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모사우루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영문 문서 번역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생물 분류
|이름 = 카스모사우루스
|이름 = 카스모사우루스
|화석_범위=[[백악기]] 후기
|화석_범위=[[백악기 후기]] {{화석 시기|76.5|75.5}}
|그림 = Chasmosaurus_BW.jpg
|그림 = Chasmosaurus_BW.jpg
|그림_크기=300px
|그림_크기=300px
19번째 줄: 19번째 줄:
|하목=[[멸종|†]][[각룡하목]]
|하목=[[멸종|†]][[각룡하목]]
|과=[[멸종|†]][[케라톱스과]]
|과=[[멸종|†]][[케라톱스과]]
|아과=[[멸종|†]][[카스모사우루스아과]]
|속='''[[멸종|†]]카스모사우루스속'''
|속='''[[멸종|†]]카스모사우루스속'''
|명명=Lambe, 1914
|모식종 =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Chasmosaurus belli'')
|모식종_명명 = (Lambe, 1902)
|하위 =
|하위 =
*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26번째 줄: 30번째 줄:


}}
}}
'''키스모사우루스'''(Chasmosaurus)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생존했던 케라톱스과의 공룡이다. 이름은 '갈라진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머리 위의 큰 뿔 끝이 갈라져서 불은 이름이다. 뿔은 150cm나 될 정도로 커 방어용 보다는 과시용으로 쓰였다고 보인다. 뿔의 가장자리에는 여러 작은 뿔들이 달려있었다.


{{토막글|공룡}}


'''카스모사우루스'''(''Chasmosaurus'') 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각룡류 공롱의 한 속이다. 카스모사우루스라는 이름은 '열린 공룡' 이라는 뜻으로 프릴에 있는 커다란 구멍을 가리킨다. [[고대 그리스어]]로 '열린', '텅 빈' 등의 뜻을 가진 카스마 ''chasma'' 와 '도마뱀'을 의미하는 사우로스 ''sauros'' 를 조합한 것이다. 몸길이는 4.3~4.8m 정도, 몸무게는 1.5~2톤 정도였던 카스모사우루스는 보통 크기의 각룡이었다. 다른 모든 각룡류들처럼 카스모사우루스 역시 [[초식성]]이었다. 카스모사우루스는 원래 프로토로사우루스라고 불렸으나 이 이름이 이전에 다른 동물에 의해 쓰였기 때문에 이름이 변경되어야 했다. 카스모사우루스의 표본은 모두 [[캐나다]] [[앨버타]] 주 공룡공원에 위치한 공룡공원 층에서 발견되었다. ''C. russelli'' 는 공룡공원 층의 하부에서, ''C. belli'' 는 중부 및 상부에서 발견되었다.<ref name=Ornithischian>{{cite book |chapter=Ornithischian dinosaurs |title=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Ecosystem Revealed |authors=Ryan, M.J. & Evans, D.C. |year=2005 |publisher=In: Currie, P.J. & Koppelhus, E.B. (Ed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pages=312–348 }}</ref>

== 발견과 종 ==
[[File:Chasmosaurus belli G.F. Sternberg 01.JPG|thumb|left|G. F. 스턴버그가 ''C. belli'' 의 두개골을 손질하고 있다]]
1898년에 캐나다 지질조사소의 로렌스 램은 베리 크릭에서 최초의 카스모사우루스 화석, 목 주위의 프릴 일부인 [[마루뼈]]로 구성된 [[완모식표본]] '''NMC 491''' 을 발견했다.<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cite book |chapter=Chasmosaurus |title=The Age of Dinosaurs |last=Dodson |first=Peter |authorlink= |author2=et al. |publisher=Publications International |location= |isbn=0-7853-0443-6 |pages=110–111 |url= }}</ref> 램은 이것이 새로운 종이라고 생각하고는 있었지만 속은 기존에 알려진 짧은 프릴을 가진 속인 [[모노클로니우스]]로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 램은 이 표본을 가지고 새로운 종인 모노클로니우스 벨리 (''Monoclonius belli'') 를 명명하였다.<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 종명은 수집가인 월터 벨을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ref>Lambe, L.M., 1902,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Geological Survey of Canada Contributions to Canadian Palaeontology'' '''3'''(2): 25-81</ref>

