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포스포네이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R0725 (토론 | 기여)
LR0725 (토론 | 기여)
19번째 줄: 19번째 줄:


위험도가 낮은 사람들의 경우 [[경구 투여]] 5년 또는 [[정맥 주사|정맥 투여]] 3년 후에 치료를 그만둘 수 있다.<ref name=Ad2016/>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서는 경구 투여 10년 또는 정맥 투여 6년 후에 치료를 멈출 수 있다.<ref name=Ad2016>{{cite journal|last1=Adler|first1=Robert A|last2=El-Hajj Fuleihan|first2=Ghada|last3=Bauer|first3=Douglas C|last4=Camacho|first4=Pauline M|last5=Clarke|first5=Bart L|last6=Clines|first6=Gregory A|last7=Compston|first7=Juliet E|last8=Drake|first8=Matthew T|last9=Edwards|first9=Beatrice J|last10=Favus|first10=Murray J|last11=Greenspan|first11=Susan L|last12=McKinney|first12=Ross|last13=Pignolo|first13=Robert J|last14=Sellmeyer|first14=Deborah E|title=Managing Osteoporosis in Patients on Long-Term Bisphosphonate Treatment: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journal=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date=January 2016|volume=31|issue=1|pages=16–35|doi=10.1002/jbmr.2708|pmid=26350171|pmc=4906542}}</ref>
위험도가 낮은 사람들의 경우 [[경구 투여]] 5년 또는 [[정맥 주사|정맥 투여]] 3년 후에 치료를 그만둘 수 있다.<ref name=Ad2016/>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서는 경구 투여 10년 또는 정맥 투여 6년 후에 치료를 멈출 수 있다.<ref name=Ad2016>{{cite journal|last1=Adler|first1=Robert A|last2=El-Hajj Fuleihan|first2=Ghada|last3=Bauer|first3=Douglas C|last4=Camacho|first4=Pauline M|last5=Clarke|first5=Bart L|last6=Clines|first6=Gregory A|last7=Compston|first7=Juliet E|last8=Drake|first8=Matthew T|last9=Edwards|first9=Beatrice J|last10=Favus|first10=Murray J|last11=Greenspan|first11=Susan L|last12=McKinney|first12=Ross|last13=Pignolo|first13=Robert J|last14=Sellmeyer|first14=Deborah E|title=Managing Osteoporosis in Patients on Long-Term Bisphosphonate Treatment: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journal=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date=January 2016|volume=31|issue=1|pages=16–35|doi=10.1002/jbmr.2708|pmid=26350171|pmc=4906542}}</ref>

=== 암 ===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유방암]],<ref name=OCarrigan2017>{{Cite journal|last1=O'Carrigan|first1=Brent|last2=Wong|first2=Matthew Hf|last3=Willson|first3=Melina L.|last4=Stockler|first4=Martin R.|last5=Pavlakis|first5=Nick|last6=Goodwin|first6=Annabel|date=2017|title=Bisphosphonates and other bone agents for breast cancer|journal=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volume=10|issue=11|pages=CD003474|doi=10.1002/14651858.CD003474.pub4|issn=1469-493X|pmid=29082518|pmc=6485886}}</ref> [[폐암]],<ref>{{cite journal |vauthors=Lopez-Olivo MA, Shah NA, Pratt G, Risser JM, Symanski E, Suarez-Almazor ME |title=Bisphosphonate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metastatic bone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Support Care Cancer |volume=20 |issue=11 |pages=2985–98 | date=November 2012|pmid=22956190 |pmc=3691019 |doi=10.1007/s00520-012-1563-z }}</ref> 다른 전이성 암이나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ref>{{cite journal |vauthors=Mhaskar R, Kumar A, Miladinovic B, Djulbegovic B |title=Bisphosphonates in multiple myeloma: a network meta-analysis |journal=Cochrane Database Syst Rev |volume= 12|pages=CD003188 |year=2017 |pmid=29253322|doi=10.1002/14651858.CD003188.pub4 |pmc=6486151 }}</ref> 골절과 뼈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ref>{{cite journal |vauthors=Zhu M, Liang R, Pan LH |title=Zoledronate for metastatic bone disease and pai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journal=Pain Med |volume=14 |issue=2 |pages=257–64 | date=February 2013|pmid=23279447 |doi=10.1111/pme.12016 |display-authors=etal|doi-access=free }}</ref> 유방암 환자의 생존률을 개선하는지에 대해서는 근거가 엇갈린다.<ref name=OCarrigan2017 /><ref>{{cite journal |vauthors=Ben-Aharon I, Vidal L, Rizel S |title=Bisphosphonates in the adjuvant setting of breast cancer therapy--effect on surviv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PLOS ONE |volume=8 |issue=8 |pages=e70044 |year=2013 |pmid=23990894 |pmc=3753308 |doi=10.1371/journal.pone.0070044 |bibcode=2013PLoSO...870044B |display-authors=etal|doi-access=free }}</ref><ref>{{cite journal |vauthors=Zhu J, Zheng Y, Zhou Z |title=Oral adjuvant clodronate therapy could improve overall survival in early breast cancer: results from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Eur. J. Cancer |volume=49 |issue=9 |pages=2086–92 | date=June 2013|pmid=23452992 |doi=10.1016/j.ejca.2013.01.021 }}</ref><ref name=VanAcker2015 /> 2017년의 코크란 리뷰에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가 초기 유방암 환자의 뼈로 암이 퍼질 위험을 줄여주지만, 진행성 유방암에서는 뼈 전이 위험을 줄이지 못한다고 밝혔다.<ref name=OCarrigan2017 />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관련 부작용은 경증이거나 드물다.<ref name=OCarrigan2017 />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다발성 골수종과 [[전립샘암]] 환자의 사망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ref name=VanAcker2015>{{cite journal|last1=Van Acker|first1=HH|last2=Anguille|first2=S|last3=Willemen|first3=Y|last4=Smits|first4=EL|last5=Van Tendeloo|first5=VF|title=Bisphosphonates for cancer treatment: Mechanisms of action and lessons from clinical trials.|journal=Pharmacology & Therapeutics|date=23 November 2015|pmid=26617219|doi=10.1016/j.pharmthera.2015.11.008|volume=158|pages=24–40}}</ref>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12월 28일 (수) 18:32 판

