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리만 재배열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eobot (토론 | 기여)
잔글 →‎top: 2018-08-12 Gcd822의 요청, replaced: 급수급수 using AWB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리만 재배열 정리'''(-再配列定理, {{lang|en|Riemann series theorem, Riemann rearrangement theorem}})는 [[조건수렴]]하는 [[급수 (수학)|급수]] 재배열 행위에 대한 정리이다. [[베른하르트 리만]]의 이름이 붙었다. 정리에 의하면 유한합이 더하는 순서와 무관하게 합이 일정한 것과 상반되게, 조건수렴급수는 임의의 실수로 [[수렴급수|수렴]]하도록, 또는 양과 음의 무한대로 [[발산급수|발산]]하도록 재배열할 있다.
[[실해석학]]에서, '''리만 재배열 정리'''(-再配列定理, {{lang|en|Riemann series theorem, Riemann rearrangement theorem}})는 [[실수]]항의 [[조건 수렴]] 급수의 항의 순서를 적절히 변경하여 임의의 실수 또는 음과 양의 [[무한대]]로 [[수렴]]하도록 만들 있다는 정리이다. 정리는 유한 개의 실수의 덧셈에 대한 [[교환 법칙]] 무한 개의 실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는다.


== ==
== 정의 ==
[[실수]]항 급수
[[교대조화급수]] <math>\sum_{n=1}^{\infty} (-1)^{n-1}\frac1n</math>은 조건수렴급수의 예이다. 자기 자신은 <math>\ln 2</math>로 수렴하나 <math>\sum_{n=1}^{\infty} \frac1n = \infty</math>이다.
:<math>\sum_{n=0}^\infty x_n\qquad(x_n\in\mathbb R)</math>
가 [[조건 수렴]]한다고 하자. '''리만 재배열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확장된 실수]] <math>s\in\mathbb R\cup\{-\infty,\infty\}</math>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순열]] <math>\sigma\colon\mathbb N\to\mathbb N</math>이 존재한다.<ref name="Kadets">{{서적 인용
|성1=Kadets
|이름1=Mikhail I.
|성2=Kadets
|이름2=Vladimir M.
|제목=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언어=en
|총서=Operator Theory Advances and Applications
|권=94
|출판사=Birkhäuser
|위치=Basel
|날짜=1997
|isbn=978-3-0348-9942-0
|doi=10.1007/978-3-0348-9196-7
|zbl=0876.46009
}}</ref>{{rp|6, §1.1, Theorem 1.1.3}}<ref name="Tao">{{서적 인용
|성1=Tao
|이름1=Terence
|제목=Analysis I
|언어=en
|판=3
|총서=Texts and Readings in Mathematics
|권=37
|출판사=Springer
|위치=Singapore
|날짜=2016
|isbn=978-981-10-1789-6
|issn=2366-8725
|doi=10.1007/978-981-10-1789-6
|lccn=2016940817
}}</ref>{{rp|193, §8.2, Theorem 8.2.8}}
:<math>\sum_{n=0}^\infty x_{\sigma(n)}=s</math>


== 증명 ==
만약 원래의 순서인
자연수(음이 아닌 정수)의 집합 <math>\mathbb N</math>을 다음과 같이 [[집합의 분할|분할]]하자.
:<math>\mathbb N=\{m_0,m_1,m_2,\dots\}\cup\{n_0,n_1,n_2,\dots\}</math>
:<math>x_{m_k}\ge 0\qquad\forall k</math>
:<math>x_{n_k}<0\qquad\forall k</math>
그렇다면,
:<math>\sum_{k=0}^\infty x_{m_k}=\infty</math>
:<math>\sum_{k=0}^\infty x_{n_k}=-\infty</math>
임을 보일 수 있다. (만약 두 급수가 모두 실수로 수렴한다면,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은 [[절대 수렴]]하므로 모순이다. 만약 두 급수가 하나는 무한대로 발산하고 하나는 실수로 수렴한다면, <math>\textstyle\sum_{n=0}^\infty x_n</math>은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모순이다.) 특히, <math>\{m_0,m_1,\dots\}</math>와 <math>\{n_0,n_1,\dots\}</math>는 모두 [[무한 집합]]이다.