1913 년에 C.H. 스턴버그와 그의 아들들이 [[캐나다]] [[앨버타]] 주의 공룡공원 층 중간쯤에서 여러 개의 완전한 "M. belli" 두개골을 발견했다.<ref name=ABS09/> 1914년 1월에 램은 이 모든 화석들을 합쳐 별개의 속인 프로토로사우루스 (''Protorosaurus'') 를 만들었다.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토로사우루스]]의 조상이라는 의미다.<ref>Lambe, L.M., 1914, "On the forelimb of a carnivorous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and a new genus of Ceratopsia from the same horizon, with remarks on the integument of some Cretaceous herbivorous dinosaurs", ''The Ottawa Naturalist'' '''27'''(10): 129-135</ref> 하지만 곧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페름기의 파충류 ''[[프로토로사우루스|Protorosaurus]]'' Meyer, 1836 에 이미 쓰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램은 이를 대체할 이름인 카스모사우루스를 1914년 2월에 만들어냈다.<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 이 이름은 그리스어로 "열린" 혹은 "나누는" 이라는 의미를 가진 카스마 χάσμα, ''khasma'' 로부터 온 것으로 두개골 프릴의 마루뼈 부분에 커다란 구멍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램은 또 스턴버그가 1913 년에 발견한 피부자국을 포함하여 거의 완전한 골격을 [[부모식표본]] NMC 2245 로 지정했다.<ref>Lambe, L.M., 1914, "On ''Gryposaurus notabilis'', a new genus and species of trachodont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with a description of the skull of ''Chasmosaurus belli''", ''The Ottawa Naturalist'' '''27''': 145-155</ref>
[[File:Royal Tyrell Chasmosaurus russelli.jpg|thumb|left|''C. russelli'', 왕립 티렐 박물관]]
그 이후, 두개골을 포함하여 카스모사우루스로 분류할 수 있는 화석들이 더 많이 발견되었고 몇몇 추가 [[종]]들이 카스모사우루스로 명명되었다.<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 현재 이들 중 일부는 알려진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두개골들 사이에서 볼 수 있는 형태적 변이로 간주되고,<ref name="ageofdinosaurschasmosaurus"/> 일부는 유효한 카스모사우루스 종, 혹은 다른 속의 종으로 취급된다. 1933년 바넘 브라운은 피터 카이센을 기념하여 카스모사우루스 카이세니(''Chasmosaurus kaiseni'')를 명명하였다. 이것은 두개골 표본인 AMNH 5401 에 기반한 것으로 눈 위의 뿔들이 매우 길다는 점에서 ''C. belli'' 와는 차이가 있다.<ref>Brown, B., 1933, "A new longhorned Belly River ceratopsian", ''American Museum Novitates'' '''669''': 1-3</ref> 이 형태는 토마스 M. 레만이 1990년에 명명한 카스모사우루스 카나덴시스(''Chasmosaurus canadensis'') 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ref name="Lehman1990">T.M. Lehman, 1990,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In: K. Carpenter and P. J. Currie (eds.), ''Dinosaur Systematics: Perspectives and Approa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11-229</ref> ''C. canadensis'' 는 원래 모노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Monoclonius canadensis'' Lambe, 1902)였는데 램이 1915 년에 [[에오케라톱스|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로 보고했다. 에오케라톱스와 긴 눈 위의 뿔을 가진 카스모사우루스 카이세니는 현재 잠정적으로 [[모조케라톱스]]의 일종인 것으로 보고 있다.<ref name="Longrich2010">{{Cite journal|꺾쇠표없음=예|author=Nicholas R. Longrich|year=2010|title=''Mojoceratops perifania'',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Late Campanian of Western Canada|journal=Journal of Paleontology|volume=84|issue=4|pages=681–694|doi=10.1666/09-114.1}}</ref> 1933년에 리차드 스완 럴은 1926 년에 발견된 특이하게 짧은 주둥이를 가진 두개골 표본인 ROM 839 (이전에는 ROM 5436) 를 "짧은 주둥이를 가진" 이라는 의미의 카스모사우루스 브레비로스트리스(''Chasmosaurus brevirostris'')로 명명했다.<ref name="Lull1933">Lull, R.S., 1933, ''A revision of the Ceratopsia or horned dinosaurs''.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3'''(3): 1-175</ref> 이것은 현재 ''C. belli'' 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된다.<ref name="Lehman1990"/> 찰스 M. 스턴버그는 1940년에 앨버타 남서부 공룡공원 층의 하부에서 발견된 NMC 8800 표본을 카스모사우루스 루셀리(''Chasmosaurus russelli'')로 명명했다. 종명은 로리스 샤노 러셀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ref name=ABS09/><ref>Sternberg, C.M., 1940, "Ceratopsidae from Alberta", ''Journal of Paleontology'' '''14'''(5): 468-480</ref> 토마스 레만은 1989 년에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카스모사우루스 마리스칼렌시스(''Chasmosaurus mariscalensis'')로 보고했으나,<ref>Lehman, T.M., 1989, "''Chasmosaurus mariscalensis'', sp. nov.,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9'''(2): 137-162</ref> 현재 이것은 [[아구자케라톱스]]로 재명명되었다.