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평양 함대의 전투 서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미국 태평양 함대전투 서열를 모았다.

1908년[편집]

1909년 1월 1일자 목록는 1980년 목록에서 변화를 나타내었다: USS 찰스턴 (C-22)는 편성표에서 재적되었다. 장갑순양함 USS 사우스다코타 (ACR-9)가 제2분대에 추가되었다. 제4분대는 재적되었다. 태평양 어뢰함대(Pacific Torpedo Fleet)는 독립적으로 지휘받는 것으로 기술되었다.[1]

1941년 12월 7일[편집]

태평양 함대의 1941년 12월 7일자 전투 서열은 다음와 같다:[2]

태평양 함대, 전투부대[편집]

전함대[편집]

이들 9척의 전함은 intended to counterbalance the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 10척에 대한. 진주만 공격으로 펜실베이니아는 정비를 받기 위해 건선거에 들어가고, 콜로라도는 워싱턴주의 브레머튼 해군공창(영어판)로 보내졌다.

항공기대[편집]

When the attack took place, all three carriers were absent – 새러토라 was in 샌디에고 collecting her air group following a major refit, 엔터프라이즈 was en route back to Hawaii following a mission to deliver aircraft to 웨이크섬, while 렉싱턴 had just departed on a similar mission to 미드웨이.

순양함대[편집]

구축함대[편집]

태평양 함대, 순찰군[편집]

순양함부대[편집]

잠수함대[편집]

항공기대[편집]

1945년 5월 1일[편집]

1945년 5월 1일 태평양 전쟁 막바지의 미국 태평양 함대 조직은 다음과 같다:[4]

태평양 함대 및 태평양 지역[편집]

  • 총사령관: 함대제독 체스터 W. 니미츠
  • 부사령관: VADM J. H. Towers
  • 참모장: VADM C. H. McMorris
  • 기함: USS 펜실베이니아 (BB-38), 함장: Captain C. F. Martin
  • [[태평양 구축함대], 사령관: RADM W. L. Ainsworth
  • 태평양 전함대
    1. 제1전함전대 전대장: VADM J. B. Oldendorf
    2. 제2전함전대 전대장: VADM W. A. Lee, Jr.
  • 태평양 함공모함 태스크포스
    1. 제1함공모함 태스크포스 (Com1stCarTaskForPac) - VADM M. A. Mitscher
    2. 제2함공모함 태스크포스 (Com2ndCarTaskForPac) - VADM J. S. 맥캐인
  • 태평양 함대, 모터어뢰정전대(s), 사령관: Capt. R. W. Bates

제1함대[편집]

실제 제1함대가 설립된 것은 아니고, 태스크포스 순번대 10~19을 쓰기 위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함대로, 종전 이후에 전시 동원해제 이후에 1947년 1월 1일에 제3, 5함대를 병합하여 실체화했다.

  • 태스크포스 10: 함대장: (태평양 함대 총사령관 겸임)
  • 태스크포스 11: 남태평양 부대: VADM W. L. 칼훈
  • 태스크포스 12: 없음
  • 태스크포스 13: 태평양 수륙양용군: VADM R. K. Turner
  • 태스크포스 14: 태평양 함대운영훈련사령부: RADM F. C. Denebrink
  • 태스크포스 15: 태평양 함대 순양함대: RADM W. L. Ainsworth
  • 태스크포스 16: 태평양 근무군: VADMl W. W. Smith
  • 태스크포스 17: 태평양 잠수함군: VADM C. A. Lockwood, Jr.
  • 태스크포스 18: 태평양 함대, 기뢰정(s)(ComMinPac): RADM A. Sharp
  • 태스크포스 19: 태평양 해군 항공군: VADM G. D. Murray

제3함대[편집]

  • 함대장: 제독 윌리엄. F. 할시
  • 참모장: RADM R. B. Carney
  • 태스크포스 30: (함대사령관)
  • 태스크포스 31-59: (배정된 부대 없음)

제5함대[편집]

  • 함대장: 제독 R. A. 스프루언스
  • 참모장: RADM A. C. Davis
  • 태스크포스 50: (함대사령관)
  • 태스크포스 51-59: (배정된 부대 없음)

제7함대[편집]

제7함대는 종전을 맞이할 때까지 남서태평양 지역 사령부의 지휘통제를 받았다.

