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키케라톱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32번째 줄: 32번째 줄:
모식종인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Brachyceratops montanensis'')는 [[몬태나]] 주 북부 티턴 카운티 블랙풋 인디언 보호구역의 투메디신 층 ([[샹파뉴절]], 7400만년의 연대) 에서 처음 발견되었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Brachyceratops." In: Dodson, Peter & Britt, Brooks & Carpenter, Kenneth & Forster, Catherine A. & Gillette, David D. & Norell, Mark A. & Olshevsky, George & Parrish, J. Michael & Weishampel, David B.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p. 133. {{ISBN|0-7853-0443-6}}.</ref> 1913년 8월에 찰스 휘트니 길모어와<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그의 조수인 J.F. 스트레이어가 최초로 발견하여 1 년 후 길모어가 명명하고 보고하였다. 속명은 "짧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브라키스 βραχύς 와 "뿔" 이라는 의미의 케라스 κέρας, 그리고 "얼굴"이라는 의미의 옵스 ὤψ 를 조합한 것으로 주둥이가 짧은 것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몬태나 주의 이름을 땄다.<ref>C.W. Gilmore, 1914,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tana, with note on ''Hypacrosaurus''",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63'''(3): 1-10</ref>
모식종인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Brachyceratops montanensis'')는 [[몬태나]] 주 북부 티턴 카운티 블랙풋 인디언 보호구역의 투메디신 층 ([[샹파뉴절]], 7400만년의 연대) 에서 처음 발견되었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Brachyceratops." In: Dodson, Peter & Britt, Brooks & Carpenter, Kenneth & Forster, Catherine A. & Gillette, David D. & Norell, Mark A. & Olshevsky, George & Parrish, J. Michael & Weishampel, David B.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p. 133. {{ISBN|0-7853-0443-6}}.</ref> 1913년 8월에 찰스 휘트니 길모어와<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그의 조수인 J.F. 스트레이어가 최초로 발견하여 1 년 후 길모어가 명명하고 보고하였다. 속명은 "짧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브라키스 βραχύς 와 "뿔" 이라는 의미의 케라스 κέρας, 그리고 "얼굴"이라는 의미의 옵스 ὤψ 를 조합한 것으로 주둥이가 짧은 것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몬태나 주의 이름을 땄다.<ref>C.W. Gilmore, 1914,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tana, with note on ''Hypacrosaurus''",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63'''(3): 1-10</ref>
[[파일:Norman Ross Brachyceratops mount.jpg|왼쪽|섬네일|260px|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될 표본을 노만 로스가 최종 손질하고 있다.]]
[[파일:Norman Ross Brachyceratops mount.jpg|왼쪽|섬네일|260px|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될 표본을 노만 로스가 최종 손질하고 있다.]]
발견된 것은 불완전하고 뒤죽박죽이 된 다섯 마리의 어린 개체들이 전부로 몸길이는 약 1.5m 정도였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이 어린 개체들은 한 둥지에서 태어나 같이 자랐을 거라고 짐작할 수 있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완모식표본]]은 '''USNM 7951'''로 불완전한 두개골이다. [[부모식표본]]은 USNM 7952 의 주둥이, USNM 7953 의 골격 일부와 두개골, 그리고 USNM 7957 인 발 등이 있다. 각각 분리된 표본들이지만 보존상태는 좋다.<ref>Dodson, P., 1996, ''The Horned Dinosaurs —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54</ref> 1917 년에 길모어는 브라키케라톱스에 대한 전문논문 (monograph) 을 발표했는데 여기에서는 골격 전체를 재구성한 복원도가 실렸다.<ref>C.W. Gilmore, 1917, "[http://pubs.er.usgs.gov/publication/pp103 ''Brachyceratops'',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notes on associated fossil reptil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03''': 1-45</ref>
발견된 것은 불완전하고 뒤죽박죽이 된 다섯 마리의 어린 개체들이 전부로 몸길이는 약 1.5m 정도였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이 어린 개체들은 한 둥지에서 태어나 같이 자랐을 거라고 짐작할 수 있다.<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완모식표본]]은 '''USNM 7951'''로 불완전한 두개골이다. [[부모식표본]]은 USNM 7952 의 주둥이, USNM 7953 의 골격 일부와 두개골, 그리고 USNM 7957 인 발 등이 있다. 각각 분리된 표본들이지만 보존상태는 좋다.<ref>Dodson, P., 1996, ''The Horned Dinosaurs —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54</ref> 1917 년에 길모어는 브라키케라톱스에 대한 전문논문 (monograph) 을 발표했는데 여기에서는 골격 전체를 재구성한 복원도가 실렸다.<ref>C.W. Gilmore, 1917, "[http://pubs.er.usgs.gov/publication/pp103 ''Brachyceratops'',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notes on associated fossil reptiles] {{웨이백|url=http://pubs.er.usgs.gov/publication/pp103 |date=20141129041722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03''': 1-45</ref>


