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

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
(聞慶 鄭東潤 古文書 및 遺物)
대한민국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479호
(2013년 8월 19일 지정)
수량27枚 4冊 5點
시대조선시대
소유정지홍
위치
문경 견탄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문경 견탄리
문경 견탄리
문경 견탄리(대한민국)
주소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150
좌표북위 36° 38′ 48″ 동경 128° 09′ 57″ / 북위 36.64667° 동경 128.16583°  / 36.64667; 128.16583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聞慶 鄭東潤 古文書 및 遺物)은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고문서 및 유물이다. 2013년 8월 19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79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문화재로 지정 신청된 자료는 문경 호계면에 세거(世居)하던 경주인 정동윤(鄭東潤, 1696∼1782)과 그 후손 등이 남긴 교지(敎旨), 시권(試券), 호구단자(戶口單子), 고서(古書), 지석(誌石) 등의 일괄(一括) 유물이다. 고문서의 경우, 시대는 18세기 전반에서 19세기 후반의 자료들이다. 고서 가운데, 세종 때 정인지 등이 역대 사적에서 정치에 귀감이 될 만한 사실을 모아서 엮은 『치평요람(治平要覽)』, 김종직이 신라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126가(家)의 시(詩) 503수(首)를 정선(精選)하여 간행한『점필재정선청구풍아(佔畢齋精選靑丘風雅)』, 당나라 두보의 시집(詩集) 주석서인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등 3종은 임란 이전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이다.[1]

정동윤(鄭東潤)과 정경구(鄭庚九)는 문경 지역에서 주목 받는 인물로서 이들과 관련된 고문서는 문화재적 가치가 있으며, 고서 가운데 임란 이전에 간행된 금속활자본 3종은 비록 낙질본이나 전존본(傳存本)이 매우 희귀하므로 이들 유물을 일괄(一括)(36점(點) : 고문서 27枚(매), 고서 4책(冊), 묘지석 5점(點))하여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로 지정한다.[1]

지정 내역[편집]

일련번호 명칭 재료 구조·형식
·형태
규격(cm) 수량 기타 특징
유형
문화재
479
聞慶 鄭東潤
古文書 및 遺物
36點(27枚 4冊 5點)
-1) 敎旨
(鄭東潤 紅牌)
98×65 1매 雍正
13(1735)
幼學 鄭東潤
文科丙科26人
-2) 敎旨
(鄭東潤 告身)
55×78 1매 乾隆
8(1743)
朝散大夫 兼
延曙道察訪
-3) 敎旨
(鄭東潤 告身)
51×73 1매 乾隆
38(1773)
折衝將軍行龍
驤衛副護軍
-4) 敎旨(鄭東潤
告身)
54×75.5 1매 乾隆
38(1773)
折衝將軍僉知
中樞府事
-5) 敎旨
(鄭東潤 告身)
54×75 1매 乾隆
38(1773)
通政大夫
-6) 敎旨(余氏
追贈)
56×80 1매 乾隆
38(1773)
鄭東潤 妻:
余氏 贈淑夫人
-7) 敎旨
(鄭東潤 告身)
54×75 1매 乾隆
40(1775)
嘉善大夫
-8) 敎旨
(鄭東潤 告身)
53×79 1매 乾隆
41(1776)
嘉義大夫
-9) 敎旨
(鄭庚九 白牌)
86×47 1매 道光
11(1831)
生員三等
33人
-10) 試券 70×108 1매 講經(四書三經)
試券
-11) 試券 70.5×291 1매 讀書如鍊丹賦
(2張으로 分離)
-12) 試券 76×154 1매 禮義
君子在車則聞
鸞和之
-13) 戶籍單子 54.5×56 1매 乾隆
12(1746)
-14) 戶籍單子 56.5×52 1매 乾隆
20(1755)
-15) 戶籍單子 60×42 1매 乾隆
26(1761)
-16) 准戶口 57×40 1매 乾隆
36(1771)
-17) 准戶口 54×42 1매 乾隆
36(1771)
-18) 戶籍單子 55×39 1매 乾隆
38(1773)
-19) 戶籍單子 55×43 1매 乾隆
39(1774)
-20) 戶口單子 41×62.5 1매 道光
2(1822)
鄭敏行: 鄭庚九
初名
-21) 戶口單子 47×57 1매 道光
7(1827)
-22) 戶籍單子 52.5×70 1매 道光
14(1834)
-23) 戶籍單子 45.5×72 1매 道光
14(1834)
-24) 戶籍單子 53×74 1매 道光
17(1837)
-25) 戶籍單子 39×54 1매 道光
20(1840)
-26) 戶籍單子 55.5×61 1매 道光
23(1843)
-27) 准戶口 49×36.7 1매 乾隆
39(1774)
鄭彦諶: 정동윤
次子
-28) 乙卯式年文武科
榜目
芸閣印書體
字本
29×17 1책 1735년 四周雙邊, 半郭
21×13.4 cm,
有界,
10行19字,
上白魚尾
-29) 治平要覽(卷29) 금속
활자본
28.5×19 1책 1516년 四周雙邊, 半郭
22.6×14.8 cm,
有界,
12行21字,
黑口,
內向三葉花紋
魚尾
-30) 佔畢齋精選靑丘
風雅(卷1-3)
금속
활자본
29.5×19.5 1책 16세기
중엽
四周單邊, 半郭
23.2×15.3 cm,
有界,
11行20字,
內向三葉花紋
魚尾
-31) 纂註分類杜詩
(卷8-9)
금속활자본 30×20 1책 1523년 四周雙邊, 半郭
22.6×15.6 cm,
有界,
10行20字,
註雙行,
內向三葉花紋
魚尾
-32) 誌石(鄭東潤) 瓷器 平板 120×170.5
×20
1점 高宗甲申
(1904)
-33) 誌石(鄭庚九) 瓷器 平板 120×175×
20
1점 高宗甲申
(1904)
-34) 誌石(鄭彦台) 瓷器 平板 120×170.5
×20
1점 高宗甲申
(1904)
-35) 誌石(順天金氏) 瓷器 平板 100.5×170.
5×20
1점 高宗甲申
(1904)
鄭復亨(鄭彦台
子)의 妻
-36) 誌石(豊山柳氏) 瓷器 平板 100.5×170
×20
1점 高宗甲申
(1904)
鄭汝弼(鄭復亨
子)의 妻

각주[편집]

  1. 경상북도 고시 제2013-356호, 《도지정문화재 지정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5758호, 2013-08-19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