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rivacy"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태그: 되돌려진 기여 nowiki 추가됨 내용 번역 내용 번역 2
LR0725 (토론 | 기여)
잔글 Garongronga(토론)의 편집을 LR0725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대체됨 일괄 되돌리기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사생활 (드라마)||드라마|}}
[[파일:IllinoisTelephoneAndTelegraphAd.png|thumb]]
'''프라이버시'''(privacy)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프라이버시를 '''사생활'''(私生活)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사생활은 개인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보호하는 측면을 강조하는데 반해, 프라이버시는 개인의 정보를 공개 또는 비공개할 수 있는 선택적 권리를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사생활'보다는 '프라이버시'가 좀 더 적극적인 개념이다.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대개가 [[서양 문화]], 특히 영국과 북아메리카와 관련되어 있다. 일부 연구가들에 따르면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프랑스, 이탈리아같은 기타 서유럽 문화를 떼어놓더라도 [[앵글로아메리카]] 문화와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ref>http://www.gramota.ru/biblio/magazines/gramota/28_520</ref> 이 용어가 서부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지만, 프라이버시 용어 자체가 최근까지도 일부 국가에서는 사실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화는 더 넓은 사회와 공유하지 않는 자신만의 보이지 않는 정보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다.
[[파일:Bansky_one_nation_under_cctv.jpg|대체글=see caption|섬네일| [[뱅크시|Banksy]] 의 ''One Nation Under CCTV'' 낙서, 실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카메라 옆]]
<nowiki>{{Short description|Seclusion from unwanted attention}}</nowiki>


인터넷이 발전되면서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법학 교수이자 저자인 제프리 로젠은 "인터넷은 컴퓨터가 모든 온라인 사진, 상태 업데이트, 트위터 게시물 및 블로그 항목을 영원히 저장할 수 있는" 시대에 프라이버시에 대한 새로운 우려를 가져왔다"고 말한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nytimes.com/2010/07/25/magazine/25privacy-t2.html|제목=The Web Means the End of Forgetting|성=Rosen|이름=Jeffrey|날짜=2010-07-21|뉴스=The New York Times|언어=en-US|issn=0362-4331|확인날짜=2021-03-20}}</ref>
<nowiki>{{redirect|Private information|personally identifying information|Personal information|information transmitted privately|Secrecy|the 1952 film|Private Information{{!}}''Private Information''|other uses|Privacy (disambiguation)}}</nowiki>


== 같이 보기 ==
<nowiki>[[File:Bansky one nation under cctv.jpg|thumb|upright=1.5|alt=see caption|[[Banksy]]'s ''One Nation Under CCTV'' graffiti, adjacent to an actual [[CCTV]] camera]]</nowiki>
* [[개인 생활]]
* [[사생활 침해]]
* [[인터넷 프라이버시]]
* [[대중 감시]]
* [[베리칩]]


== 외부 링크 ==
<nowiki>'''</nowiki>Privacy<nowiki>'''</nowiki> (<nowiki>{{IPA-cen|UK|ˈ|p|r|ɪ|v|ə|s|iː}}</nowiki>, <nowiki>{{IPA-cen|US|ˈ|p|r|aɪ|-}}</nowiki>)<nowiki><ref>{{cite LPD|3}}</ref></nowiki><nowiki><ref>{{cite EPD|18}}</ref></nowiki>는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이나 자신에 대한 정보를 비밀에 부치고, 이에 따라 자신을 선택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다.
{{위키공용분류}}
* [https://www.ted.com/talks/glenn_greenwald_why_privacy_matters/transcript?language=ko TED - 글렌 그린왈드 - 사생활이 중요한 이유]


== 각주 ==
개인정보 보호의 영역은 부분적으로 <nowiki>[[보안]]</nowiki>과 겹칩니다. 이는 정보의 적절한 사용과 보호 개념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는 또한 <nowiki>[[신체적 무결성]]</nowiki>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각주}}


{{프라이버시}}
역사를 통해 다양한 <nowiki>[[개인정보]]</nowiki>에 대한 관념이 존재해 왔습니다. 대부분의 문화에서 개인이 자신의 일부를 공공 기록으로부터 숨길 권리를 인정합니다. <nowiki>[[정부]]</nowiki>, <nowiki>[[기업]]</nowiki>, 또는 <nowiki>[[개인]]</nowiki>들에 의한 비인가된 침해를 받지 않는 권리는 많은 국가의 <nowiki>[[개인정보 보호법]]</nowiki>과 경우에 따라 <nowiki>[[헌법]]</nowiki>의 일부입니다.
{{전거 통제}}


[[분류:프라이버시| ]]
기술의 발전으로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논의는 <nowiki>[[신체적]]</nowiki>인 면에서부터 <nowiki>[[디지털적]]</nowiki>인 면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nowiki>[[디지털 개인정보 보호권]]</nowiki>은 원래의 개인정보 보호권의 확장으로 간주되며, 많은 국가에서는 디지털 개인정보를 공공 및 사적 단체로부터 보다 추가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nowiki>[[법률]]</nowiki>을 통과했습니다.
[[분류:윤리학 주제]]

[[분류:법]]
기업 또는 정부가 이윤이나 정치적 이유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nowiki>[[개인정보 침해]]</nowiki> 기술이 있습니다. 반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은 <nowiki>[[암호화]]</nowiki>나 <nowiki>[[익명성]]</nowiki>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wiki>==어원==</nowiki>

개인정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nowiki>[[privatus]]</nowiki>"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공공에서 분리되고 개인적이며 자신에게 속한 것이며 국가에 속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nowiki><ref name=privatus>{{citation|url=https://www.etymonline.com/word/privacy |access-date= 2020년 11월 18일|date= 2020년 11월 17일|work= [[온라인어원사전| 어원 사전]]|title= privacy (n.) }}</ref></nowiki>

<nowiki>==역사==</nowiki>

<nowiki>{{further|개인정보 보호법}}</nowiki>

<nowiki>{{globalize|section|미국|talk=Talk:Privacy#Globalize_the_History_section|date=2023년 6월}}</nowiki>

<nowiki>[[File:The Ladies' home journal (1948) (14787773943).jpg|thumb|광고에서 강조된 인용구 [[Blushing|"내 얼굴은 더 빨개지고 더 빨개졌어요!"]] 광고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솔직해야 한다는 인용구이며, 두 페이지 반 정도를 보여준 뒤에는 전화 교환사가 모든 통화를 듣고 있다는 의심을 남깁니다.]]</nowiki>

개인정보 보호는 <nowiki>[[고대 그리스 철학|고대 그리스 철학적 토론]]</nowiki>에서 역사적 기원을 갖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nowiki>[[아리스토텔레스]]</nowiki>의 공개적 생활인 <nowiki>''</nowiki><nowiki>[[폴리스]]</nowiki><nowiki>''</nowiki>와 정치적 생활과 연관된 사적 생활인 <nowiki>''</nowiki><nowiki>[[오이코스]]</nowiki><nowiki>''</nowiki>의 두 영역을 구분한 것입니다.<nowiki><ref name=":6">{{Cite book|edition = 2015년 봄|title = Privacy|url = http://plato.stanford.edu/archives/spr2015/entries/privacy/|date = 2015년 1월 1일|first = Judith|last = DeCew| publisher=스탠포드 대학교 메타물리 연구소 |editor-first = 에드워드 N.|editor-last = 잘타}}</ref></nowiki> 개인정보 보호는 유태인 <nowiki>[[창세기서]]</nowiki>의생활 필수품들과 함께 소중히 여겨집니다.<nowiki><ref>{{bibleverse||창세기서|29:21|}}</ref></nowiki>

미국에서는 1890년대에 <nowiki>[[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nowiki>이 개발되기 전까지 개인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나오지 않았습니다.<nowiki><ref name=":6" /></nowiki>

<nowiki>===기술===</nowiki>

<nowiki>{{further|#개인정보를 향상시키는 기술|개인정보 강화 기술}}</nowiki>

<nowiki>[[File:IllinoisTelephoneAndTelegraphAd.png|thumb|200px|1912년 [[미국 공화당|공화당]] 대회 참가자들을 위해 시카고에서 제공된 다이얼 전화서비스 광고. 다이얼 전화 서비스의 주요 장점은 "비밀스러움"이었는데, 이는 통화를 연결하는 데 운영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nowik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와 침해 방식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nowiki>[[인쇄 기술]]</nowiki>이나 <nowiki>[[인터넷]]</nowiki>과 같은 일부 기술에서는 정보 공유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처음으로 주장한 출판물은 1890년 <nowiki>[[새뮤얼 D. 워렌|새뮤얼워렌]]</nowiki>과 <nowiki>[[루이스 브랜다이스]]</nowiki>가 쓴 "개인정보의 권리"라는 글이었으며, 이 글은 신문과 인쇄 기술로 가능해진 사진의 증가에 대응하여 주로 쓰여졌다는것이 일반적으로 합의된 바입니다.<nowiki><ref>{{cite web|url=http://groups.csail.mit.edu/mac/classes/6.805/articles/privacy/Privacy_brand_warr2.html |title=4 ''하버드 로우 리뷰'' 193 (1890년) |publisher=Groups.csail.mit.edu |date=1996-05-18 |access-date=2019-08-22}}</ref></nowiki><nowiki><ref>Swire, 2007, 정보 개인정보, 공인 정보 개인정보 전문가 (CIPP) 공식 참고 문헌</ref></nowiki>