<ref name="Lucas">{{Cite journal|꺾쇠표없음=예|author=Lucas SG, Sullivan RM, Hunt AP |year=2006 |title=Re-evaluation of Pentaceratops and Chasmosaurus (Ornithischia: Ceratopsidae) in the Upper Cretaceous of the Western Interior |journal=New Mex Mus. Nat. Hist. Sci. Bull. |volume=35 |pages=367–370}}</ref> 가장 최근에 보고된 종은 카스모사우루스 이르비넨시스(''Chasmosaurus irvinensis'')로 2001 년에 명명된 것인데,<ref>R.B. Holmes, [[Catherine Forster|C.A. Forster]], M.J. Ryan and K.M. Shepherd, 2001, "A new species of ''Chasmosaurus'' (Dinosauria: Ceratopsia)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of souther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8''': 1423–1438</ref> 공룡공원 층의 최상부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2010년에 별개의 속인 [[바가케라톱스]]로 재분류되었다.<ref name="Sampson">{{Cite journal|꺾쇠표없음=예|author=Scott D. Sampson, Mark A. Loewen, Andrew A. Farke, Eric M. Roberts, Catherine A. Forster, Joshua A. Smith, Alan L. Titus |year=2010 |title=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journal=PLoS ONE |volume=5 |issue=9 |pages=e12292 |doi=10.1371/journal.pone.0012292 |pmid=20877459 |pmc=2929175 |url=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12292}}</ref>
[[File:ChasmosaurusBelli-Skull RoyalOntarioMuseum.png|thumb|''C.'' "brevirostris" 의 모식표본이었던 ''C. belli'' ROM 5436 의 두개골이 토론토의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87년에 그레고리 S. 폴은 [[펜타케라톱스|펜타케라톱스 스테른베르기]]를 카스모사우루스 스테른베르기(''Chasmosaurus sternbergii'')로 재분류했으나,<ref>Paul, G.S., 1987, "The science and art of reconstructing the life appearance of dinosaurs and their relatives: a rigorous how-to guide", pp 4-49 in: ''Dinosaurs Past and Present Volume II'',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ref>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0년에 조지 올셰브스키는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비코르니스 (''Monoclonius recurvicornis'' Cope, 1889) 화석이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 해당하는 것 같다는 이유로 카스모사우루스 레쿠르비코르니스로 재명명으나,<ref>Olshevsky, G. 2000. ''An Annotated Checklist of Dinosaur Species by Continent''. George Olshevsky, Publications Requiring Research, San Diego, 157 pp</ref>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C. belli'' 와 ''C. russelli'' 두 개의 종만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형태적으로는 차이가 별로 없고 [[층서학|층서]]적인 차이가 있다. ''C. russelli''는 공룡공원 층의 더 오래된 하부에서 발견되고 ''C. belli'' 는 [[샹파뉴절]]에 해당하는 공룡공원 층의 중부<ref>Maidment, S.C.R., and Barrett, P.M., 2011, "A new specimen of ''Chasmosaurus belli'' (Ornithischia: Ceratopsidae), a revision of the genus, and the utility of postcrania in the taxonomy and systematics of ceratopsid dinosaur", ''Zootaxa'', '''2963''': 1-47</ref>에서 발견되는데 이를 합치면 7650만년에서 7550만년 사이의 연대를 가지게 된다.<ref name=ABS09>{{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Arbour |first=V. M. |author2=Burns, M. E. |author3= Sissons, R. L. |year=2009 |title=A redescription of the ankylosaurid dinosaur ''Dyoplosaurus acutosquameus'' Parks, 1924 (Ornithischia: Ankylosauri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journal=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ume=29 |issue=4 |pages=1117–1135 |doi=10.1671/039.029.0405}}</ref> 완모식표본과 부모식표본 외에 ''C. belli'' 의 표본이 추가로 알려져 있다. AMNH 5422, AMNH 5402, ROM 843 (이전에는 ROM 5499), 그리고 NHMUK R4948 등은 모두 두개골과 골격 일부이다. ''C. russelli'' 도 완모식표본 외에 두개골 프릴로 구성된 부모식표본 CMN 8803, 프릴 뒷부분인 CMN 41933, 두개골의 오른쪽 부분인 RTMP 81.19.175, 그리고 1914년에 스턴버그가 발견한 두개골과 골격 일부인 CMN 2280 등이 있다.