바이포스포네이트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 작용기가 약물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며,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종류를 구별하는 기준이 된다. 이 화학 구조는 칼슘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져 빠르고 특이적으로 표적에 작용할 수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s)는 골밀도 소실을 막는 데에 쓰이는 약물의 한 종류로, 골다공증이나 그와 비슷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골다공증 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처방약이다.[1] 두 개의 인산염(PO(OH)
2
)을 가지므로 'bisphosphonate'이라고 한다. 접두사 'bis-' 대신 'di-'가 붙어 디포스포네이트(diphosphonates)라고도 한다.

여러 근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을 가진 폐경후 여성의 골절 위험을 줄여 준다고 밝혔다.[2][3][4][5][6]

조직은 지속적인 골재형성을 거치며,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와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균형(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파골세포가 사멸하도록 만들어 뼈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고, 따라서 골량의 소실을 줄인다.[7]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은 골다공증, (고칼슘혈증의 유무에 관계없이) 뼈 전이, 다발성 골수종, 일차성 부갑상샘기능항진증, 골형성부전증, 뼈파제트병, 뼈의 섬유이형성증, 그 외에 뼈를 약하게 만드는 여러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이용된다.

의학적 사용

골다공증과 파제트병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일차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알렌드로네이트리세드로네이트이다. 이 두 약물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소화계 부작용이 생길 경우 파미드로네이트 정맥 주사를 이용할 수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면 그 외에 스트론튬 라넬레이트테리파라타이드가 쓰이기도 한다. 폐경기 여성에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대신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인 랄록시펜을 투여하기도 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스테로이드 유도성 골다공증에서 척추골절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8]

폐경후 골다공증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후 골다공증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된다.[5][9][10][11]

비스포스포네이트로 장기간 치료 시 초기 3~5년 치료 후에 3~5년 동안 지속되는 골절 방지와 골밀도 향상 효과를 낸다.[2]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일종인 알렌드로네이트는 고관절, 척추, 손목 골절을 35~39% 감소시키며, 졸레드로네이트는 고관절 골절 위험을 38%, 척추골절 위험은 62% 감소시킨다.[3][4] 리세드로네이트도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5][6]

위험도가 낮은 사람들의 경우 경구 투여 5년 또는 정맥 투여 3년 후에 치료를 그만둘 수 있다.[12]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서는 경구 투여 10년 또는 정맥 투여 6년 후에 치료를 멈출 수 있다.[12]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유방암,[13] 폐암,[14] 다른 전이성 암이나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15] 골절과 뼈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16] 유방암 환자의 생존률을 개선하는지에 대해서는 근거가 엇갈린다.[13][17][18][19] 2017년의 코크란 리뷰에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가 초기 유방암 환자의 뼈로 암이 퍼질 위험을 줄여주지만, 진행성 유방암에서는 뼈 전이 위험을 줄이지 못한다고 밝혔다.[13]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관련 부작용은 경증이거나 드물다.[13]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다발성 골수종과 전립샘암 환자의 사망률도 감소시킬 수 있다.[19]