1948년 <nowiki>[[조지 오웰]]</nowiki>이 쓴 소설 <nowiki>''</nowiki><nowiki>[[1984 (소설)|1984]]</nowiki><nowiki>''</nowiki>가 출간되었습니다. <nowiki>''</nowiki>1984<nowiki>''</nowiki>는 오세니아라는 전체주의 국가에 위치한 1984년 윈스턴 스미스의삶을 묘사한 고전적인 반공평서입니다. 모든 통제적인 당당, 빅 브라더가 이끄는 정당은 대규모 <nowiki>[[감시]]</nowiki>와 언론과 사상의 제한된 자유를 통해 권력을 통제합니다. 조지 오웰은 <nowiki>[[전체주의]]</nowiki>의 부정적인 영향, 특히 개인정보와 <nowiki>[[검열]]</nowiki>에 대해 논평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Nineteen Eighty-four {{!}} Summary, Characters, Analysis, & Facts|url=https://www.britannica.com/topic/Nineteen-Eighty-four|access-date=2021-09-27|website=Encyclopedia Britannica|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web|last=Leetaru|first=Kalev|title=Orwell's 1984 Turns 70 It Predicted Much Of Today's Surveillance Society|url=https://www.forbes.com/sites/kalevleetaru/2019/05/06/as-orwells-1984-turns-70-it-predicted-much-of-todays-surveillance-society/|access-date=2021-09-27|website=Forbes|language=en}}</ref></nowiki>

1960년대에는 기술의 변화가 개인정보의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nowiki>[[밴스 패커드]]</nowiki>의 <nowiki>''</nowiki><nowiki>[[The Naked Society|벌거벗은 사회]]</nowiki><nowiki>''</nowiki>는 그 시대의 개인정보에 대한 인기 있는 책으로, 미국의 개인정보 논의를 주도했습니다. 또한 <nowiki>[[앨런 F. 웨스틴|앨런 웨스틴]]</nowiki>의 <nowiki>''</nowiki>개인정보와 자유<nowiki>''</nowiki>는 정부가 사람의 몸을 통제하는 물리적인 면(즉, <nowiki>''</nowiki><nowiki>[[로 v. 웨이드]]</nowiki><nowiki>''</nowiki>)과 전화 도청, 사진 촬영과 같은 다른 활동으로부터 개인정보 논의를 전환했습니다. 중요한 기록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웨스틴은 개인 데이터가 너무 접근 가능해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사람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관할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여 현대의 개인정보 논의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2020-07-24|title=Alan Westin is the father of modern data privacy law|url=https://www.osano.com/articles/alan-westin|access-date=2021-09-28|website=Osano|language=en}}</ref></nowiki>

새로운 기술은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2001년, 법적 사건 <nowiki>''</nowiki><nowiki>[[Kyllo v. United States]]</nowiki><nowiki>''</nowiki> (533 U.S. 27)에서 <nowiki>[[열화상 카메라]]</nowiki>를 사용하여 사전 허가 없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밝히는 것이 개인정보 침해로 간주되는 것이라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2019년, <nowiki>[[애플]]</nowiki>과 <nowiki>[[아마존]]</nowiki>은 경쟁하는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후 직원들에게 <nowiki>[[#절친한|근방의]]</nowiki> 순간들을 듣고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도록 요구했습니다.<nowiki><ref name=bloomberg-siri-alexa-listen /></nowiki>

<nowiki>====경찰과 정부====</nowiki>

<nowiki>{{main|#개인정보 보호의 법적 권리}}</nowiki>

<nowiki>{{further|경찰|경찰 바디캠|PRISM (감시 프로그램)}}</nowiki>

<nowiki>{{see also|The Wire}}</nowiki>

경찰과 시민은 종종 경찰이 시민의 디지털 개인정보에 어느 정도 침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충돌합니다. 예를 들어, 2012년, 안투안 존스가 GPS 추적기를 사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것으로 체포된 <nowiki>''</nowiki><nowiki>[[United States v. Jones (2012)|United States v. Jones]]</nowiki><nowiki>''</nowiki> (565 U.S. 400) 사건에서, 미 최고법원은사전 허가 없이 설치된 GPS 추적기를 사용하여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된 안투안 존스의 사례에서, 헌법 제4조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합법적으로 정당한 [Griswold v. Connecticut]에서 이미 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치가 확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운송에서도 일정한 "합리적 개인정보보호 기대"가 있다는 것을 정당화했습니다. 최고법원은 또한 제4조가 물리적 침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침입에도 적용되며, <nowiki>''</nowiki>United States v. Jones<nowiki>''</nowiki>는곧 유명한 사건이 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United States v. Jones|url=https://www.oyez.org/cases/2011/10-1259|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2014년, 최고법원은 <nowiki>''</nowiki><nowiki>[[Riley v. California]]</nowiki><nowiki>''</nowiki> (573 U.S. 373)에서 다윗 레온 라일리가 만료된 면허 태그로 운전 중인 것을 검거된 후 경찰이 그의 전화를 수색하여 그가 총격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사전 허가 없이 시민의 휴대전화를 수색하는 것은 불합리한 수색으로 제4조를 위반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최고법원은 휴대전화에는 사소한 물품과 다른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결론 내리고, 클라우드에 저장된 정보도 반드시 증거의 형태는 아니라고 언급했습니다. <nowiki>''</nowiki>Riley v. California<nowiki>''</nowiki>는 경찰에게서 시민의 디지털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하는 유명한 사건이 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Riley v. California|url=https://www.oyez.org/cases/2013/13-132|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nowiki>==최근 사건==</nowiki>

최근 디지털 개인정보와 관련된 법 집행과 시민 간의 갈등 중 하나는 2018년 사건인 <nowiki>''</nowiki><nowiki>[[Carpenter v. United States]]</nowiki><nowiki>''</nowiki> (585 U.S. ____). FBI가 티모시 아이보리 카펜터를 여러 혐의로 체포하기 위해 휴대전화 기록을 사전 허가 없이 사용했는데, 이에 대해 미국 대법원은 휴대전화 기록의 사전 허가 없는수색이 제4 수정안을 위반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제4 수정안이 "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를 보장하며 제3자에게 전송된 정보도"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에 속한다고 언급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Carpenter v. United States|url=https://www.oyez.org/cases/2017/16-402|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법 집행 이외에도 많은 정부와 시민 간의 상호작용은 고발자를 통해 합법적 또는 불법적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nowiki>[[에드워드 스노든]]</nowiki>은 <nowiki>[[미국 국가 안보국]]</nowiki>의 대규모 감시 작전과 관련된 여러 작전을 공개한 인물로, 미국 국가 안보국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개인 정보를 침해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대부분 대규모 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제3자 사설 회사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다른 대사관이나 국제 국가의 프레임워크를 해킹하고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침해하는 것입니다. 이는 문화적 충격을 유발하며 디지털 개인정보와 관련된 국제적 논쟁을 촉발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17 disturbing things Snowden has taught us (so far)|url=https://www.pri.org/stories/2013-07-09/17-disturbing-things-snowden-has-taught-us-so-far|access-date=2021-09-28|website=The World from PRX|language=en}}</ref></nowiki>

<nowiki>==인터넷==</nowiki>

<nowiki>{{Main|인터넷 개인정보}}</nowiki>

<nowiki>{{see also|인터넷#사회적 영향|컴퓨터 네트워크#보안|보안#컴퓨터 보안|정보 개인정보}}</nowiki>

인터넷과 그 위에 구축된 기술은 점점 더 빠르고 대규모의 새로운 사회적 상호작용 형태를 가능하게 합니다. 인터넷의 컴퓨터 네트워크는 새로운 보안 문제를 도입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의 <nowiki>''</nowiki>개인정보<nowiki>''</nowiki>에 대한 논의는 종종 <nowiki>''</nowiki>보안<nowiki>''</nowiki>과 혼동됩니다.<nowiki><ref name="privacy-security-debate">{{cite web|title=Privacy vs Security: A pointless false dichotomy?|url=https://missinfogeek.net/privacy-vs-security-pt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131000446/https://missinfogeek.net/privacy-vs-security-pt1/|archive-date=2023-01-31|url-status=live}}</ref></nowiki> 사실, <nowiki>[[감시 자본주의]]</nowiki>에 참여하는 기업과 같은 많은 단체들은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중심적 개념으로 개인정보 유지 의무를 규제준수 문제로 축소시키는데, 동시에 그런 규제 요구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nowiki>[[로비]]</nowiki>를 하고 있습니다.<nowiki><ref name="waldman-industry-unbound">{{cite book|title=Industry Unbound: The Inside Story of Privacy, Data, and Corporate Power|author=Ari Ezra Waldman|year=2021|chapter=One Book in One Page|page=x|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doi=10.1017/9781108591386|isbn=978-1-108-49242-3}}</ref></nowiki><nowiki><ref name="data-broker-lobbying-congress">{{cite web|title=The Little-Known Data Broker Industry Is Spending Big Bucks Lobbying Congress|date=April 2021 |url=https://themarkup.org/privacy/2021/04/01/the-little-known-data-broker-industry-is-spending-big-bucks-lobbying-congres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422071359/https://themarkup.org/privacy/2021/04/01/the-little-known-data-broker-industry-is-spending-big-bucks-lobbying-congress|archive-date=2023-04-22|url-status=live}}</ref></nowiki>

하지만 인터넷의 <nowiki>''</nowiki>개인정보<nowiki>''</nowiki>에 대한 영향은 사용자의 <nowiki>''</nowiki>기대<nowiki>''</nowiki>가 무시되는 컴퓨터 기술과 그를 통제하는 주체들이 사용자의 <nowiki>[[사용자 (컴퓨팅)|사용자]]</nowiki>의 개인정보 기대를 교란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함합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cite web|title=The Web Means the End of Forgetting|date=2010-07-25|website=[[The New York Times]]|url=https://www.nytimes.com/2010/07/25/magazine/25privacy-t2.html|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310101907/https://www.nytimes.com/2010/07/25/magazine/25privacy-t2.html|archive-date=2019-03-10|url-status=live}}</ref></nowiki> 특히 <nowiki>[[잊힘의 권리]]</nowiki>는 <nowiki>''</nowiki>컴퓨터 기술의 능력<nowiki>''</nowiki>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정보를 인터넷에서 공유할 때 그 정보가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보존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은 사용자의 <nowiki>''</nowiki>기대<nowiki>''</nowiki>로부터 도출됩니다. <nowiki>[[복수 음란물]]</nowiki>과 <nowiki>[[딥페이크]]</nowiki>와 같은 현상들은 누군가의 동의 없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능력과 그 콘텐츠를 널리 보급시키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nowiki>[[사이버 시민 권리 이니셔티브]]</nowiki>와 <nowiki>[[전자적 자유재단]]</nowiki>과 같은 개인정보 옹호 단체들은 인터넷에서 도입된 새로운 개인정보 피해에대응하기 위해 <nowiki>[[#암호화|암호화]]</nowiki>와 <nowiki>[[#익명성|익명성]]</nowiki>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개선 뿐만 아니라 기업과 정부의 권력을 제한하기 위한 <nowiki>[[#법적 방법|법규규제]]</nowiki>와 같은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nowiki><ref name="eff-issues-privacy">{{cite web|title=Privacy|url=https://www.eff.org/issues/privacy|website=[[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ref></nowiki><nowiki><ref name="ccri-legislative-reform">{{cite web|title=Legislative Reform|website=[[Cyber Civil Rights Initiative]]|url=https://cybercivilrights.org/legislative-reform/}}</ref></nowiki>

