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영어판 위키(2023년 8월 13일 버전)를 참고하여 한국어판 문서로 번역함.
태그: 동음이의 링크
(차이 없음)

2023년 9월 1일 (금) 14:18 판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8R,9S,13S,14S,17R)-17-ethynyl-13-methyl-7,8,9,11,12,14,15,16-octahydro-6H-cyclopenta[a]phenanthrene-3,17-diol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7-63-6
ATC 코드 G03CA01 L02AA03
PubChem 5991
드러그뱅크 DB00977
ChemSpider 5770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0H24O2 
분자량 ?
유의어 ethynylestradiol; ethinyl estradiol; ethinyl oestradiol; EE; EE2; 17α-ethynylestradiol; 17α-ethynylestra-1,3,5(10)-triene-3,17β-diol; NSC-10973[1]
물리적 성질
녹는점 182–184 °C (360–363 °F)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38–48%[2][3][4]
단백질 결합 97–98% (to albumin;[5] is not bound to SHBG)[6]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Liver (primarily CYP3A4)[7]
생물학적 반감기 7–36 hours[7][2][8][9]
배출 Feces: 62%[8]
Urine: 38%[8]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유럽 의약청: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X (USA)
법적 상태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By mouth (tablet)
Transdermal (patch)
Vaginal (ring)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영어: ethinylestradiol, EE)은 프로게스틴과 함께 피임약에 널리 사용되는 에스트로젠 약물이다.[10][11] 17α-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영어: 17α-ethinylestradiol), 17-R-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영어: 17-R-ethinylestradiol)이라고도 한다. 과거에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은 갱년기 증상, 부인과 질환 및 특정 호르몬 민감성 암의 치료와 같은 다양한 적응증에 널리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하지만 패치질내고리로 사용된다.[10][12]

같이 보기

각주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Elks2014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 Goldzieher JW, Brody SA (December 1990). “Pharmacokinetics of ethinyl estradiol and mestranol”.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63 (6 Pt 2): 2114–2119. doi:10.1016/0002-9378(90)90550-Q. PMID 2256522. 
  3. Fruzzetti F, Trémollieres F, Bitzer J (May 2012).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stradiol: focus on estradiol valerate/dienogest”. 《Gynecological Endocrinology》 28 (5): 400–408. doi:10.3109/09513590.2012.662547. PMC 3399636. PMID 22468839. 
  4. Fotherby K (August 1996).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sex steroids used in oral contracep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ontraception》 54 (2): 59–69. doi:10.1016/0010-7824(96)00136-9. PMID 8842581. 
  5. Facts and Comparisons (Firm); Ovid Technologies, Inc (2005). 《Drug Facts and Comparisons 2005: Pocket Version》. Facts and Comparisons. 121쪽. ISBN 978-1-57439-179-4. 
  6. Micromedex (2003년 1월 1일). 《USP DI 2003: Drug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homson Micromedex. 1253, 1258, 1266쪽. ISBN 978-1-56363-429-1. 
  7. Hughes CL, Waters MD (2016년 3월 23일). 《Translational Toxicology: Defining a New Therapeutic Discipline》. Humana Press. 73–쪽. ISBN 978-3-319-27449-2. 
  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pmid23375353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9.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hellenberger1986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0. Kuhl H (August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S2CID 24616324. 
  11. Oettel M, Schillinger E (2012년 12월 6일).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strogens and Antiestroge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10,15,165,247–248,276–291,363–408,424,514,540,543,581쪽. ISBN 978-3-642-60107-1. The binding affinity of EE2 for the estrogen receptor is similar to that of estradiol. [...] During daily intake, the EE2 levels increase up to a steady state which is reached after about 1 week. 
  12.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