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샘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뇌하수체 선종
진료과종양학, 내분비학, 신경과, 신경외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빈도0.0757%

뇌하수체 샘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s)은 뇌하수체에 생기는 종양의 일종으로, 성인에서 뇌하수체 호르몬의 과다 및 과소분비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대부분의 뇌하수체 종양은 양성이며 약 35%는 침습성이며 0.1%~0.2%만이 암종이다.[1] 뇌하수체 선종은 모든 두개내 신생물의 10~25%를 차지하며 일반 인구의 추정 유병률은 약 17%이다.[1][2]

비침습성 및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임상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자 그대로 양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최근의 메타 분석(Fernández-Balsells, et al. 2011)에 따르면 이 가정을 뒷받침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낮은 품질의 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10mm(0.39in)를 초과하는 선종은 거대선종으로 정의되며, 10mm(0.39in)보다 작은 선종은 미세선종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뇌하수체 선종은 미세선종이며 추정 유병률은 16.7%(부검 연구에서 14.4%, 방사선 연구에서 22.5%)이다.[2][3] 대부분의 뇌하수체 미세선종은 종종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진단된 것들은 종종 부수적인 소견으로 발견되며 우발종(incidentalomas)이라고 한다.

뇌하수체 거대선종은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4][5]

뇌하수체 선종은 일반 인구의 약 6명 중 1명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흔한 반면, 수술 치료가 필요한 임상적으로 활동성 뇌하수체 선종은 일반 인구의 약 1,000명 중 1명에 이를 정도로 미치는 영향이 드문 편이다.[6]

임상 양상[편집]

  • 두통
  • 시야장애
  • 외안근 마비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시상하부 침범 시 체온 조절 장애, 식욕/갈증 장애, 요붕증,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편집]

프로락틴샘종을 제외하고는 수술이 원칙이다.

각주[편집]

  1. Pituitary Tumors Treatment (PDQ®)–Health Professional Version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2. Ezzat S, Asa SL, Couldwell WT, Barr CE, Dodge WE, Vance ML, McCutcheon IE (August 2004). “The prevalence of pituitary adenomas: a systematic review”. 《Cancer》 101 (3): 613–9. doi:10.1002/cncr.20412. PMID 15274075. S2CID 16595581. 
  3. Asa SL (August 2008). “Practical pituitary pathology: what does the pathologist need to know?”.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132 (8): 1231–40. doi:10.5858/2008-132-1231-PPPWDT. PMID 18684022. 
  4. Higham CE, Johannsson G, Shalet SM (November 2016). “Hypopituitarism”. 《Lancet》 388 (10058): 2403–2415. doi:10.1016/S0140-6736(16)30053-8. PMID 27041067. S2CID 208791062. 
  5. Hyperthyroidism unmasked several years after the medical and radiosurgical treatment of an invasive macroprolactinoma inducing hypopituitarism: a case report. L Foppiani, A Ruelle, P Cavazzani, P del Monte – Cases Journal, 2009
  6. Daly AF, Rixhon M, Adam C, Dempegioti A, Tichomirowa MA, Beckers A (December 2006). “High prevalence of pituitary adenomas: a cross-sectional study in the province of Liege, Belgium”.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1 (12): 4769–75. doi:10.1210/jc.2006-1668. PMID 16968795.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