인터넷은 1980년대까지 정부와 학계 노력으로 시작되었지만, 1990년대에는 개인 기업들이 인터넷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고 관리하기 시작했고,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인프라는 영리 기업들에 의해 소유 및 관리되고 있습니다.<nowiki><ref name="tarnoff-internet-for-the-people">{{cite book|title=Internet for the People: The Fight for Our Digital Future|author=Ben Tarnoff|year=2022|chapter=Preface: Among the Eels|pages=8–9|publisher=[[Verso Books]]|isbn=978-1-83976-202-4}}</ref></nowiki> 이 결과로 정부가 시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은 주로통신이나 <nowiki>[[개인 데이터]]</nowiki>를 처리하는 기업을 규제하는 산업 정책에 제한되어 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2013-05-02|title=Fighting Identity Theft with the Red Flags Rule: A How-To Guide for Business|url=https://www.ftc.gov/tips-advice/business-center/guidance/fighting-identity-theft-red-flags-rule-how-guide-business|access-date=2021-09-2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magazine|last=Tiku|first=Nitasha|title=How Europe's New Privacy Law Will Change the Web, and More|language=en-US|magazine=Wired|url=https://www.wired.com/story/europes-new-privacy-law-will-change-the-web-and-more/|access-date=2021-10-26|issn=1059-1028}}</ref></nowiki> 개인정보 규정은 종종 어린이와 같은 특정 인구군이나 신용카드 기관과 같은 특정 산업을 보호하는 데 제한되기도 합니다.<nowiki><ref>{{Cite web|date=2013-07-25|title=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Rule ("COPPA")|url=https://www.ftc.gov/enforcement/rules/rulemaking-regulatory-reform-proceedings/childrens-online-privacy-protection-rule|access-date=2021-09-2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web|title=Fair Credit Reporting Act|url=https://www.ftc.gov/legal-library/browse/statutes/fair-credit-reporting-act|access-date=2023-06-1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date=19 July 2013 |language=en}}</ref></nowiki>

<nowiki>===소셜 네트워킹===</nowiki>

<nowiki>{{main|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개인정보 우려}}</nowiki>

여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OSN)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상위 10개 웹사이트 중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5년 8월 기준으로 페이스북은 거의 27억 명의 회원을 보유한 최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였으며, 회원들은 하루에 약 47.5억 개의 콘텐츠를 업로드합니다.<nowiki><ref>{{Cite web|title=Facebook: active users worldwide|url=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64810/number-of-monthly-active-facebook-users-worldwide/|access-date=2020-10-11|website=Statista|language=en}}</ref></nowiki> <nowiki>[[트위터]]</nowiki>는 등록된 사용자 수가 3억 1,600만 명으로 훨씬 작지만, 미국 <nowiki>[[국립도서관]]</nowiki>은 최근 2006년 이후의 모든 공개 트위터 게시물을 획득하여 영구적으로 보존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nowiki>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개인정보의 가치에 대한 현재 상태를 평가한 학술 작업의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른들은 잠재적인 개인정보 위협에대해 더 큰 우려를 보입니다. 둘째, 정책 결정자들은 자신들의 정보 개인정보 위험을 과소평가하는 사용자들에게 경고해야 합니다. 셋째, 소셜 네트워킹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전통적인 일차원적 개인정보 접근법이 부족합니다."<nowiki><ref>Hugl, Ulrike (2011), "Reviewing Person's Value of Privacy of Online Social Networking," ''Internet Research'', 21(4), in press, 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issn=1066-2243&volume=21&issue=4&articleid=1926600&show=abstrac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28144007/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issn=1066-2243&volume=21&issue=4&articleid=1926600&show=abstract |date=2014-03-28 }}</ref></nowiki> 이는 <nowiki>[[데이터 재식별화]]</nowiki> 연구에 의한 것으로, 텍스트 샘플, 브라우징 로그, 또는 페이스북 좋아요와 같은 다양한 <nowiki>[[디지털 발자취]]</nowiki>를 기반으로 성적 성향, 인종, 종교 및 정치적 견해, 성격, 지능과 같은 개인 특성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nowiki><ref name="Kosinski 2013 5802–5805">{{cite journal|last=Kosinski|first=Michal|author2=Stillwell, D. |author3=Graepel, T. |title=Private traits and attributes are predictable from digital records of human behavior|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year=2013|volume=110|issue=15|pages=5802–5805|doi=10.1073/pnas.1218772110|pmid=23479631|pmc=3625324|bibcode=2013PNAS..110.5802K|doi-access=free}}</ref></nowiki>

소셜 미디어의 개인정보 침해는 미국에서 고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nowiki>[[마이크로소프트]]</nowiki>에 따르면, 미국의 75%의 채용 담당자와 인사 담당자들이후보자에 대해 온라인으로 조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주로 검색 엔진,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사진/비디오 공유 사이트, 개인 웹사이트 및 블로그, 그리고 <nowiki>[[트위터]]</nowiki>에서 제공된 정보를 사용합니다. 또한, 미국의 70%의 채용 담당자가 인터넷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자를 거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로 인해많은 후보자들이 온라인 평판과 함께 다양한 온라인 <nowiki>[[개인정보 설정]]</nowiki>을 통제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으며,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소셜 미디어 사이트와 미국 고용주 양측에 대한 법적 소송이 발생했습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nowiki>

<nowiki>====셀카 문화====</nowiki>

<nowiki>{{further|#Privacy paradox and economic valuation}}</nowiki>

<nowiki>[[셀카]]</nowiki>가 오늘날 인기가 있습니다. #셀피 해시태그로 검색하면 인스타그램에서 2300만 개 이상의 결과물을 찾을 수 있으며 #me 해시태그로 검색하면5100만 개 이상의 결과물이 나옵니다.<nowiki><ref>{{Cite news|date=2013-06-07|title=Self-portraits and social media: The rise of the 'selfie'|language=en-GB|work=BBC News|url=https://www.bbc.com/news/magazine-22511650|access-date=2021-03-17}}</ref></nowiki> 그러나현대 기업 및 정부의 감시로 인해 이는 개인정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last=Giroux|first=Henry A.|date=2015-05-04|title=Selfie Culture in the Age of Corporate and State Surveillance|journal=Third Text|volume=29|issue=3|pages=155–164|doi=10.1080/09528822.2015.1082339|s2cid=146571563|issn=0952-8822}}</ref></nowiki> 3763명의 샘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에 셀카를 게시하는 사용자들은 여성이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가 더 크며,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우려가 그들의 셀카 행동과 활동을역으로 예측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last1=Dhir|first1=Amandeep|last2=Torsheim|first2=Torbjørn|last3=Pallesen|first3=Ståle|last4=Andreassen|first4=Cecilie S.|date=2017|title=Do Online Privacy Concerns Predict Selfie Behavior among Adolescents, Young Adults and Adults?|journal=Frontiers in Psychology|language=en|volume=8|page=815|doi=10.3389/fpsyg.2017.00815|pmid=28588530|pmc=5440591|issn=1664-1078|doi-access=free}}</ref></nowiki>

<nowiki>====온라인 괴롭힘====</nowiki>

<nowiki>{{main|온라인 괴롭힘}}</nowiki>

<nowiki>{{further|복수 음란물|도킹|콘텐츠 모니터링}}</nowiki>

개인정보 침해는 누군가의 개인정보가 널리 퍼지고 빠르게 인터넷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셜 미디어 사이트와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가 <nowiki>[[콘텐츠 모니터링]]</nowiki>에 투자하지 않을 경우, 개인정보 침해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훨씬 많고 심각한 괴롭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nowiki>[[복수 음란물]]</nowiki>은 <nowiki>[[아만다토드의 자살]]</nowiki>과 <nowiki>[[타일러 클레멘티의 자살]]</nowiki>과 같은 <nowiki>[[여성혐오]]</nowiki> 또는 <nowiki>[[동성애 혐오]]</nowiki>적 괴롭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의 신체적 위치나 다른 민감한 정보가 <nowiki>[[도킹]]</nowiki>을 통해 인터넷에 유출되면, 괴롭힘이 <nowiki>[[스토킹]]</nowiki>이나 <nowiki>[[스웨팅]]</nowiki>과 같은 직접적인 신체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가 온라인 괴롭힘을 심화시킬 수 있지만, 온라인 괴롭힘은 종종 <nowiki>[[억양|익명성]]</nowiki>을 통한 <nowiki>[[개인정보 보호 기대]]</nowiki>를 없애거나, <nowiki>[[검색 영장]]</nowiki> 없이도 권한을 침해할 수 있도록 하는 <nowiki>[[언론의 자유]]</nowiki>를 제한하기 위한 핑계로 사용됩니다. 아만다 토드의 사망 이후, 캐나다 의회는 괴롭힘을 멈추겠다는 명제를 제안했지만, 토드의 어머니는 의회에 증언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검색 영장 없는 조항 때문에 법안을 거부했으며 "우리 아이들이 다시 한 번 개인정보 권리를 잃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nowiki><ref name="ctv-todd-mp-motion">{{cite web |url= http://www.ctvnews.ca/canada/in-wake-of-amanda-todd-suicide-mps-to-debate-anti-bullying-motion-1.995254 |title= In wake of Amanda Todd suicide, MPs to debate anti-bullying motion |publisher=CTV News |date= October 14, 2012 |author=CTVNews.ca Staff |access-date= October 17, 2012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9213910/http://www.ctvnews.ca/canada/in-wake-of-amanda-todd-suicide-mps-to-debate-anti-bullying-motion-1.995254 |archive-date= October 29, 2013 |df=mdy-all}}</ref></nowiki><nowiki><ref name="2013 Bill C-13">{{cite web | url=https://www.thestar.com/news/canada/2014/05/13/amanda_todds_mother_raises_concerns_about_cyberbullying_bill.html | title=Amanda Todd's mother raises concerns about cyberbullying bill: Families of cyberbullying victims want legislation, but some have concerns about warrantless access to Canadians personal data. | work=www.thestar.com | date=2014-04-13 | access-date=2016-09-12 | author=Boutilier, Alex | url-status=live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28011059/https://www.thestar.com/news/canada/2014/05/13/amanda_todds_mother_raises_concerns_about_cyberbullying_bill.html | archive-date=October 28, 2016 | df=mdy-all }}</ref></nowiki><nowiki><ref name="Justice Committee on May 13th, 2014">{{cite web | url=https://openparliament.ca</nowiki>