  • 사령관: VADM 토머스. C. 킨케이드
  • 부사령관: RADM C. E. 밴 후크
  • 참모장: Commo. H. Schaeffer
  • 태스크포스 70: 함대사령관
  • 태스크포스 71 잠수함대: RADM J. 파이프 주니어
  • 태스크포스 72 근무부대: RADM R. O. Glover
  • 태스크포스 73 항공대장: RADM F. D. Wagner
  • 태스크포스 74 순양함대: RADM R. S. Berkey
  • 태스크포스 75 필리핀 해역대장: RADM J. L. Kauffman
  • 태스크포스 76: 수륙양용부대: RADM D. E. Barbey
    • 제6전단장: RADM F. B. 로열
    • 제8전단장: RADM W. M. Fechteler
    • 제9전단장: RADM A. D. Struble
  • 호위기뢰정전대장: Capt. J. D. Beard
  • 모터어뢰정전대장: Comdr. S. S. Bowling
  • 함대훈련사령부: Comdr. A. G. W. McFadden
  • 제7함대 상륙부대, 행정사령부: Capt. H. J. 넬슨

제9함대[편집]

  • 제9함대 함대장: (태평양 함대 총사령관 겸임)
  • 태스크포스 93: 태평양 해역 전략 항공군 - 미국 육군 소장 W. H. Hale
  • 태스크포스 94: 중앙태평양 전방지역 - V. Adm. J. H. 후버
  • 태스크포스 95: 없음
  • 태스크포스 96: 마셜-길버트 부대 - R. Adm. W. K. Harrill
  • 태스크포스 97: 하와이 해양 국경대 - V. Adm. D. W. Bagley
  • 태스크포스 98: 하와이 방위구역 - 미국 육군 중장 로버트 C. 리처드슨 주니어

북태평양 부대[편집]

  • 사령관: VADM 프랭크 잭 플레처
  • 참모장: Captain R. E. 로빈슨 주니어
  • 부사령관: RADM R. F. 우드 (알래스카 해양 국경대 겸임)
  • 태스크포스 90: 북태평양 부대, 항공기대 - 미국 육군 항공대 소장 D. 존슨
  • 태스크포스 91: 알래스카 해양 국경대(Sea Frontier Forces)
  • 태스크포스 92:
    • R. Adm. J. H. Brown (D)
    • Capt. H. L. Thompson (R)

태스크포스 90-92는 태평양 함대 총사령관, 미국 함대 총사령관, 해군작전부장인 체스터 니미츠 함대제독이 북태평양 부대에 배정하였다.

남태평양 부대[편집]

  • 남태평양 지역 및 남태평양 부대
    • 사령관: VADM W. L. 칼훈
    • 참모장: Commodore R. P. 클래스
  • 남태평양 부대 근무전대
    • 전대장: RADM P. Hendren
    • 참모장: Captain F. 클로즈

1989년 전투 서열[편집]

1991년 6월, 불타는 철야 작전[편집]

1995년 수상함 재배치[편집]

1995년 10월 1일, 미국 태평양 함대의 수상함은 6개 핵심 전투단과 8개 제구축함전대로 재조직. 영구적인 핵심 전투단들은 전투단 사령관을 포함하여, 항공모함, 항공모함 항공단(CAW)와 최소 두척의 순양함을 갖춘다.[5]

참고[편집]

  1. Keith Allen. “Notes on U.S. Fleet Organisation and Disposition, 1898-1941”. 《The World War I Document Archive》 (영어). 2023년 6월 22일에 확인함. 
  2. “United States Navy, 8 / 7 December 1941”. 《niehorster.org》 (영어). 2005년 11월 30일. 2019년 4월 20일에 확인함. 
  3. “Destroyers, Battle Force Destroyer Flotilla 1”. 《niehorster.org》 (영어). 2023년 6월 2일에 확인함. 
  4. “United States Pacific Fleet Organization - 1 May 1945” (영어).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5. “Pacific Fleet Changes”. 《Kitsap Sun》 (영어). 1995년 7월 25일. 2013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