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녁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녁쥐속에서 넘어옴)

과녁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과: 쥐과
아과: 쥐아과
족: 아르비칸티스족
속: 과녁쥐속
(Stochomys)
Thomas, 1926
종: 과녁쥐
(S. longicaudatus)
학명
Stochomys longicaudatus
(Tullberg, 1893)

학명이명

Mus sebastianus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과녁쥐(Stochomys longicaudatus)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과녁쥐속(Madromys)의 유일종이다.[2] 베넹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적도기니, 가봉, 나이지리아, 토고, 우간다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습윤 저지대 숲이다.

특징[편집]

일반명은 엉덩이 뒤로 돌출된 여러 개의 길고 빳빳한 털이 과녁에 꽂힌 화살대를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명 세바스티아누스(Mus sebastianus)는 나무에 묶인 채 화살을 맞은 초기 기독교 순교자 세인트 세바스티아누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털은 진하고 불그스레한 갈색을 띠며, 꼬리는 아주 길다.[3]

분포 및 서식지[편집]

과녁쥐는 중앙아프리카 서부의 습한 열대 우림 지역의 토착종이다. 분포 지역은 토고부터 베넹과 나이지리아를 거쳐 콩고 분지까지, 동쪽으로 우간다 서부까지 지역이다.[1] 숲의 습지 지역과 대상림, 물가 근처에서 발견된다. 마을과 바나나 농장 주변의 이차림에서도 발견된다.[3]

생태[편집]

과녁쥐는 주로 야행성이며, 땅에서 녹색 식물과 떨어진 과일 그리고 보조적으로 약간의 곤충을 먹이로 구한다. 과녁쥐의 무리 생활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카메룬에서 15마리의 무리가 오일 팜 농장의 한 곳에서 붙잡혔다. 연중 번식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

보전 상태[편집]

과녁쥐는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지며, 흔하게 발견되는 종이다. 대형 개체군을 가지고 특별히 알려진 위협 요인은 없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4]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아르비칸티스족

인도덤불쥐속

적갈색코쥐속

매부리코쥐군

매부리코쥐속

과녁쥐속

아프리카덤불쥐군

아프리카덤불쥐속

섀기쥐군

섀기쥐속

그랜트바위쥐속

바위쥐군

바위쥐속

민무늬풀밭쥐군

해링턴쥐속

네줄무늬풀밭쥐속

아프리카구치쥐속

펠로미스속

줄무늬풀밭쥐속

민무늬풀밭쥐속

각주[편집]

  1. Boitani, L. (2008). “Stochomys longicaudat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6.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2.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Jonathan Kingdon (1984).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Volume 2, Part B: Hares and Roden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99쪽. ISBN 978-0-226-43720-0. 
  4.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doi 10.1186/1471-2148-8-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