이러한 법이 개인 정보 보호를 고려하여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괴롭힘이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nowiki>[[한국방송통신위원회]]</nowiki>가 2007년 온라인 댓글 작성자를 위한 등록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악의적인 댓글은 0.9%만감소했으며, 2011년에는 이를 폐지했습니다.<nowiki><ref name="chosun-kcc-registration">{{cite web|title=Real-Name Online Registration to Be Scrapped|url=https://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30/2011123001526.html|website=[[TheChosun Ilb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423035426/https://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30/2011123001526.html|archive-date=2023-04-23|url-status=live}}</ref></nowiki> 이에 이어진 분석에서는 실명을 사용하도록 강요당한 사용자 집단이 "공격적인 표현"의 수를 오히려 늘렸다고밝혀졌습니다.<nowiki><ref name="kcc-law-real-name-analysis">{{cite conference|url=https://www.computer.org/csdl/proceedings-article/hicss/2012/06149194/12OmNyKJiDq|title=Empiricalanalysis of online anonymity and user behaviors: the impact of real name policy|author-link1=A. Acquisti|author-link2=Soodong Kim|author-link3=Daegon Cho|year=2012|publisher=[[IEEE Computer Society]]|edition=45th|conference=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ref></nowiki>

미국에서는 연방 법률이 성별과 인종과 같은 보호 받는 특성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괴롭힘만 금지하지만,<nowiki><ref name="us-federal-cyberbullying">{{cite web|title=Law, Policies and Regulations|date=24 September 2019 |url=https://www.stopbullying.gov/resources/laws|access-date=2023-06-19}}</ref></nowiki> 개별 주에서는 괴롭힘의정의를 확장하여 언어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플로리다의 온라인 괴롭힘 정의에는 "학교의 질서 있는 운영을 심각하게방해하는 모든 데이터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사용"을 포함합니다.<nowiki><ref name="florida-cyberbullying">{{cite web|title=Florida Anti-Bullying Laws and Policies|date=24 September 2019 |url=https://www.stopbullying.gov/resources/laws/florida|access-date=2023-06-19}}</ref></nowiki>

===개인 정보와 위치 기반 서비스=== <nowiki>{{main|위치 기반 서비스}}</nowiki>

점점 더 많은 모바일 기기가 <nowiki>[[위치 추적]]</nowiki>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는 사용자 개인 정보 문제를 야기합니다. 사용자의 위치와선호도는 <nowiki>[[개인 정보]]</nowiki>를 구성하며, 그것들의 부적절한 사용은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침해합니다. 최근 MIT 연구에서de Montjoye 등은 1.5백만 명의 사람 중 95%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필요한 약간한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4개의공간-시간 점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데이터 세트의 해상도가 낮을 때에도 이러한 제약이 유지된다는것을 더 나아가 보여줍니다. 따라서 거친 또는 흐릿한 데이터 세트조차도 거의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지않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 |last=de Montjoye|first=Yves-Alexandre|author2=César A. Hidalgo |author3=Michel Verleysen |author4=Vincent D. Blondel |title=Unique in the Crowd: The privacy bounds of human mobility|journal=Scientific Reports|date=March 25, 2013 |volume=3| page=1376|doi=10.1038/srep01376|pmid=23524645|pmc=3607247|bibcode=2013NatSR...3E1376D}}</ref></nowiki>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제안되었습니다. 이는 익명화 서버 및 정보의 흐림화와 같은 방법을 포함합니다. 개인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는데,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는 이익과개인의 개인 정보를 침해하는 위험 사이의 균형을 계산하기 위한것입니다.<nowiki><ref>Athanasios S. Voulodimos and Charalampos Z. Patrikakis, "Quantifying Privacy in Terms of Entropy for Context Aware Services", special issue of the Ident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journal, "Identity Management in Grid and SOA", Springer, vol. 2, no 2, December 2009</ref></nowiki>'''

원문의 문장부호 안의 내용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를 한국어로 번역해드렸습니다. 필요한 경우 더 도와드릴 내용이 있으면알려주세요!

====위치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윤리적 논쟁==== 위치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스캔들이 있었습니다. 한 사례는<nowiki>[[AccuWeather]]</nowiki>와 관련된 스캔들인데, AccuWeather가 위치 데이터를 판매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Accuweather 내에서 거부하더라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했습니다. Accuweather는이 데이터를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회사인 Reveal Mobile에 판매했습니다.<nowiki><ref>{{Cite web|last=Whittaker|first=Zack|title=AccuWeather caught sending user location data – even when location sharing is off|url=https://www.zdnet.com/article/accuweather-caught-sending-geo-location-data-even-when-denied-access/|access-date=2021-11-22|website=ZDNet|language=en}}</ref></nowiki> 다른 국제적인 사례들도Accuweather 사건과 유사합니다. 2017년, McDelivery 앱 내의 누수 API로 인해 220만 사용자의 집 주소와 같은 개인데이터가 노출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March 20, 2017|first=Jeremy|last=Kirk|title=McShame: McDonald's API Leaks Data for 2.2 Million Users|url=https://www.bankinfosecurity.com/blogs/mcshame-mcdonalds-api-leaks-data-for-22-million-users-p-2426|access-date=2021-11-22|website=www.bankinfosecurity.com|language=en}}</ref></nowiki>

이러한 유형의 스캔들 이후,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많은 미국의 대규모 기술 기업들은 미국 입법 제도 아래에서 청문회와압박을 받았습니다. 2011년에 미국 상원의원인 <nowiki>[[알 프랭큰]]</nowiki>은 <nowiki>[[아이폰]]</nowiki>과 <nowiki>[[아이패드]]</nowiki>이 사용자의 위치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능력에 대해 <nowiki>[[스티브 잡스]]</nowiki>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nowiki><ref>Popkin, Helen A.S., [https://archive.today/20120714202126/http://technolog.msnbc.msn.com/_news/2011/04/21/6508416-govt-officials-want-answers-to-secret-iphone-tracking "Gov't officials want answers to secret iPhone tracking"]. MSNBC, "Technology", April 21, 2011</ref></nowiki><nowiki><ref>{{cite web|title=Apple faces questions from Congress about iPhone tracking|website=[[Computerworld]]|url=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7868/apple-faces-questions-from-congress-about-iphone-tracking.html|date=2011-04-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0044451/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7868/apple-faces-questions-from-congress-about-iphone-tracking.html|archive-date=2019-07-20|url-status=live}}</ref></nowiki>애플은 이것이 의도치 않은 <nowiki>[[소프트웨어 버그]]</nowiki>라고 주장했지만, <nowiki>[[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nowiki>의 Justin Brookman은 이를 직접 도전하면서 "그들이 버그라고 하는 것을 고치는 것은 좋지만, 사용자를 추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강한 부인에는 이의를 제기한다"고 말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Apple denies tracking iPhone users, but promises changes|website=[[Computerworld]]|url=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6250/apple-denies-tracking-iphone-users--but-promises-changes.html|date=2011-04-2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329094239/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6250/apple-denies-tracking-iphone-users--but-promises-changes.html|archive-date=2023-03-29|url-status=live}}</ref></nowiki> 2021년에 미국 애리조나 주는 Google이 사용자들을 오도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설정과 관계없이 저장했다고 판결했습니다.<nowiki><ref name="state-arizona-redacted-complaint">{{cite web|url=https://www.azag.gov/sites/default/files/2021-05/Complaint%20%28redacted%29.pdf|title=Complaint for Injunctive and Other Relief|access-date=2021-06-03|date=2021-06-03|publisher=The Superior Court of the State of Arizona In and For the County of Maricopa}}</ref></nowiki>

===광고=== <nowiki>{{main|온라인 광고}}</nowiki> <nowiki>{{further|감시 자본주의|대규모 감시 산업}}</nowiki> <nowiki>{{advert section|date=June 2023}}</nowiki>

인터넷은 광고를 위한 중요한 매체가 되었으며, 2019년에는 디지털 마케팅이 글로벌 광고 지출의 약 절반을 차지했습니다.<nowiki><ref>{{Cite web |title=Global Digital Ad Spending 2019 |url=https://www.insiderintelligence.com/content/global-digital-ad-spending-2019 |access-date=2023-09-30 |website=Insider Intelligence}}</ref></nowiki> 웹사이트는 여전히 <nowiki>[[컨텍스트 광고]]</nowiki>를 포함하여 추적 없이 광고 공간을 판매할 수 있지만, 페이스북과 <nowiki>[[Google]]</nowiki>과 같은 디지털 광고 중개업체들은 대신 웹사이트 소유자가 사용자를 <nowiki>[[HTTP 쿠키]]</nowiki>를 통해 추적할 수 있도록 코드 단편을 제공하여 <nowiki>[[행동적 광고|행동적 광고]]</nowiki>를 장려했습니다. 이 추적 데이터는 대규모 감시 산업의 일환으로 다른 제3자에게도 판매됩니다. 모바일 전화기가 등장한이후, 데이터 중개업체는 앱 내에도 삽입되어 약 3조 5000억 달러의 디지털 산업을 모바일 기기에 특히 집중시켰습니다.<nowiki><ref name=":7"/></nowiki><nowiki>{{Short description|Seclusion from unwanted attention}}</nowiki>

<nowiki>{{redirect|Private information|personally identifying information|Personal information|information transmitted privately|Secrecy|the 1952 film|Private Information{{!}}''Private Information''|other uses|Privacy (disambiguation)}}</nowiki>

<nowiki>[[File:Bansky one nation under cctv.jpg|thumb|upright=1.5|alt=see caption|[[Banksy]]'s ''One Nation Under CCTV'' graffiti, adjacent to an actual [[CCTV]] camera]]</nowiki>

<nowiki>'''</nowiki>Privacy<nowiki>'''</nowiki> (<nowiki>{{IPA-cen|UK|ˈ|p|r|ɪ|v|ə|s|iː}}</nowiki>, <nowiki>{{IPA-cen|US|ˈ|p|r|aɪ|-}}</nowiki>)<nowiki><ref>{{cite LPD|3}}</ref></nowiki><nowiki><ref>{{cite EPD|18}}</ref></nowiki>는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이나 자신에 대한 정보를 비밀에 부치고, 이에 따라 자신을 선택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다.

