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세포탁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새 문서: {{Drugbox | Watchedfields = changed | verifiedrevid = 477378418 | IUPAC_name = (6''R'',7''R'',''Z'')-3-(Acetoxymethyl)-7-(2-(2-aminothiazol-4-yl)-2-(methoxyimino)acetamido)-8-oxo-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 image = Cefotaxime.svg | width = 200 | image2 = Cefotaxime-from-PDB-6C79-3D-bs-17.png <!--Clinical data--> | pronounce = {{IPAc-en|ˌ|s|ɛ|f|ə|ˈ|t|æ|k|ˌ|s|iː|m}}{{refn|{{MerriamWebsterDictionary|access-date=2016-01-21|Cefotaxime}}}} | tradenam...
(차이 없음)

2024년 5월 14일 (화) 07:19 판

세포탁심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6R,7R,Z)-3-(Acetoxymethyl)-7-(2-(2-aminothiazol-4-yl)-2-(methoxyimino)acetamido)-8-oxo-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63527-52-6
ATC 코드 J01DD01
PubChem 5479527
드러그뱅크 DB00493
ChemSpider 4586392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6H17N5O7S2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cefotaxime sodiu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n/a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생물학적 반감기 0.8~1.4시간
배출 50~85% 콩팥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1(오스트레일리아)[1]B(미국)[1]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투여 방법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세포탁심(Cefotaxime)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 식물 조직 배양에서 발생하는 여러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이다.[2] 특히 사람의 경우 관절 감염, 골반염, 뇌수막염, 폐렴, 요로감염증, 패혈증, 임질, 연조직염 등에 쓰인다.[2] 정맥이나 근육 주사로 투여한다.[2]

흔한 부작용에는 구역질, 알레르기 반응, 주사 부위 염증 등이 있다.[2] 다른 부작용에는 디피실리균 감염증이 있다.[2] 페니실린 투여 후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했던 환자에게는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2] 따라서 세포탁심, 혹은 다른 세팔로스포린 계열 약물로 인해 쇼크가 온 병력이 있을 시 투여하지 않는다.[3] 임신이나 수유 중 사용은 비교적 안전하다.[2][4]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에 속하며,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작용한다.[2]

1976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판매가 시작된 것은 1980년이다.[5][6]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7]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2]

참고 문헌

  1. “Cefotaxime (Claforan)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4월 5일. 2019년 12월 24일에 확인함. 
  2. “Cefotaxime Sodium”.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3. “대웅세포탁심나트륨주1g”. 《약학정보원》. 2024년 5월 13일에 확인함. 
  4. Hamilton R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87쪽. ISBN 9781284057560. 
  5. Newbould BB (2012). 〈The Future of Drug Discovery〉. Walker BC, Walker SR. 《Trends and Changes in Drug Research and Development》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9쪽. ISBN 9789400926592. 2016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494쪽. ISBN 9783527607495.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외부 링크

  • “Cefotaxim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