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알칼리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사성 알칼리증
대번포트 다이어그램
진료과신장내과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은 조직의 pH가 정상 범위(7.35-7.45)보다 큰 쪽으로 올라가는 대사 장애이다. 수소 이온 농도 감소로 인해 중탄산염 농도가 올라가거나, 중탄산염 농도가 바로 올라간 결과 발생한다. 즉 세포외액에 염기가 쌓이거나 산이 소실되면 발생할 수 있다.[1] 콩팥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다.

증상과 징후[편집]

경증의 대사성 알칼리증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중등도에서 중증의 대사성 알칼리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감각 이상, 신경근 흥분, 테타니, 부정맥(대부분 저칼륨혈증 등의 전해질 이상으로 인해 발생), 혼수, 발작, 섬망 등이 있다.

원인[편집]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은 소변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 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2]

염소 반응성 (소변 염소 농도 < 25 mEq/L)[편집]

  • 수소 이온의 소실 – 구토나 콩팥을 통한, 두 가지 기전을 통해 가장 자주 일어난다.
    • 구토의 내용물인 염산(수소 이온과 염소 이온의 결합)이 소실되게 만든다. 병원에서는 코위관 삽입 시 흔히 일어난다.
    • 심각한 구토는 칼륨 이온 소실(저칼륨혈증)이나 나트륨 이온 소실(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킨다. 콩팥은 집합관주세포에서 수소 이온을 사용해 소실된 나트륨과 칼륨을 보상한다. 나트륨-칼륨 펌프는 칼륨을 더 많이 잃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수소 이온이 사용되며 대사성 알칼리증을 유발한다.[3]
  • 선천성 염화물 설사 – 산증 대신 알칼리증을 일으키는 드문 형태의 설사이다.[4]
  • 수축 알칼리증탈수 상황 등에서 세포외공간에서 물이 소실되어 발생한다. 세포외액의 용적이 감소하면 레닌-안지오텐신계를 활성화시키며, 알도스테론은 콩팥의 네프론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유발하여 물도 함께 재흡수되도록 만든다. 그러나 알도스테론의 이차적인 작용은 수소 이온은 배설시키고 중탄산염을 보존하는 것이므로, 수소 이온 손실로 인해 pH가 올라간다.
    • 이뇨제 치료고리 이뇨제티아지드 등의 이뇨제는 체액을 소실시켜 수축 알칼리증을 일으킬 수 있다. 운동선수들 이나[5] 섭식장애 환자들 사이에서 이뇨제를 남용하는 경우[6] 대사성 알칼리증이 발생할 수 있다.
  • 고이산화탄소혈증 이후 – 환기저하로 인해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고이산화탄소혈증과 호흡성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콩팥보상에서는 중탄산염을 이용하여 산증의 효과를 약화시킨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면 높아진 중탄산염 농도로 인해 환자가 대사성 알칼리증에 걸릴 수 있다.
  • 낭포성 섬유증으로 NaCl이 너무 많이 소실되면 수축 알칼리증과 동일하게 세포외액 용적과 염화물이 감소한다.[7]
  • 알칼리성 약제 – 중탄산염(소화성 궤양, 위 식도 역류병 등에서 처방)과 같은 알칼리성 약제나 제산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알칼리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염화물 규정이 안되는 알칼리증[편집]

  • 혈액 제제 투여 - 혈액 제제에는 시트르산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고 이 물질이 대사되면 중탄산 나트륨이 된다. 일반적으로 8 units보다 많은 양의 투여가 이루어졌을 때 알칼리증이 발생한다.[7]

염화물 저항성 (소변 염소 농도 > 40 mEq/L)[편집]

보상[편집]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은 주로 호흡을 느리거나 얕게 하는 환기저하(호흡보상)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덜 내보내는 방식으로 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이산화탄소는 그 후 탄산을 형성하여 pH를 감소시킨다.

대사성 알칼리증의 콩팥보상은 호흡보상보다 덜 효율적이다. 중탄산염의 여과부하가 세뇨관의 재흡수 능력을 넘게 되며 중탄산염 배설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콩팥보상이 이루어진다.

대사성 알칼리증 환경에서 예상되는 pCO2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pCO2 = 0.7 [HCO3] + 20 mmHg ± 5
  • pCO2 = 0.7 [HCO3] + 21 mmHg[11]

치료[편집]

대사성 알칼리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원인 질환을 교정해야 한다.

참고 문헌[편집]

  1. Galla, John H. (2000년 2월 1일). “Metabolic Alkalo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영어) 11 (2): 369–375. doi:10.1681/ASN.V112369. ISSN 1046-6673. PMID 10665945. 
  2. “Alkalosis, Metabolic: eMedicine Pediatrics: Cardiac Disease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9년 5월 10일에 확인함. 
  3. Hennessey, Iain. Japp, Alan.Arterial Blood Gases Made Easy. Churchill Livingstone 1 edition (18 Sep 2007).
  4. Hirakawa, M.; Hidaka, N.; Kido, S.; Fukushima, K.; Kato, K. (2015). “Congenital Chloride Diarrhea: Accurate Prenatal Diagnosis Using Color Doppler Sonography to Show the Passage of Diarrhea”. 《Journal of Ultrasound in Medicine》 34 (11): 2113–2115. doi:10.7863/ultra.15.01011. ISSN 0278-4297. 
  5. Cadwallader, Amy B; De La Torre, Xavier; Tieri, Alessandra; Botrè, Francesco (September 2010). “The abuse of diuretics as performance-enhancing drugs and masking agents in sport doping: pharmacology, toxicology and analysis: Diuretics in sport doping”.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61 (1): 1–16. doi:10.1111/j.1476-5381.2010.00789.x. 
  6. Mascolo, Margherita; Chu, Eugene S.; Mehler, Philip S. (April 2011). “Abuse and clinical value of diuretics in eating disorders therapeutic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4 (3): 200–202. doi:10.1002/eat.20814. 
  7. Bates, C. M.; Baum, M.; Quigley, R. (1997년 2월 1일). “Cystic fibrosis presenting with hypokalemia and metabolic alkalosis in a previously healthy adolescen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8 (2): 352–355. ISSN 1046-6673. PMID 9048354. 
  8. Lee, In Hee; Noh, Sin Young; Kang, Gun Woo (2016년 6월 30일). “Milk-alkali syndrome secondary to the intake of calcium supplements.”.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영어) 33 (1): 48–51. doi:10.12701/yujm.2016.33.1.48. 
  9. Miller's Anesthesia, 8th Edition, Chapter 60, 1811–1829
  10. Cho Kerry C, "Chapter 21. Electrolyte & Acid-Base Disorders" (Chapter). McPhee SJ, Papadakis MA: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11: http://www.accessmedicine.com/content.aspx?aID=10909.
  11. Hasan, Ashfaq. "The Analysis of Blood Gases." Handbook of Blood Gas/Acid-Base Interpretation. Springer London, 2013. pp. 253–26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