개인정보 보호의 영역은 부분적으로 <nowiki>[[보안]]</nowiki>과 겹칩니다. 이는 정보의 적절한 사용과 보호 개념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는 또한 <nowiki>[[신체적 무결성]]</nowiki>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역사를 통해 다양한 <nowiki>[[개인정보]]</nowiki>에 대한 관념이 존재해 왔습니다. 대부분의 문화에서 개인이 자신의 일부를 공공 기록으로부터 숨길 권리를 인정합니다. <nowiki>[[정부]]</nowiki>, <nowiki>[[기업]]</nowiki>, 또는 <nowiki>[[개인]]</nowiki>들에 의한 비인가된 침해를 받지 않는 권리는 많은 국가의 <nowiki>[[개인정보 보호법]]</nowiki>과 경우에 따라 <nowiki>[[헌법]]</nowiki>의 일부입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논의는 <nowiki>[[신체적]]</nowiki>인 면에서부터 <nowiki>[[디지털적]]</nowiki>인 면으로 확장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nowiki>[[디지털 개인정보 보호권]]</nowiki>은 원래의 개인정보 보호권의 확장으로 간주되며, 많은 국가에서는 디지털 개인정보를 공공 및 사적 단체로부터 보다 추가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nowiki>[[법률]]</nowiki>을 통과했습니다.

기업 또는 정부가 이윤이나 정치적 이유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nowiki>[[개인정보 침해]]</nowiki> 기술이 있습니다. 반면,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은 <nowiki>[[암호화]]</nowiki>나 <nowiki>[[익명성]]</nowiki>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owiki>==어원==</nowiki>

개인정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nowiki>[[privatus]]</nowiki>"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공공에서 분리되고 개인적이며 자신에게 속한 것이며 국가에 속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nowiki><ref name=privatus>{{citation|url=https://www.etymonline.com/word/privacy |access-date= 2020년 11월 18일|date= 2020년 11월 17일|work= [[온라인어원사전| 어원 사전]]|title= privacy (n.) }}</ref></nowiki>

<nowiki>==역사==</nowiki>

<nowiki>{{further|개인정보 보호법}}</nowiki>

<nowiki>{{globalize|section|미국|talk=Talk:Privacy#Globalize_the_History_section|date=2023년 6월}}</nowiki>

<nowiki>[[File:The Ladies' home journal (1948) (14787773943).jpg|thumb|광고에서 강조된 인용구 [[Blushing|"내 얼굴은 더 빨개지고 더 빨개졌어요!"]] 광고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솔직해야 한다는 인용구이며, 두 페이지 반 정도를 보여준 뒤에는 전화 교환사가 모든 통화를 듣고 있다는 의심을 남깁니다.]]</nowiki>

개인정보 보호는 <nowiki>[[고대 그리스 철학|고대 그리스 철학적 토론]]</nowiki>에서 역사적 기원을 갖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nowiki>[[아리스토텔레스]]</nowiki>의 공개적 생활인 <nowiki>''</nowiki><nowiki>[[폴리스]]</nowiki><nowiki>''</nowiki>와 정치적 생활과 연관된 사적 생활인 <nowiki>''</nowiki><nowiki>[[오이코스]]</nowiki><nowiki>''</nowiki>의 두 영역을 구분한 것입니다.<nowiki><ref name=":6">{{Cite book|edition = 2015년 봄|title = Privacy|url = http://plato.stanford.edu/archives/spr2015/entries/privacy/|date = 2015년 1월 1일|first = Judith|last = DeCew| publisher=스탠포드 대학교 메타물리 연구소 |editor-first = 에드워드 N.|editor-last = 잘타}}</ref></nowiki> 개인정보 보호는 유태인 <nowiki>[[창세기서]]</nowiki>의생활 필수품들과 함께 소중히 여겨집니다.<nowiki><ref>{{bibleverse||창세기서|29:21|}}</ref></nowiki>

미국에서는 1890년대에 <nowiki>[[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nowiki>이 개발되기 전까지 개인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나오지 않았습니다.<nowiki><ref name=":6" /></nowiki>

<nowiki>===기술===</nowiki>

<nowiki>{{further|#개인정보를 향상시키는 기술|개인정보 강화 기술}}</nowiki>

<nowiki>[[File:IllinoisTelephoneAndTelegraphAd.png|thumb|200px|1912년 [[미국 공화당|공화당]] 대회 참가자들을 위해 시카고에서 제공된 다이얼 전화서비스 광고. 다이얼 전화 서비스의 주요 장점은 "비밀스러움"이었는데, 이는 통화를 연결하는 데 운영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nowik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와 침해 방식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nowiki>[[인쇄 기술]]</nowiki>이나 <nowiki>[[인터넷]]</nowiki>과 같은 일부 기술에서는 정보 공유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처음으로 주장한 출판물은 1890년 <nowiki>[[새뮤얼 D. 워렌|새뮤얼워렌]]</nowiki>과 <nowiki>[[루이스 브랜다이스]]</nowiki>가 쓴 "개인정보의 권리"라는 글이었으며, 이 글은 신문과 인쇄 기술로 가능해진 사진의 증가에 대응하여 주로 쓰여졌다는것이 일반적으로 합의된 바입니다.<nowiki><ref>{{cite web|url=http://groups.csail.mit.edu/mac/classes/6.805/articles/privacy/Privacy_brand_warr2.html |title=4 ''하버드 로우 리뷰'' 193 (1890년) |publisher=Groups.csail.mit.edu |date=1996-05-18 |access-date=2019-08-22}}</ref></nowiki><nowiki><ref>Swire, 2007, 정보 개인정보, 공인 정보 개인정보 전문가 (CIPP) 공식 참고 문헌</ref></nowiki>

1948년 <nowiki>[[조지 오웰]]</nowiki>이 쓴 소설 <nowiki>''</nowiki><nowiki>[[1984 (소설)|1984]]</nowiki><nowiki>''</nowiki>가 출간되었습니다. <nowiki>''</nowiki>1984<nowiki>''</nowiki>는 오세니아라는 전체주의 국가에 위치한 1984년 윈스턴 스미스의삶을 묘사한 고전적인 반공평서입니다. 모든 통제적인 당당, 빅 브라더가 이끄는 정당은 대규모 <nowiki>[[감시]]</nowiki>와 언론과 사상의 제한된 자유를 통해 권력을 통제합니다. 조지 오웰은 <nowiki>[[전체주의]]</nowiki>의 부정적인 영향, 특히 개인정보와 <nowiki>[[검열]]</nowiki>에 대해 논평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Nineteen Eighty-four {{!}} Summary, Characters, Analysis, & Facts|url=https://www.britannica.com/topic/Nineteen-Eighty-four|access-date=2021-09-27|website=Encyclopedia Britannica|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web|last=Leetaru|first=Kalev|title=Orwell's 1984 Turns 70 It Predicted Much Of Today's Surveillance Society|url=https://www.forbes.com/sites/kalevleetaru/2019/05/06/as-orwells-1984-turns-70-it-predicted-much-of-todays-surveillance-society/|access-date=2021-09-27|website=Forbes|language=en}}</ref></nowiki>

1960년대에는 기술의 변화가 개인정보의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nowiki>[[밴스 패커드]]</nowiki>의 <nowiki>''</nowiki><nowiki>[[The Naked Society|벌거벗은 사회]]</nowiki><nowiki>''</nowiki>는 그 시대의 개인정보에 대한 인기 있는 책으로, 미국의 개인정보 논의를 주도했습니다. 또한 <nowiki>[[앨런 F. 웨스틴|앨런 웨스틴]]</nowiki>의 <nowiki>''</nowiki>개인정보와 자유<nowiki>''</nowiki>는 정부가 사람의 몸을 통제하는 물리적인 면(즉, <nowiki>''</nowiki><nowiki>[[로 v. 웨이드]]</nowiki><nowiki>''</nowiki>)과 전화 도청, 사진 촬영과 같은 다른 활동으로부터 개인정보 논의를 전환했습니다. 중요한 기록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웨스틴은 개인 데이터가 너무 접근 가능해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사람은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관할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여 현대의 개인정보 논의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2020-07-24|title=Alan Westin is the father of modern data privacy law|url=https://www.osano.com/articles/alan-westin|access-date=2021-09-28|website=Osano|language=en}}</ref></nowiki>

새로운 기술은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2001년, 법적 사건 <nowiki>''</nowiki><nowiki>[[Kyllo v. United States]]</nowiki><nowiki>''</nowiki> (533 U.S. 27)에서 <nowiki>[[열화상 카메라]]</nowiki>를 사용하여 사전 허가 없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밝히는 것이 개인정보 침해로 간주되는 것이라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2019년, <nowiki>[[애플]]</nowiki>과 <nowiki>[[아마존]]</nowiki>은 경쟁하는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개발 후 직원들에게 <nowiki>[[#절친한|근방의]]</nowiki> 순간들을 듣고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도록 요구했습니다.<nowiki><ref name=bloomberg-siri-alexa-listen /></nowiki>

