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 원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넘겨주기 대상을 상대성이론에서 갈릴레이 불변성 문서로 변경했습니다
태그: 넘겨주기 대상 변경
"Principle of relativity" 문서를 번역하여 만듦
태그: 넘겨주기 제거 [번역] [번역 2]
1번째 줄: 1번째 줄:
[[물리학]] 에서 '''상대성 원리'''는 물리 법칙을 설명하는 방정식이 모든 허용 가능한 [[기준틀]] 에서 동일한 형식을 가져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다.
#넘겨주기 [[갈릴레이 불변성]]

예를 들어, 특수 상대성 이론의 틀에서 [[맥스웰 방정식|Maxwell 방정식]] 은 모든 관성 참조 프레임에서 동일한 형식을 갖는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틀에서 Maxwell 방정식 또는 [[아인슈타인 방정식|Einstein 방정식]]은 임의의 프레임에서 동일한 형식을 갖는다.


묵시적( [[뉴턴 운동 법칙|뉴턴 역학]] 에서와 같이) 또는 명시적으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알버트 아인슈타인]] 의 [[특수 상대성이론|특수 상대성 이론]] 및 [[일반 상대성이론|일반 상대성]] 이론에서와 같이) 여러 상대성 원리가 [[과학]] 전반에 걸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 기본 개념 ==
상대성 원리는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널리 가정되었다. 가장 널리 퍼진 것 중 하나는 모든 자연 법칙은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믿음이다. 과학적 조사는 일반적으로 자연 법칙을 측정하는 사람과 상관없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종류의 원칙은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과학적 탐구에 통합되었다.

모든 상대성 원리는 자연법칙의 [[대칭|대칭성]]을 규정한다. 즉, 법칙은 한 관찰자에게 다른 관찰자에게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보여야 한다. [[뇌터 정리]] 라는 이론적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대칭은 또한 [[보존 법칙]] 을 함축한다.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zEz5-HEu3D0C|제목=Classical Mechanics: Hamiltonian and Lagrangian Formalism|성=Deriglazov|이름=Alexei|연도=2010|출판사=Springer|쪽=111|isbn=978-3-642-14037-2}} [https://books.google.com/books?id=zEz5-HEu3D0C&pg=PA111 Extract of page 111]</ref>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e8F38Pu0YgEC|제목=The Noether Theorems: Invariance and Conservation Laws in the Twentieth Century|성=Schwarzbach|이름=Bertram E.|성2=Kosmann-Schwarzbach|이름2=Yvette|저자링크2=Yvette Kosmann-Schwarzbach|연도=2010|출판사=Springer|쪽=174|isbn=978-0-387-87868-3}} [https://books.google.com/books?id=e8F38Pu0YgEC&pg=PA174 Extract of page 174]</ref> 예를 들어, 다른 시간에 두 명의 관찰자가 동일한 법칙을 본다면 [[에너지]] 라는 양이 [[에너지 보존 법칙|보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대성 원리는 자연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검증 가능한 예측을 하며 과학자들이 어떻게 법칙을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진술이 아니다.

== 특수 상대성 원리 ==
'''특수 상대성 원리에''' 따르면 물리 법칙은 모든 [[관성 좌표계|관성 기준계]] 에서 동일해야 하지만 비관성 기준계에서는 다를 수 있다. 이 원리는 [[뉴턴 운동 법칙|뉴턴 역학]] 과 [[특수 상대성이론|특수 상대성]] 이론 모두에서 사용된다. 후자에 대한 그것의 영향력은 너무 강해서 [[막스 플랑크]] 는 그 원리를 따서 이론이라고 명명했다.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FWIHCgAAQBAJ|제목=Einstein's Pathway to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성=Weistein|이름=Galina|연도=2015|출판사=Cambridge Scholars Publishing|쪽=272|isbn=978-1-4438-7889-0}} [https://books.google.com/books?id=FWIHCgAAQBAJ&pg=PA272 Extract of page 272]</ref>

이 원리는 물리적 법칙이 정지해 있는 물체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모든 물체에 대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관성 기준 좌표계의 관찰자는 공간에서 절대 속도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없으며 다른 물체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나 방향에 대해서만 말할 수 있다.

== 일반 상대성 원리 ==
일반 상대성 원리에 따르면, 물리 법칙은 관성이든 비관성이든 ''모든'' 기준 좌표계에서 동일한다. 가속 하전 입자는 [[싱크로트론 방사|싱크로트론 복사]] 를 방출할 수 있지만 정지 상태의 입자는 그렇지 않다. 비관성 정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가속 하전 입자를 고려하면 정지 상태에서 복사를 방출한다.
[[분류:이론]]
[[분류:상대성이론]]

2022년 7월 30일 (토) 10:25 판

물리학 에서 상대성 원리는 물리 법칙을 설명하는 방정식이 모든 허용 가능한 기준틀 에서 동일한 형식을 가져야 한다는 요구 사항이다.

예를 들어, 특수 상대성 이론의 틀에서 Maxwell 방정식 은 모든 관성 참조 프레임에서 동일한 형식을 갖는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틀에서 Maxwell 방정식 또는 Einstein 방정식은 임의의 프레임에서 동일한 형식을 갖는다.


묵시적( 뉴턴 역학 에서와 같이) 또는 명시적으로( 알버트 아인슈타인특수 상대성 이론일반 상대성 이론에서와 같이) 여러 상대성 원리가 과학 전반에 걸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기본 개념

상대성 원리는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널리 가정되었다. 가장 널리 퍼진 것 중 하나는 모든 자연 법칙은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믿음이다. 과학적 조사는 일반적으로 자연 법칙을 측정하는 사람과 상관없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종류의 원칙은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과학적 탐구에 통합되었다.

모든 상대성 원리는 자연법칙의 대칭성을 규정한다. 즉, 법칙은 한 관찰자에게 다른 관찰자에게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보여야 한다. 뇌터 정리 라는 이론적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대칭은 또한 보존 법칙 을 함축한다. [1] [2] 예를 들어, 다른 시간에 두 명의 관찰자가 동일한 법칙을 본다면 에너지 라는 양이 보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대성 원리는 자연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검증 가능한 예측을 하며 과학자들이 어떻게 법칙을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진술이 아니다.

특수 상대성 원리

특수 상대성 원리에 따르면 물리 법칙은 모든 관성 기준계 에서 동일해야 하지만 비관성 기준계에서는 다를 수 있다. 이 원리는 뉴턴 역학특수 상대성 이론 모두에서 사용된다. 후자에 대한 그것의 영향력은 너무 강해서 막스 플랑크 는 그 원리를 따서 이론이라고 명명했다. [3]

이 원리는 물리적 법칙이 정지해 있는 물체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모든 물체에 대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관성 기준 좌표계의 관찰자는 공간에서 절대 속도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없으며 다른 물체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나 방향에 대해서만 말할 수 있다.

일반 상대성 원리

일반 상대성 원리에 따르면, 물리 법칙은 관성이든 비관성이든 모든 기준 좌표계에서 동일한다. 가속 하전 입자는 싱크로트론 복사 를 방출할 수 있지만 정지 상태의 입자는 그렇지 않다. 비관성 정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가속 하전 입자를 고려하면 정지 상태에서 복사를 방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