이제, 급수가 <math>s</math>로 수렴하도록 항을 재배열하는 방법을 찾자. 편의상 <math>s\ge 0</math>이라고 하자. 우선
:<math>1 - \frac12 + \frac13 - \frac14 + \frac15 - \frac16 + \cdots</math>
:<math>\sum_{k=0}^{i_0-1}x_{m_k}\le s<\sum_{k=0}^{i_0}x_{m_k}</math>
인 자연수 <math>i_0\in\mathbb N</math>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math>s<\sum_{k=0}^{i_0}x_{m_k}\le s+x_{m_{i_0}}</math>
이다. 이제
:<math>\sum_{k=0}^{i_0}x_{m_k}+\sum_{k=0}^{j_0}x_{n_k}< s\le\sum_{k=0}^{i_0}x_{m_k}+\sum_{k=0}^{j_0-1}x_{n_k}</math>
인 자연수 <math>j_0\in\mathbb N</math>을 취하자. 그렇다면 마찬가지로
:<math>s+x_{n_{j_0}}\le\sum_{k=0}^{i_0}x_{m_k}+\sum_{k=0}^{j_0}x_{n_k}<s</math>
가 성립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열 <math>(i_r)_{r=0}^\infty</math> 및 <math>(j_r)_{r=0}^\infty</math>을 얻는다.
:<math>i_0<i_1<i_2<\cdots</math>
:<math>j_0<j_1<j_2<\cdots</math>
:<math>s<\sum_{k=0}^{i_r}x_{m_k}+\sum_{k=0}^{j_{r-1}}x_{n_k}\le s+x_{m_{i_r}}\qquad\forall r\in\mathbb N</math>
:<math>s+x_{n_{j_r}}\le\sum_{k=0}^{i_{r-1}}x_{m_k}+\sum_{k=0}^{j_r}x_{n_k}<s\qquad\forall r\in\mathbb N</math>


이제, [[순열]] <math>\sigma\colon\mathbb N\to\mathbb N</math>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에서부터
:<math>i_{-1}=j_{-1}=-1</math>

:<math>\sigma\colon k\mapsto\begin{cases}
:<math>1 - \frac12 - \frac14 + \frac13 - \frac16 - \frac18 + \frac15 - \frac1{10} - \frac1{12} + \cdots</math>
m_{k-j_r-1} & r\in\{-1,0,1,2,\dots\},\;k\in\{i_r+j_r+2,\dots,i_{r+1}+j_r+1\} \\

n_{k-i_r-1} & r\in\{0,1,2,\dots\},\;k\in\{i_r+j_{r-1}+2,\dots,i_r+j_r+1\}
과 같이, 양수항 하나 뒤에 음수항 둘이 오는 식으로 재배열하면, 급수는 전과는 다른 곳으로 수렴한다.
\end{cases}\qquad\forall k\in\mathbb N</math>
그렇다면, 임의의 <math>K\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sum_{n=0}^{\sigma^{-1}(m_K)}x_{\sigma(n)}=\sum_{k=0}^Kx_{m_k}+\sum_{k=0}^{j_r}x_{n_k}\qquad(i_{r-1}<K\le i_r)</math>
:<math>\sum_{n=0}^{\sigma^{-1}(n_K)}x_{\sigma(n)}=\sum_{k=0}^{i_r}x_{m_k}+\sum_{k=0}^Kx_{n_k}\qquad(j_{r-1}<K\le j_r)</math>
이므로,
:<math>\limsup_{N\to\infty}\left|\sum_{n=0}^Nx_{\sigma(n)}-s\right| \le \limsup_{k\to\infty}\max\left\{\left|\sum_{n=0}^{\sigma^{-1}(m_k)}x_{\sigma(n)}-s\right|,\left|\sum_{n=0}^{\sigma^{-1}(n_k)}x_{\sigma(n)}-s\right|\right\} \le \limsup_{r\to\infty}\max\{x_{m_{i_r}},-x_{n_{j_r}}\} = 0</math>
이다. 즉,
:<math>\sum_{n=0}^\infty x_{\sigma(n)}=s</math>
이다.