<nowiki>====경찰과 정부====</nowiki>

<nowiki>{{main|#개인정보 보호의 법적 권리}}</nowiki>

<nowiki>{{further|경찰|경찰 바디캠|PRISM (감시 프로그램)}}</nowiki>

<nowiki>{{see also|The Wire}}</nowiki>

경찰과 시민은 종종 경찰이 시민의 디지털 개인정보에 어느 정도 침범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충돌합니다. 예를 들어, 2012년, 안투안 존스가 GPS 추적기를 사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것으로 체포된 <nowiki>''</nowiki><nowiki>[[United States v. Jones (2012)|United States v. Jones]]</nowiki><nowiki>''</nowiki> (565 U.S. 400) 사건에서, 미 최고법원은사전 허가 없이 설치된 GPS 추적기를 사용하여 마약 소지 혐의로 체포된 안투안 존스의 사례에서, 헌법 제4조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합법적으로 정당한 [Griswold v. Connecticut]에서 이미 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치가 확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운송에서도 일정한 "합리적 개인정보보호 기대"가 있다는 것을 정당화했습니다. 최고법원은 또한 제4조가 물리적 침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침입에도 적용되며, <nowiki>''</nowiki>United States v. Jones<nowiki>''</nowiki>는곧 유명한 사건이 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United States v. Jones|url=https://www.oyez.org/cases/2011/10-1259|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2014년, 최고법원은 <nowiki>''</nowiki><nowiki>[[Riley v. California]]</nowiki><nowiki>''</nowiki> (573 U.S. 373)에서 다윗 레온 라일리가 만료된 면허 태그로 운전 중인 것을 검거된 후 경찰이 그의 전화를 수색하여 그가 총격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사전 허가 없이 시민의 휴대전화를 수색하는 것은 불합리한 수색으로 제4조를 위반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최고법원은 휴대전화에는 사소한 물품과 다른 개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결론 내리고, 클라우드에 저장된 정보도 반드시 증거의 형태는 아니라고 언급했습니다. <nowiki>''</nowiki>Riley v. California<nowiki>''</nowiki>는 경찰에게서 시민의 디지털 개인정보 보호를 보장하는 유명한 사건이 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Riley v. California|url=https://www.oyez.org/cases/2013/13-132|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nowiki>==최근 사건==</nowiki>

최근 디지털 개인정보와 관련된 법 집행과 시민 간의 갈등 중 하나는 2018년 사건인 <nowiki>''</nowiki><nowiki>[[Carpenter v. United States]]</nowiki><nowiki>''</nowiki> (585 U.S. ____). FBI가 티모시 아이보리 카펜터를 여러 혐의로 체포하기 위해 휴대전화 기록을 사전 허가 없이 사용했는데, 이에 대해 미국 대법원은 휴대전화 기록의 사전 허가 없는수색이 제4 수정안을 위반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제4 수정안이 "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를 보장하며 제3자에게 전송된 정보도"합리적 개인정보 보호 기대"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에 속한다고 언급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Carpenter v. United States|url=https://www.oyez.org/cases/2017/16-402|access-date=2021-09-27|website=Oyez}}</ref></nowiki>

법 집행 이외에도 많은 정부와 시민 간의 상호작용은 고발자를 통해 합법적 또는 불법적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nowiki>[[에드워드 스노든]]</nowiki>은 <nowiki>[[미국 국가 안보국]]</nowiki>의 대규모 감시 작전과 관련된 여러 작전을 공개한 인물로, 미국 국가 안보국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개인 정보를 침해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대부분 대규모 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제3자 사설 회사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다른 대사관이나 국제 국가의 프레임워크를 해킹하고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침해하는 것입니다. 이는 문화적 충격을 유발하며 디지털 개인정보와 관련된 국제적 논쟁을 촉발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17 disturbing things Snowden has taught us (so far)|url=https://www.pri.org/stories/2013-07-09/17-disturbing-things-snowden-has-taught-us-so-far|access-date=2021-09-28|website=The World from PRX|language=en}}</ref></nowiki>

<nowiki>==인터넷==</nowiki>

<nowiki>{{Main|인터넷 개인정보}}</nowiki>

<nowiki>{{see also|인터넷#사회적 영향|컴퓨터 네트워크#보안|보안#컴퓨터 보안|정보 개인정보}}</nowiki>

인터넷과 그 위에 구축된 기술은 점점 더 빠르고 대규모의 새로운 사회적 상호작용 형태를 가능하게 합니다. 인터넷의 컴퓨터 네트워크는 새로운 보안 문제를 도입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의 <nowiki>''</nowiki>개인정보<nowiki>''</nowiki>에 대한 논의는 종종 <nowiki>''</nowiki>보안<nowiki>''</nowiki>과 혼동됩니다.<nowiki><ref name="privacy-security-debate">{{cite web|title=Privacy vs Security: A pointless false dichotomy?|url=https://missinfogeek.net/privacy-vs-security-pt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131000446/https://missinfogeek.net/privacy-vs-security-pt1/|archive-date=2023-01-31|url-status=live}}</ref></nowiki> 사실, <nowiki>[[감시 자본주의]]</nowiki>에 참여하는 기업과 같은 많은 단체들은 개인정보에 대한 보안 중심적 개념으로 개인정보 유지 의무를 규제준수 문제로 축소시키는데, 동시에 그런 규제 요구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nowiki>[[로비]]</nowiki>를 하고 있습니다.<nowiki><ref name="waldman-industry-unbound">{{cite book|title=Industry Unbound: The Inside Story of Privacy, Data, and Corporate Power|author=Ari Ezra Waldman|year=2021|chapter=One Book in One Page|page=x|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doi=10.1017/9781108591386|isbn=978-1-108-49242-3}}</ref></nowiki><nowiki><ref name="data-broker-lobbying-congress">{{cite web|title=The Little-Known Data Broker Industry Is Spending Big Bucks Lobbying Congress|date=April 2021 |url=https://themarkup.org/privacy/2021/04/01/the-little-known-data-broker-industry-is-spending-big-bucks-lobbying-congres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422071359/https://themarkup.org/privacy/2021/04/01/the-little-known-data-broker-industry-is-spending-big-bucks-lobbying-congress|archive-date=2023-04-22|url-status=live}}</ref></nowiki>

하지만 인터넷의 <nowiki>''</nowiki>개인정보<nowiki>''</nowiki>에 대한 영향은 사용자의 <nowiki>''</nowiki>기대<nowiki>''</nowiki>가 무시되는 컴퓨터 기술과 그를 통제하는 주체들이 사용자의 <nowiki>[[사용자 (컴퓨팅)|사용자]]</nowiki>의 개인정보 기대를 교란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함합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cite web|title=The Web Means the End of Forgetting|date=2010-07-25|website=[[The New York Times]]|url=https://www.nytimes.com/2010/07/25/magazine/25privacy-t2.html|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310101907/https://www.nytimes.com/2010/07/25/magazine/25privacy-t2.html|archive-date=2019-03-10|url-status=live}}</ref></nowiki> 특히 <nowiki>[[잊힘의 권리]]</nowiki>는 <nowiki>''</nowiki>컴퓨터 기술의 능력<nowiki>''</nowiki>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정보를 인터넷에서 공유할 때 그 정보가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보존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은 사용자의 <nowiki>''</nowiki>기대<nowiki>''</nowiki>로부터 도출됩니다. <nowiki>[[복수 음란물]]</nowiki>과 <nowiki>[[딥페이크]]</nowiki>와 같은 현상들은 누군가의 동의 없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능력과 그 콘텐츠를 널리 보급시키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를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nowiki>[[사이버 시민 권리 이니셔티브]]</nowiki>와 <nowiki>[[전자적 자유재단]]</nowiki>과 같은 개인정보 옹호 단체들은 인터넷에서 도입된 새로운 개인정보 피해에대응하기 위해 <nowiki>[[#암호화|암호화]]</nowiki>와 <nowiki>[[#익명성|익명성]]</nowiki>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개선 뿐만 아니라 기업과 정부의 권력을 제한하기 위한 <nowiki>[[#법적 방법|법규규제]]</nowiki>와 같은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nowiki><ref name="eff-issues-privacy">{{cite web|title=Privacy|url=https://www.eff.org/issues/privacy|website=[[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ref></nowiki><nowiki><ref name="ccri-legislative-reform">{{cite web|title=Legislative Reform|website=[[Cyber Civil Rights Initiative]]|url=https://cybercivilrights.org/legislative-reform/}}</ref></nowiki>

인터넷은 1980년대까지 정부와 학계 노력으로 시작되었지만, 1990년대에는 개인 기업들이 인터넷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고 관리하기 시작했고,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인프라는 영리 기업들에 의해 소유 및 관리되고 있습니다.<nowiki><ref name="tarnoff-internet-for-the-people">{{cite book|title=Internet for the People: The Fight for Our Digital Future|author=Ben Tarnoff|year=2022|chapter=Preface: Among the Eels|pages=8–9|publisher=[[Verso Books]]|isbn=978-1-83976-202-4}}</ref></nowiki> 이 결과로 정부가 시민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은 주로통신이나 <nowiki>[[개인 데이터]]</nowiki>를 처리하는 기업을 규제하는 산업 정책에 제한되어 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2013-05-02|title=Fighting Identity Theft with the Red Flags Rule: A How-To Guide for Business|url=https://www.ftc.gov/tips-advice/business-center/guidance/fighting-identity-theft-red-flags-rule-how-guide-business|access-date=2021-09-2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magazine|last=Tiku|first=Nitasha|title=How Europe's New Privacy Law Will Change the Web, and More|language=en-US|magazine=Wired|url=https://www.wired.com/story/europes-new-privacy-law-will-change-the-web-and-more/|access-date=2021-10-26|issn=1059-1028}}</ref></nowiki> 개인정보 규정은 종종 어린이와 같은 특정 인구군이나 신용카드 기관과 같은 특정 산업을 보호하는 데 제한되기도 합니다.<nowiki><ref>{{Cite web|date=2013-07-25|title=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Rule ("COPPA")|url=https://www.ftc.gov/enforcement/rules/rulemaking-regulatory-reform-proceedings/childrens-online-privacy-protection-rule|access-date=2021-09-2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language=en}}</ref></nowiki><nowiki><ref>{{Cite web|title=Fair Credit Reporting Act|url=https://www.ftc.gov/legal-library/browse/statutes/fair-credit-reporting-act|access-date=2023-06-18|website=Federal Trade Commission|date=19 July 2013 |language=en}}</ref></nowiki>