참고 문헌

  1. National Osteoporosis Society. “Drug Treatment”. U.K. National Osteoporosis Society. 2012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2. Eriksen EF, Díez-Pérez A, Boonen S (January 2014). “Update on long-term treatment with bisphosphonates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Bone》 58: 126–35. doi:10.1016/j.bone.2013.09.023. PMID 24120384. 
  3. Serrano AJ, Begoña L, Anitua E, Cobos R, Orive G (December 2013).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lendronate and zoledronate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Gynecol. Endocrinol.》 29 (12): 1005–14. doi:10.3109/09513590.2013.813468. PMID 24063695. S2CID 20163452. 
  4. Gauthier, K; Bai, A; Perras, C; Cunningham, J; Ahuja, T; Richter, T; Kovacs, C (February 2012). “Denosumab, Raloxifene, and Zoledronic Acid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Clinical Effectiveness and Harms”. 《Rapid Response Report: Systematic Review》. PMID 24278999. 
  5. Watts NB, Bilezikian JP, Camacho PM, Greenspan SL, Harris ST, Hodgson SF, Kleerekoper M, Luckey MM, McClung MR, Pollack RP, Petak SM (2010).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Medical Guidelines for Clinical Practic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Endocr Pract》. 16 Suppl 3: 1–37. doi:10.4158/ep.16.s3.1. PMC 4876714. PMID 21224201. 
  6. Kanis JA, McCloskey EV, Johansson H, Cooper C, Rizzoli R, Reginster JY (January 2013). “European guidanc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 Int》 24 (1): 23–57. doi:10.1007/s00198-012-2074-y. PMC 3587294. PMID 23079689. 
  7. Weinstein RS, Roberson PK, Manolagas SC (January 2009). “Giant osteoclast formation and long-term oral bisphosphonate therapy”. 《N. Engl. J. Med.》 360 (1): 53–62. doi:10.1056/NEJMoa0802633. PMC 2866022. PMID 19118304.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8. Allen, CS; Yeung, JH; Vandermeer, B; Homik, J (2016년 10월 5일). “Bisphosphonates for steroid-induced osteoporos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6 (10): CD001347. doi:10.1002/14651858.CD001347.pub2. PMC 6461188. PMID 27706804. 
  9.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2010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17 (1): 25–54; quiz 55–6. 2010. doi:10.1097/gme.0b013e3181c617e6. PMID 20061894. S2CID 7980731. 
  10. Hauk L (August 2013). “ACOG releases practice bulletin on osteoporosis”. 《Am Fam Physician》 88 (4): 269–75. PMID 23944732. 
  11. Compston J, Bowring C, Cooper A, 외. (August 2013).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lder men in the UK: National Osteoporosis Guideline Group (NOGG) update 2013”. 《Maturitas》 75 (4): 392–6. doi:10.1016/j.maturitas.2013.05.013. PMID 23810490. 
  12. Adler, Robert A; El-Hajj Fuleihan, Ghada; Bauer, Douglas C; Camacho, Pauline M; Clarke, Bart L; Clines, Gregory A; Compston, Juliet E; Drake, Matthew T; Edwards, Beatrice J; Favus, Murray J; Greenspan, Susan L; McKinney, Ross; Pignolo, Robert J; Sellmeyer, Deborah E (January 2016). “Managing Osteoporosis in Patients on Long-Term Bisphosphonate Treatment: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31 (1): 16–35. doi:10.1002/jbmr.2708. PMC 4906542. PMID 26350171. 
  13. O'Carrigan, Brent; Wong, Matthew Hf; Willson, Melina L.; Stockler, Martin R.; Pavlakis, Nick; Goodwin, Annabel (2017). “Bisphosphonates and other bone agents for breast cancer”.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11): CD003474. doi:10.1002/14651858.CD003474.pub4. ISSN 1469-493X. PMC 6485886. PMID 29082518. 
  14. Lopez-Olivo MA, Shah NA, Pratt G, Risser JM, Symanski E, Suarez-Almazor ME (November 2012). “Bisphosphonate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metastatic bone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upport Care Cancer》 20 (11): 2985–98. doi:10.1007/s00520-012-1563-z. PMC 3691019. PMID 22956190. 
  15. Mhaskar R, Kumar A, Miladinovic B, Djulbegovic B (2017). “Bisphosphonates in multiple myeloma: a network meta-analy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12: CD003188. doi:10.1002/14651858.CD003188.pub4. PMC 6486151. PMID 29253322. 
  16. Zhu M, Liang R, Pan LH, 외. (February 2013). “Zoledronate for metastatic bone disease and pai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Pain Med》 14 (2): 257–64. doi:10.1111/pme.12016. PMID 23279447. 
  17. Ben-Aharon I, Vidal L, Rizel S, 외. (2013). “Bisphosphonates in the adjuvant setting of breast cancer therapy--effect on surviv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8 (8): e70044. Bibcode:2013PLoSO...870044B. doi:10.1371/journal.pone.0070044. PMC 3753308. PMID 23990894. 
  18. Zhu J, Zheng Y, Zhou Z (June 2013). “Oral adjuvant clodronate therapy could improve overall survival in early breast cancer: results from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 J. Cancer》 49 (9): 2086–92. doi:10.1016/j.ejca.2013.01.021. PMID 23452992. 
  19. Van Acker, HH; Anguille, S; Willemen, Y; Smits, EL; Van Tendeloo, VF (2015년 11월 23일). “Bisphosphonates for cancer treatment: Mechanisms of action and lessons from clinical trials.”. 《Pharmacology & Therapeutics》 158: 24–40. doi:10.1016/j.pharmthera.2015.11.008. PMID 266172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