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대방산 봉수대

남해 대방산 봉수대
(南海 臺方山 烽燧臺)
대한민국 경상남도기념물
종목기념물 제248호
(2003년 6월 12일 지정)
수량1기
시대조선시대
위치
남해 대방산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남해 대방산
남해 대방산
남해 대방산(대한민국)
주소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옥천리 산75번지
좌표북위 34° 51′ 32″ 동경 127° 59′ 13″ / 북위 34.85889° 동경 127.98694°  / 34.85889; 127.98694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남해 대방산 봉수대(南海 臺方山 烽燧臺)는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옥천리, 대방산에 있는 조선시대의 봉수대이다. 2003년 6월 1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48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창선면 대방산 정상부에 있다. 봉수대로 오르는 길은 옥천에서 오르는 동쪽로, 사포에서 오르는 서쪽로와 상신리에서 오르는 북쪽로가 있다. 금산 봉수대에서 받아 사천의 각산 봉수대로 이어주는 중계지이다. 이 봉수대의 조응관계를 진주목장 창선도 지도에는 남해 금산봉수와 진주 각산봉수에 두고 있다.

대방산 봉수대의 높이는 8.6m, 둘레 13.6m이다. 문헌기록으로 보면 1455년에서 1468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1895년 5월 9일 각 처의 봉수대와 봉수군을 군부의 주청에 따라 없애라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대방산 봉수대 역시 이 때 없어진 것이 확실하다.

지정 사유[편집]

경상도지리지 등 문헌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전기에 축조된 5거식 봉수대로 중앙 원형 망대와 5개의 연대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으며 남해 금산, 설흘산, 창성 옥천, 창선 사포, 사천 각산으로 이어지는 간봉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도기념물로 보존·관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1]

현지 안내문[편집]

봉수는 높은 산에 올라가서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燧)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시대의 통신제도이다. 이 제도는 처음에 외적의 침입을 알리는 군사적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한국에서는 기록상 고려 중기(12,3세기)에 이 제도가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실시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한국에서 봉수제가 체계적으로 정비된 때는 왜구의 침입이 극심했던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 이후였다.

대방산 산정부에 위치한 대방산 봉수대는 고려 명종(1171~1197)때 설치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봉수대는 조선시대 다섯 곳의 봉수로 가운데서 동래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제2봉수로에 속한 것으로, 남해 금산봉수대로부터 연결 받은 봉수를 북쪽의 사천 각산 봉수대로 연결하고 있다. 현재 봉수대의 원형은 찾을 수 없지만, 이곳이 봉수대 자리였음을 알려주는 지름 13m, 높이 3m의 석축과 연대로 추정되는 유지, 그리고 건물터 가 남아 있다.[2]

각주[편집]

  1. 경상남도고시제2003-171호, 《도 문화재 등 확정고시》, 경상남도지사, 2003-06-12
  2.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