<nowiki>===소셜 네트워킹===</nowiki>

<nowiki>{{main|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개인정보 우려}}</nowiki>

여러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OSN)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상위 10개 웹사이트 중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5년 8월 기준으로 페이스북은 거의 27억 명의 회원을 보유한 최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였으며, 회원들은 하루에 약 47.5억 개의 콘텐츠를 업로드합니다.<nowiki><ref>{{Cite web|title=Facebook: active users worldwide|url=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64810/number-of-monthly-active-facebook-users-worldwide/|access-date=2020-10-11|website=Statista|language=en}}</ref></nowiki> <nowiki>[[트위터]]</nowiki>는 등록된 사용자 수가 3억 1,600만 명으로 훨씬 작지만, 미국 <nowiki>[[국립도서관]]</nowiki>은 최근 2006년 이후의 모든 공개 트위터 게시물을 획득하여 영구적으로 보존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nowiki>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개인정보의 가치에 대한 현재 상태를 평가한 학술 작업의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른들은 잠재적인 개인정보 위협에대해 더 큰 우려를 보입니다. 둘째, 정책 결정자들은 자신들의 정보 개인정보 위험을 과소평가하는 사용자들에게 경고해야 합니다. 셋째, 소셜 네트워킹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전통적인 일차원적 개인정보 접근법이 부족합니다."<nowiki><ref>Hugl, Ulrike (2011), "Reviewing Person's Value of Privacy of Online Social Networking," ''Internet Research'', 21(4), in press, 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issn=1066-2243&volume=21&issue=4&articleid=1926600&show=abstrac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28144007/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issn=1066-2243&volume=21&issue=4&articleid=1926600&show=abstract |date=2014-03-28 }}</ref></nowiki> 이는 <nowiki>[[데이터 재식별화]]</nowiki> 연구에 의한 것으로, 텍스트 샘플, 브라우징 로그, 또는 페이스북 좋아요와 같은 다양한 <nowiki>[[디지털 발자취]]</nowiki>를 기반으로 성적 성향, 인종, 종교 및 정치적 견해, 성격, 지능과 같은 개인 특성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nowiki><ref name="Kosinski 2013 5802–5805">{{cite journal|last=Kosinski|first=Michal|author2=Stillwell, D. |author3=Graepel, T. |title=Private traits and attributes are predictable from digital records of human behavior|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year=2013|volume=110|issue=15|pages=5802–5805|doi=10.1073/pnas.1218772110|pmid=23479631|pmc=3625324|bibcode=2013PNAS..110.5802K|doi-access=free}}</ref></nowiki>

소셜 미디어의 개인정보 침해는 미국에서 고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nowiki>[[마이크로소프트]]</nowiki>에 따르면, 미국의 75%의 채용 담당자와 인사 담당자들이후보자에 대해 온라인으로 조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주로 검색 엔진,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사진/비디오 공유 사이트, 개인 웹사이트 및 블로그, 그리고 <nowiki>[[트위터]]</nowiki>에서 제공된 정보를 사용합니다. 또한, 미국의 70%의 채용 담당자가 인터넷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자를 거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로 인해많은 후보자들이 온라인 평판과 함께 다양한 온라인 <nowiki>[[개인정보 설정]]</nowiki>을 통제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으며,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소셜 미디어 사이트와 미국 고용주 양측에 대한 법적 소송이 발생했습니다.<nowiki><ref name="web-means-end-of-forgetting"/></nowiki>

<nowiki>====셀카 문화====</nowiki>

<nowiki>{{further|#Privacy paradox and economic valuation}}</nowiki>

<nowiki>[[셀카]]</nowiki>가 오늘날 인기가 있습니다. #셀피 해시태그로 검색하면 인스타그램에서 2300만 개 이상의 결과물을 찾을 수 있으며 #me 해시태그로 검색하면5100만 개 이상의 결과물이 나옵니다.<nowiki><ref>{{Cite news|date=2013-06-07|title=Self-portraits and social media: The rise of the 'selfie'|language=en-GB|work=BBC News|url=https://www.bbc.com/news/magazine-22511650|access-date=2021-03-17}}</ref></nowiki> 그러나현대 기업 및 정부의 감시로 인해 이는 개인정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last=Giroux|first=Henry A.|date=2015-05-04|title=Selfie Culture in the Age of Corporate and State Surveillance|journal=Third Text|volume=29|issue=3|pages=155–164|doi=10.1080/09528822.2015.1082339|s2cid=146571563|issn=0952-8822}}</ref></nowiki> 3763명의 샘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에 셀카를 게시하는 사용자들은 여성이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가 더 크며,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우려가 그들의 셀카 행동과 활동을역으로 예측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last1=Dhir|first1=Amandeep|last2=Torsheim|first2=Torbjørn|last3=Pallesen|first3=Ståle|last4=Andreassen|first4=Cecilie S.|date=2017|title=Do Online Privacy Concerns Predict Selfie Behavior among Adolescents, Young Adults and Adults?|journal=Frontiers in Psychology|language=en|volume=8|page=815|doi=10.3389/fpsyg.2017.00815|pmid=28588530|pmc=5440591|issn=1664-1078|doi-access=free}}</ref></nowiki>

<nowiki>====온라인 괴롭힘====</nowiki>

<nowiki>{{main|온라인 괴롭힘}}</nowiki>

<nowiki>{{further|복수 음란물|도킹|콘텐츠 모니터링}}</nowiki>

개인정보 침해는 누군가의 개인정보가 널리 퍼지고 빠르게 인터넷에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셜 미디어 사이트와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가 <nowiki>[[콘텐츠 모니터링]]</nowiki>에 투자하지 않을 경우, 개인정보 침해는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훨씬 많고 심각한 괴롭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nowiki>[[복수 음란물]]</nowiki>은 <nowiki>[[아만다토드의 자살]]</nowiki>과 <nowiki>[[타일러 클레멘티의 자살]]</nowiki>과 같은 <nowiki>[[여성혐오]]</nowiki> 또는 <nowiki>[[동성애 혐오]]</nowiki>적 괴롭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의 신체적 위치나 다른 민감한 정보가 <nowiki>[[도킹]]</nowiki>을 통해 인터넷에 유출되면, 괴롭힘이 <nowiki>[[스토킹]]</nowiki>이나 <nowiki>[[스웨팅]]</nowiki>과 같은 직접적인 신체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가 온라인 괴롭힘을 심화시킬 수 있지만, 온라인 괴롭힘은 종종 <nowiki>[[억양|익명성]]</nowiki>을 통한 <nowiki>[[개인정보 보호 기대]]</nowiki>를 없애거나, <nowiki>[[검색 영장]]</nowiki> 없이도 권한을 침해할 수 있도록 하는 <nowiki>[[언론의 자유]]</nowiki>를 제한하기 위한 핑계로 사용됩니다. 아만다 토드의 사망 이후, 캐나다 의회는 괴롭힘을 멈추겠다는 명제를 제안했지만, 토드의 어머니는 의회에 증언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검색 영장 없는 조항 때문에 법안을 거부했으며 "우리 아이들이 다시 한 번 개인정보 권리를 잃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nowiki><ref name="ctv-todd-mp-motion">{{cite web |url= http://www.ctvnews.ca/canada/in-wake-of-amanda-todd-suicide-mps-to-debate-anti-bullying-motion-1.995254 |title= In wake of Amanda Todd suicide, MPs to debate anti-bullying motion |publisher=CTV News |date= October 14, 2012 |author=CTVNews.ca Staff |access-date= October 17, 2012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9213910/http://www.ctvnews.ca/canada/in-wake-of-amanda-todd-suicide-mps-to-debate-anti-bullying-motion-1.995254 |archive-date= October 29, 2013 |df=mdy-all}}</ref></nowiki><nowiki><ref name="2013 Bill C-13">{{cite web | url=https://www.thestar.com/news/canada/2014/05/13/amanda_todds_mother_raises_concerns_about_cyberbullying_bill.html | title=Amanda Todd's mother raises concerns about cyberbullying bill: Families of cyberbullying victims want legislation, but some have concerns about warrantless access to Canadians personal data. | work=www.thestar.com | date=2014-04-13 | access-date=2016-09-12 | author=Boutilier, Alex | url-status=live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28011059/https://www.thestar.com/news/canada/2014/05/13/amanda_todds_mother_raises_concerns_about_cyberbullying_bill.html | archive-date=October 28, 2016 | df=mdy-all }}</ref></nowiki><nowiki><ref name="Justice Committee on May 13th, 2014">{{cite web | url=https://openparliament.ca</nowiki>

이러한 법이 개인 정보 보호를 고려하여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괴롭힘이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nowiki>[[한국방송통신위원회]]</nowiki>가 2007년 온라인 댓글 작성자를 위한 등록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악의적인 댓글은 0.9%만감소했으며, 2011년에는 이를 폐지했습니다.<nowiki><ref name="chosun-kcc-registration">{{cite web|title=Real-Name Online Registration to Be Scrapped|url=https://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30/2011123001526.html|website=[[TheChosun Ilbo]]|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423035426/https://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30/2011123001526.html|archive-date=2023-04-23|url-status=live}}</ref></nowiki> 이에 이어진 분석에서는 실명을 사용하도록 강요당한 사용자 집단이 "공격적인 표현"의 수를 오히려 늘렸다고밝혀졌습니다.<nowiki><ref name="kcc-law-real-name-analysis">{{cite conference|url=https://www.computer.org/csdl/proceedings-article/hicss/2012/06149194/12OmNyKJiDq|title=Empiricalanalysis of online anonymity and user behaviors: the impact of real name policy|author-link1=A. Acquisti|author-link2=Soodong Kim|author-link3=Daegon Cho|year=2012|publisher=[[IEEE Computer Society]]|edition=45th|conference=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ref></nowiki>