== 예 ==
[[조화 급수]]에 대응하는 [[교대 급수]]
:<math>\sum_{n=1}^{\infty} (-1)^{n-1}\frac 1n</math>
를 생각하자. 이 급수는 <math>\ln 2</math>로 수렴한다. 그러나 하나의 양의 실수항과 2개의 음의 실수항을 번갈아 가며 배열하여 얻는 새로운 급수는 <math>\textstyle\frac 12\ln 2</math>로 수렴한다.
:<math>\begin{align}
:<math>\begin{align}
& 1 - \frac12 - \frac14 + \frac13 - \frac16 - \frac18 + \frac15 - \frac1{10} - \frac1{12} + \cdots \\
1 - \frac 12 - \frac 14 + \frac 13 - \frac 16 - \frac 18 + \frac 15 - \frac 1{10} - \frac 1{12} + \cdots
=& \left(1 - \frac12\right) - \frac14 + \left(\frac13 - \frac16\right) - \frac18 + \left(\frac15 - \frac1{10}\right) - \frac1{12} + \cdots \\
& = \left(1 - \frac 12\right) - \frac 14 + \left(\frac 13 - \frac 16\right) - \frac 18 + \left(\frac 15 - \frac 1{10}\right) - \frac 1{12} + \cdots \\
=& \frac12 \left(1 - \frac12 + \frac13 - \frac14 + \frac15 - \frac16 + \cdots\right) \\
& = \frac 12 \left(1 - \frac 12 + \frac 13 - \frac 14 + \frac 15 - \frac 16 + \cdots\right) \\
=& \frac12 \ln 2
& = \frac 12 \ln 2
\end{align}</math>
\end{align}</math>


== 각주 ==
비슷하게 합이 음수, 또는 무한대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항이 나오는 차례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각주}}

== 서술 ==
급수 <math>\sum_{n=1}^{\infty} a_n</math>이 조건수렴한다면, 임의의 <math>L \in \mathbf{R} \cup \{-\infty, \infty\}</math>에 대해, [[전단사 함수]] <math>f:\N\to\N</math>이 있어 <math>\sum_{n=1}^{\infty} a_{f(n)} = L</math>이다.

리만 재배열 정리는 유한합, 그리고 [[절대수렴]]하는 무한급수에서의 '교환법칙'이 조건수렴급수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증명 ==
정리의 증명을 위해서는 보조정리 격의 결론이 필요하다: 조건수렴급수 <math>\sum_{n=1}^{\infty} a_n</math>이 있고

:<math>A_+ = \{n\in\N : a_n \ge 0\}</math>
:<math>A_- = \{n\in\N : a_n < 0\}</math>

이라고 하면,

# <math>A_+,A_-</math> 모두 자연수의 무한 부분집합, 따라서 강한 증가 전단사 함수 <math>f_+ : \N \to A_+</math> , <math>f_- : \N \to A_-</math> 존재. 근거는 조건수렴이다. 둘 중 어느 하나가 유한집합일 경우, 급수는 자연히 절대수렴한다.
# <math>\sum_{n=1}^{\infty} a_{f_+(n)}, \sum_{n=1}^{\infty} a_{f_-(n)}</math> 모두 발산. 이유는, 둘 다 수렴하면 원래 급수는 절대수렴, 하나만 수렴하면 원래 급수는 발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론을 사용하면, <math>\sum_{n=1}^{\infty} a_{f_+(n)}</math>과 <math>\sum_{n=1}^{\infty} a_{f_-(n)}</math>에서 필요에 맞춰 항을 빼내어 임의의 미리 정해놓은 <math>L</math>로 수렴하는 급수를 구성할 수 있다. <math>0 < L < \infty</math>이라 가정하면(그 외 ''L'' = 음수, 0, ±∞일 때의 증명은 비슷하다), 두번째 결론에 따라

:<math>\sum_{n=1}^m a_{f_+(n)} > L</math>

인 <math>m</math>이 존재하며, 이들 중 가작 작은 <math>m_1</math>을 취하면

:<math>\sum_{n=1}^{m_1 - 1} a_{f_+(n)} \le L < \sum_{n=1}^{m_1} a_{f_+(n)}</math>


:<math>L < \sum_{n=1}^{m_1} a_{f_+(n)} \le L + a_{f_+(m_1)}</math>

이 성립한다. <math>L</math>보다 큰 곳까지 진행된 급수는 상술 분석과 비슷한 방법으로 <math>L</math> 밑으로 내려간다.