1939 년에 길모어는 위의 표본들보다 큰 아성체 표본 USNM 14765 를 브라키케라톱스로 분류했다.<ref>Gilmore C.W. 1939, "Ceratopsian dinosaur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Montana",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87''': 1–18</ref> 모든 표본들은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으며<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복원된 전체 골격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1939 년에 길모어는 위의 표본들보다 큰 아성체 표본 USNM 14765 를 브라키케라톱스로 분류했다.<ref>Gilmore C.W. 1939, "Ceratopsian dinosaur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Montana",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87''': 1–18</ref> 모든 표본들은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으며<ref name="ageofdinosaursbrachyceratops"/> 복원된 전체 골격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분류 ==
== 분류 ==
[[파일:Rubeosaurus ovatus.png|섬네일|오른쪽|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를 성체로 재구성한 복원도.]]
[[파일:Rubeosaurus ovatus.png|섬네일|오른쪽|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를 성체로 재구성한 복원도.]]
브라키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지만 어린 개체의 표본들만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는 정하기 힘들다. 1997 년에 스코트 샘슨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다시 조사하고 각룡류를 구분해주는 많은 특징들은 성체가 된 이후에야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이 이미 알려진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어린 형태인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지적했으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중에서 정확히 어떤 공룡인지는 결정할 수 없었고, 이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의문명으로 분류했다.<ref name=sampson1997>Sampson, S.D., M. J. Ryan, and D. H. Tanke. (1997).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ph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21''': 293–337.</ref> 2007 년에 마이클 J. 라이언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가 스티라코사우루스 오바투스 (''Styracosaurus ovatus'')의 어린 개체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종은 후에 [[루베오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ref name=RHR07/> 2011 년의 연구에서는 이 생각을 뒷받침하여 브라키케라톱스의 가장 성숙한 표본인 USNM 14765 이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공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루베오사우루스만의 [[파생형질]] (apomorphy), 즉 새로 진화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같은 연구에서 브라키케라톱스의 완모식표본이 너무 불완전하고 어린 개체이기 때문에 종을 결정지을 만한 파생형질을 찾아볼 수 없고, 따라서 브라키케라톱스는 루베오사우루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지는 동물이명이 아니라 [[의문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22710</ref>
브라키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지만 어린 개체의 표본들만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는 정하기 힘들다. 1997 년에 스코트 샘슨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다시 조사하고 각룡류를 구분해주는 많은 특징들은 성체가 된 이후에야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이 이미 알려진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어린 형태인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지적했으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중에서 정확히 어떤 공룡인지는 결정할 수 없었고, 이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의문명으로 분류했다.<ref name=sampson1997>Sampson, S.D., M. J. Ryan, and D. H. Tanke. (1997).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ph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21''': 293–337.</ref> 2007 년에 마이클 J. 라이언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가 스티라코사우루스 오바투스 (''Styracosaurus ovatus'')의 어린 개체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종은 후에 [[루베오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ref name=RHR07/> 2011 년의 연구에서는 이 생각을 뒷받침하여 브라키케라톱스의 가장 성숙한 표본인 USNM 14765 이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공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루베오사우루스만의 [[파생형질]] (apomorphy), 즉 새로 진화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같은 연구에서 브라키케라톱스의 완모식표본이 너무 불완전하고 어린 개체이기 때문에 종을 결정지을 만한 파생형질을 찾아볼 수 없고, 따라서 브라키케라톱스는 루베오사우루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지는 동물이명이 아니라 [[의문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22710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16204652/http://www.plosone.org/article/info:doi/10.1371/journal.pone.0022710 |보존날짜=2014-02-16 |깨진링크=예 }}</ref>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2020년 5월 11일 (월) 05:54 판

브라키케라톱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74.5백만년 전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과: 케라톱스과
아과: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속: 브라키케라톱스속(Brachyceratops)
  • B. montanensis Gilmore, 1914

브라키케라톱스(Brachyceratops)('짧은 뿔 달린 얼굴')는 미국 몬태나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어린 개체 골격의 일부로 알려진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의문명이다.

브라키케라톱스는 어린 개체의 화석들에 기반해 명명되었는데 그 중 한 표본은 후일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로 재명명되었다.[1][2]

발견과 종

모식종인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Brachyceratops montanensis)는 몬태나 주 북부 티턴 카운티 블랙풋 인디언 보호구역의 투메디신 층 (샹파뉴절, 7400만년의 연대) 에서 처음 발견되었다.[3] 1913년 8월에 찰스 휘트니 길모어와[3] 그의 조수인 J.F. 스트레이어가 최초로 발견하여 1 년 후 길모어가 명명하고 보고하였다. 속명은 "짧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브라키스 βραχύς 와 "뿔" 이라는 의미의 케라스 κέρας, 그리고 "얼굴"이라는 의미의 옵스 ὤψ 를 조합한 것으로 주둥이가 짧은 것에서 유래했다. 종명은 화석이 발견된 몬태나 주의 이름을 땄다.[4]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전시될 표본을 노만 로스가 최종 손질하고 있다.