미국에서는 연방 법률이 성별과 인종과 같은 보호 받는 특성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괴롭힘만 금지하지만,<nowiki><ref name="us-federal-cyberbullying">{{cite web|title=Law, Policies and Regulations|date=24 September 2019 |url=https://www.stopbullying.gov/resources/laws|access-date=2023-06-19}}</ref></nowiki> 개별 주에서는 괴롭힘의정의를 확장하여 언어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플로리다의 온라인 괴롭힘 정의에는 "학교의 질서 있는 운영을 심각하게방해하는 모든 데이터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사용"을 포함합니다.<nowiki><ref name="florida-cyberbullying">{{cite web|title=Florida Anti-Bullying Laws and Policies|date=24 September 2019 |url=https://www.stopbullying.gov/resources/laws/florida|access-date=2023-06-19}}</ref></nowiki>

===개인 정보와 위치 기반 서비스=== <nowiki>{{main|위치 기반 서비스}}</nowiki>

점점 더 많은 모바일 기기가 <nowiki>[[위치 추적]]</nowiki>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는 사용자 개인 정보 문제를 야기합니다. 사용자의 위치와선호도는 <nowiki>[[개인 정보]]</nowiki>를 구성하며, 그것들의 부적절한 사용은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침해합니다. 최근 MIT 연구에서de Montjoye 등은 1.5백만 명의 사람 중 95%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필요한 약간한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4개의공간-시간 점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데이터 세트의 해상도가 낮을 때에도 이러한 제약이 유지된다는것을 더 나아가 보여줍니다. 따라서 거친 또는 흐릿한 데이터 세트조차도 거의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하지않습니다.<nowiki><ref>{{cite journal |last=de Montjoye|first=Yves-Alexandre|author2=César A. Hidalgo |author3=Michel Verleysen |author4=Vincent D. Blondel |title=Unique in the Crowd: The privacy bounds of human mobility|journal=Scientific Reports|date=March 25, 2013 |volume=3| page=1376|doi=10.1038/srep01376|pmid=23524645|pmc=3607247|bibcode=2013NatSR...3E1376D}}</ref></nowiki>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제안되었습니다. 이는 익명화 서버 및 정보의 흐림화와 같은 방법을 포함합니다. 개인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는데,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는 이익과개인의 개인 정보를 침해하는 위험 사이의 균형을 계산하기 위한것입니다.<nowiki><ref>Athanasios S. Voulodimos and Charalampos Z. Patrikakis, "Quantifying Privacy in Terms of Entropy for Context Aware Services", special issue of the Ident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journal, "Identity Management in Grid and SOA", Springer, vol. 2, no 2, December 2009</ref></nowiki>'''

원문의 문장부호 안의 내용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를 한국어로 번역해드렸습니다. 필요한 경우 더 도와드릴 내용이 있으면알려주세요!

====위치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윤리적 논쟁==== 위치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스캔들이 있었습니다. 한 사례는<nowiki>[[AccuWeather]]</nowiki>와 관련된 스캔들인데, AccuWeather가 위치 데이터를 판매하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Accuweather 내에서 거부하더라도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했습니다. Accuweather는이 데이터를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회사인 Reveal Mobile에 판매했습니다.<nowiki><ref>{{Cite web|last=Whittaker|first=Zack|title=AccuWeather caught sending user location data – even when location sharing is off|url=https://www.zdnet.com/article/accuweather-caught-sending-geo-location-data-even-when-denied-access/|access-date=2021-11-22|website=ZDNet|language=en}}</ref></nowiki> 다른 국제적인 사례들도Accuweather 사건과 유사합니다. 2017년, McDelivery 앱 내의 누수 API로 인해 220만 사용자의 집 주소와 같은 개인데이터가 노출되었습니다.<nowiki><ref>{{Cite web|date=March 20, 2017|first=Jeremy|last=Kirk|title=McShame: McDonald's API Leaks Data for 2.2 Million Users|url=https://www.bankinfosecurity.com/blogs/mcshame-mcdonalds-api-leaks-data-for-22-million-users-p-2426|access-date=2021-11-22|website=www.bankinfosecurity.com|language=en}}</ref></nowiki>

이러한 유형의 스캔들 이후,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많은 미국의 대규모 기술 기업들은 미국 입법 제도 아래에서 청문회와압박을 받았습니다. 2011년에 미국 상원의원인 <nowiki>[[알 프랭큰]]</nowiki>은 <nowiki>[[아이폰]]</nowiki>과 <nowiki>[[아이패드]]</nowiki>이 사용자의 위치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능력에 대해 <nowiki>[[스티브 잡스]]</nowiki>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nowiki><ref>Popkin, Helen A.S., [https://archive.today/20120714202126/http://technolog.msnbc.msn.com/_news/2011/04/21/6508416-govt-officials-want-answers-to-secret-iphone-tracking "Gov't officials want answers to secret iPhone tracking"]. MSNBC, "Technology", April 21, 2011</ref></nowiki><nowiki><ref>{{cite web|title=Apple faces questions from Congress about iPhone tracking|website=[[Computerworld]]|url=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7868/apple-faces-questions-from-congress-about-iphone-tracking.html|date=2011-04-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0044451/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7868/apple-faces-questions-from-congress-about-iphone-tracking.html|archive-date=2019-07-20|url-status=live}}</ref></nowiki>애플은 이것이 의도치 않은 <nowiki>[[소프트웨어 버그]]</nowiki>라고 주장했지만, <nowiki>[[Center for Democracy and Technology]]</nowiki>의 Justin Brookman은 이를 직접 도전하면서 "그들이 버그라고 하는 것을 고치는 것은 좋지만, 사용자를 추적하지 않는다는 그들의강한 부인에는 이의를 제기한다"고 말했습니다.<nowiki><ref>{{cite web|title=Apple denies tracking iPhone users, but promises changes|website=[[Computerworld]]|url=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6250/apple-denies-tracking-iphone-users--but-promises-changes.html|date=2011-04-2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0329094239/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2506250/apple-denies-tracking-iphone-users--but-promises-changes.html|archive-date=2023-03-29|url-status=live}}</ref></nowiki> 2021년에 미국 애리조나 주는 Google이 사용자들을 오도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설정과 관계없이 저장했다고 판결했습니다.<nowiki><ref name="state-arizona-redacted-complaint">{{cite web|url=https://www.azag.gov/sites/default/files/2021-05/Complaint%20%28redacted%29.pdf|title=Complaint for Injunctive and Other Relief|access-date=2021-06-03|date=2021-06-03|publisher=The Superior Court of the State of Arizona In and For the County of Maricopa}}</ref></nowiki>

===광고=== <nowiki>{{main|온라인 광고}}</nowiki> <nowiki>{{further|감시 자본주의|대규모 감시 산업}}</nowiki> <nowiki>{{advert section|date=June 2023}}</nowiki>
인터넷은 광고를 위한 중요한 매체가 되었으며, 2019년에는 디지털 마케팅이 글로벌 광고 지출의 약 절반을 차지했습니다.<nowiki><ref>{{Cite web |title=Global Digital Ad Spending 2019 |url=https://www.insiderintelligence.com/content/global-digital-ad-spending-2019 |access-date=2023-09-30 |website=Insider Intelligence}}</ref></nowiki> 웹사이트는 여전히 <nowiki>[[컨텍스트 광고]]</nowiki>를 포함하여 추적 없이 광고 공간을 판매할 수 있지만, 페이스북과 <nowiki>[[Google]]</nowiki>과 같은 디지털 광고 중개업체들은 대신 웹사이트 소유자가 사용자를 <nowiki>[[HTTP 쿠키]]</nowiki>를 통해 추적할 수 있도록 코드 단편을 제공하여 <nowiki>[[행동적 광고|행동적 광고]]</nowiki>를 장려했습니다. 이 추적 데이터는 대규모 감시 산업의 일환으로 다른 제3자에게도 판매됩니다. 모바일 전화기가 등장한이후, 데이터 중개업체는 앱 내에도 삽입되어 약 3조 5000억 달러의 디지털 산업을 모바일 기기에 특히 집중시켰습니다.<nowiki><ref name=":7"/></nowiki>
[[분류:프라이버시 법]]
[[분류:아이덴티티 관리]]
[[분류:인권]]
[[분류:인권]]
[[분류:사회 문제]]
[[분류:디지털 권리]]
[[분류:디지털 권리]]
[[분류:민권과 자유권]]
[[분류:프라이버시 ]]
[[분류:프라이버시]]

2023년 12월 18일 (월) 18:02 판

프라이버시(privacy)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프라이버시를 사생활(私生活)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사생활은 개인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보호하는 측면을 강조하는데 반해, 프라이버시는 개인의 정보를 공개 또는 비공개할 수 있는 선택적 권리를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사생활'보다는 '프라이버시'가 좀 더 적극적인 개념이다.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대개가 서양 문화, 특히 영국과 북아메리카와 관련되어 있다. 일부 연구가들에 따르면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프랑스, 이탈리아같은 기타 서유럽 문화를 떼어놓더라도 앵글로아메리카 문화와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1] 이 용어가 서부 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지되고 있지만, 프라이버시 용어 자체가 최근까지도 일부 국가에서는 사실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화는 더 넓은 사회와 공유하지 않는 자신만의 보이지 않는 정보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다.

인터넷이 발전되면서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법학 교수이자 저자인 제프리 로젠은 "인터넷은 컴퓨터가 모든 온라인 사진, 상태 업데이트, 트위터 게시물 및 블로그 항목을 영원히 저장할 수 있는" 시대에 프라이버시에 대한 새로운 우려를 가져왔다"고 말한다.[2]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http://www.gramota.ru/biblio/magazines/gramota/28_520
  2. Rosen, Jeffrey (2010년 7월 21일). “The Web Means the End of Forgetting”.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1년 3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