:<math>L + a_{f_-(n_1)} \le \sum_{n=1}^{m_1} a_{f_+(n)} + \sum_{n=1}^{n_1} a_{f_-(n)} < L</math>

이같은 배회를 반복하면 급수

:{|
|<math>\sum_{n=1}^{\infty} a_{f(n)} =</math>
|<math>a_{f_+(1)} + \cdots + a_{f_+(m_1)} + a_{f_-(1)} + \cdots + a_{f_-(n_1)}</math>
|-
|
|<math>+ a_{f_+(m_1+1)} + \cdots + a_{f_+(m_2)} + a_{f_-(n_1+1)} + \cdots + a_{f_-(n_2)} + \cdots</math>
|}

를 얻으며, 급수의 부분합은 <math>L</math>에 임의로 가깝게 다가간다.

:<math>\left|\sum_{n=1}^N a_{f(n)} - L\right| < a_{f_+(m_i)} - a_{f_-(n_i)} \longrightarrow 0, \quad N \to \infty</math>

따라서

:<math>\sum_{n=1}^{\infty} a_{f(n)} = L</math>

이다. 물론 <math>f:\N\to\N</math>은 전단사이다.

<math>f</math>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모든 <math>i < j</math>에 대해 <math>f(i)</math>의 정의를 마쳤다면,

* 만약 <math>\sum_{n=1}^{j-1} a_{f(n)} < L</math>이면, <math>f(j) = \min (A_+ \setminus \{f(i): i < j\})</math>
* 만약 <math>\sum_{n=1}^{j-1} a_{f(n)} \ge L</math>이면, <math>f(j) = \min (A_- \setminus \{f(i): i < j\})</math>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0년 5월 12일 (화) 01:54 판

실해석학에서, 리만 재배열 정리(-再配列定理, Riemann series theorem, Riemann rearrangement theorem)는 실수항의 조건 수렴 급수의 항의 순서를 적절히 변경하여 임의의 실수 또는 음과 양의 무한대수렴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유한 개의 실수의 덧셈에 대한 교환 법칙이 무한 개의 실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는다.

정의

실수항 급수

조건 수렴한다고 하자. 리만 재배열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확장된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순열 이 존재한다.[1]:6, §1.1, Theorem 1.1.3[2]:193, §8.2, Theorem 8.2.8

증명

자연수(음이 아닌 정수)의 집합 을 다음과 같이 분할하자.

그렇다면,

임을 보일 수 있다. (만약 두 급수가 모두 실수로 수렴한다면, 절대 수렴하므로 모순이다. 만약 두 급수가 하나는 무한대로 발산하고 하나는 실수로 수렴한다면, 은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모순이다.) 특히, 는 모두 무한 집합이다.

이제, 급수가 로 수렴하도록 항을 재배열하는 방법을 찾자. 편의상 이라고 하자. 우선

인 자연수 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다. 이제

인 자연수 을 취하자. 그렇다면 마찬가지로

가 성립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열 을 얻는다.

이제, 순열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이다. 즉,

이다.

조화 급수에 대응하는 교대 급수

를 생각하자. 이 급수는 로 수렴한다. 그러나 하나의 양의 실수항과 2개의 음의 실수항을 번갈아 가며 배열하여 얻는 새로운 급수는 로 수렴한다.

각주

  1. Kadets, Mikhail I.; Kadets, Vladimir M. (1997). 《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Operator Theory Advances and Applications (영어) 94. Basel: Birkhäuser. doi:10.1007/978-3-0348-9196-7. ISBN 978-3-0348-9942-0. Zbl 0876.46009. 
  2. Tao, Terence (2016). 《Analysis I》. Texts and Readings in Mathematics (영어) 37 3판. Singapore: Springer. doi:10.1007/978-981-10-1789-6. ISBN 978-981-10-1789-6. ISSN 2366-8725. LCCN 2016940817.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