발견된 것은 불완전하고 뒤죽박죽이 된 다섯 마리의 어린 개체들이 전부로 몸길이는 약 1.5m 정도였다.[3] 이 어린 개체들은 한 둥지에서 태어나 같이 자랐을 거라고 짐작할 수 있다.[3] 완모식표본USNM 7951로 불완전한 두개골이다. 부모식표본은 USNM 7952 의 주둥이, USNM 7953 의 골격 일부와 두개골, 그리고 USNM 7957 인 발 등이 있다. 각각 분리된 표본들이지만 보존상태는 좋다.[5] 1917 년에 길모어는 브라키케라톱스에 대한 전문논문 (monograph) 을 발표했는데 여기에서는 골격 전체를 재구성한 복원도가 실렸다.[6]

1939 년에 길모어는 위의 표본들보다 큰 아성체 표본 USNM 14765 를 브라키케라톱스로 분류했다.[7] 모든 표본들은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으며[3] 복원된 전체 골격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브라키케라톱스의 표본으로는 다섯 마리의 어린 개체만 - 원래 표본이 발견된 곳에서 1.6 km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된 아성체의 표본도 있지만 -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아마도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각룡류 공룡의 미성숙한 형태일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왔다.[3][2] 모노클로니우스가 가장 유력한 후보였다. 하지만 2011 년까지 발표된 몇몇 연구에 의해 이 중 한 표본인 USNM 14765 는 충분히 성장한 상태라서 다른 근연종들과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 표본은 후에 루베오사우루스라고 명명된 공룡의 어린 개체로 판명되었다.

두개골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전시된 골격

최초에 발견된 다섯 개의 표본 중에서 두개골은 몸통과 분리되어 일부가 유실된 상태로 세 개가 발견되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개골에서 눈 위에 트리케라톱스의 것과 같은 완전한 뿔 대신에 작은 돌기에 가까운 것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3] 코 위의 뿔은 굵고 낮게 위치하고 있었으며 목의 프릴은 어느 정도 컸다.[3] 불행히도 이 표본들은 불완전해서 어떤 각룡류 공룡들처럼 프릴의 마루뼈에 구멍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3]

분류

루베오사우루스 오바투스를 성체로 재구성한 복원도.

브라키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지만 어린 개체의 표본들만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는 정하기 힘들다. 1997 년에 스코트 샘슨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다시 조사하고 각룡류를 구분해주는 많은 특징들은 성체가 된 이후에야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이 이미 알려진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어린 형태인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지적했으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중에서 정확히 어떤 공룡인지는 결정할 수 없었고, 이들은 브라키케라톱스를 의문명으로 분류했다.[8] 2007 년에 마이클 J. 라이언과 동료들은 브라키케라톱스가 스티라코사우루스 오바투스 (Styracosaurus ovatus)의 어린 개체일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종은 후에 루베오사우루스로 재분류되었다.[1] 2011 년의 연구에서는 이 생각을 뒷받침하여 브라키케라톱스의 가장 성숙한 표본인 USNM 14765 이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공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루베오사우루스만의 파생형질 (apomorphy), 즉 새로 진화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같은 연구에서 브라키케라톱스의 완모식표본이 너무 불완전하고 어린 개체이기 때문에 종을 결정지을 만한 파생형질을 찾아볼 수 없고, 따라서 브라키케라톱스는 루베오사우루스에 대해 우선권을 가지는 동물이명이 아니라 의문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

참고문헌

  1. Ryan, Michael J.; Holmes, Robert; Russell, A.P. (2007). “A revision of the late Campanian centrosaurine ceratopsid genus Styracosaurus from the Western Interior of North America” (PDF).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7 (4): 944–962. doi:10.1671/0272-4634(2007)27[944:AROTLC]2.0.CO;2. 2010년 8월 19일에 확인함. 
  2. Andrew T. McDonald & John R. Horner, (2010). "New Material of "Styracosaurus" ovatu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In: Michael J. Ryan, Brenda J. Chinnery-Allgeier, and David A. Eberth (eds),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Indiana University Press, 656 pp.
  3. "Brachyceratops." In: Dodson, Peter & Britt, Brooks & Carpenter, Kenneth & Forster, Catherine A. & Gillette, David D. & Norell, Mark A. & Olshevsky, George & Parrish, J. Michael & Weishampel, David B.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p. 133. ISBN 0-7853-0443-6.
  4. C.W. Gilmore, 1914,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ontana, with note on Hypacrosaurus",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63(3): 1-10
  5. Dodson, P., 1996, The Horned Dinosaurs — A natur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54
  6. C.W. Gilmore, 1917, "Brachyceratops,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notes on associated fossil reptiles Archived 2014년 11월 29일 - 웨이백 머신",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03: 1-45
  7. Gilmore C.W. 1939, "Ceratopsian dinosaurs from the Two Medicine Formation, Upper Cretaceous of Montana",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87: 1–18
  8. Sampson, S.D., M. J. Ryan, and D. H. Tanke. (1997).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ph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21: 293–337.
  9. “보관 된 사본”. 2014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