속: 그라킬리나누스속
종: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
(G. microtarsus)
학명
Gracilinanus microtarsus
(Wagner, 1842)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1]의 분포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브라질그라칠레주머니쥐(Gracilinanus microtarsus)는 브라질에서 발견되는 작은 주머니쥐의 일종이다.

특징[편집]

브라지그라칠레주머니쥐는 비교적 작은 주머니쥐로 수컷 몸길이는 86cm와 129cm 사이이고 암컷은 81~116cm이다. 꼬리 길이는 몸길이의 30~50% 정도이다. 수컷 몸무게는 17~52g, 암컷은 12~37g 정도이다.[3] 몸 전체 대부분은 붉은빛의 짙은 갈색 또는 회색을 띠며, 하체는 연한 크림색이다. 얼굴의 털도 비교적 연한 색을 띠며, 독특하게도 눈 둘레에 검은 털이 둥글게 나 있다. 꼬리는 물건을 쥘 수 있는 힘이 있고 비늘 모양의 털이 나 있지만, 일부 다른 동물들처럼 꼬리에 지방을 저장하지는 않는다. 발가락은 비교적 작고, 발톱은 작은 평범하다. 암컷은 보통 15개의 젖꼭지를 갖고 있으나 정확한 수는 아니며, 그 중에 4개는 가슴에 있고 배 중앙에 1개가 있다.[4]

분포 및 서식지[편집]

브라질에서만 발견되며, 이스피리투산투주부터 히우그란지두술주까지 지역 남부와 동부 지역에서 서식한다.[4] 열대 우림과 일부는 세하도 생태구 남부 지역의 탈락성 숲에 산개되어 서식하고, 땅에서도 성공적으로 먹이를 구할 수 있으며, 순수하게 나무 위에서만 생활하는 동물들보다 숲 서식지의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5] 농장 지역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알려진 아종은 없다.

습성[편집]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며, 야행성 동물로 낮에는 나무의 구멍 속에서 시간을 보낸다.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 생활하는 동물이며, 서식하는 영역권 범위는 0.03~0.32 헥타르(ha)로 서식지마다 다르다. 수컷이 암컷보다 좀더 넓은 영역권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수컷이 더 커서 먹이가 더 필요하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4]

각주[편집]

  1. Gardner, A.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Gracilinanus microtars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3. Costa, L.P.; 외. (2003). “Phylogeography and systematic notes on two species of gracile mouse opossums, genus Gracilinanus (Marsupialia: Didelphidae) from Brazil”.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6: 275–292. 
  4. Pires, M.M.; 외. (2010). Gracilinanus microtarsus (Didelphimorphia: Didelphidae)”. 《Mammalian Species》 42 (1): 33–40. doi:10.1644/851.1. 2013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1일에 확인함. 
  5. Vieira, E.M. & Monteiro-Filho, E.L.A. (2003). “Vertical stratification of small mammals in the Atlantic rain forest of south-eastern Brazil”. 《Journal of Tropical Ecology》 19 (5): 501–507. doi:10.1017/S0266467403003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