== 참고문헌 ==
{{각주}}

{{포털|공룡}}
{{wikispecies|Chasmosaurus}}

[[분류:카스모사우루스아과]]
[[분류:백악기의 공룡]]
[[분류:백악기의 공룡]]
[[분류:케라톱스과]]
[[분류:북아메리카의 공룡]]

2015년 4월 23일 (목) 20:20 판

카스모사우루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76.5–75.5백만년 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아강: 이궁아강
하강: 지배파충하강
상목: 공룡상목
목: 조반목
(미분류): 신조반류
아목: 각각아목
하목: 각룡하목
과: 케라톱스과
아과: 카스모사우루스아과
속: 카스모사우루스속
모식종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Chasmosaurus belli)
(Lambe, 1902)
  •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 카스모사우루스 루셀리


카스모사우루스(Chasmosaurus) 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각룡류 공롱의 한 속이다. 카스모사우루스라는 이름은 '열린 공룡' 이라는 뜻으로 프릴에 있는 커다란 구멍을 가리킨다. 고대 그리스어로 '열린', '텅 빈' 등의 뜻을 가진 카스마 chasma 와 '도마뱀'을 의미하는 사우로스 sauros 를 조합한 것이다. 몸길이는 4.3~4.8m 정도, 몸무게는 1.5~2톤 정도였던 카스모사우루스는 보통 크기의 각룡이었다. 다른 모든 각룡류들처럼 카스모사우루스 역시 초식성이었다. 카스모사우루스는 원래 프로토로사우루스라고 불렸으나 이 이름이 이전에 다른 동물에 의해 쓰였기 때문에 이름이 변경되어야 했다. 카스모사우루스의 표본은 모두 캐나다 앨버타 주 공룡공원에 위치한 공룡공원 층에서 발견되었다. C. russelli 는 공룡공원 층의 하부에서, C. belli 는 중부 및 상부에서 발견되었다.[1]

발견과 종

G. F. 스턴버그가 C. belli 의 두개골을 손질하고 있다

1898년에 캐나다 지질조사소의 로렌스 램은 베리 크릭에서 최초의 카스모사우루스 화석, 목 주위의 프릴 일부인 마루뼈로 구성된 완모식표본 NMC 491 을 발견했다.[2] 램은 이것이 새로운 종이라고 생각하고는 있었지만 속은 기존에 알려진 짧은 프릴을 가진 속인 모노클로니우스로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2] 램은 이 표본을 가지고 새로운 종인 모노클로니우스 벨리 (Monoclonius belli) 를 명명하였다.[2] 종명은 수집가인 월터 벨을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3]

1913 년에 C.H. 스턴버그와 그의 아들들이 캐나다 앨버타 주의 공룡공원 층 중간쯤에서 여러 개의 완전한 "M. belli" 두개골을 발견했다.[4] 1914년 1월에 램은 이 모든 화석들을 합쳐 별개의 속인 프로토로사우루스 (Protorosaurus) 를 만들었다.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토로사우루스의 조상이라는 의미다.[5] 하지만 곧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페름기의 파충류 Protorosaurus Meyer, 1836 에 이미 쓰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램은 이를 대체할 이름인 카스모사우루스를 1914년 2월에 만들어냈다.[2] 이 이름은 그리스어로 "열린" 혹은 "나누는" 이라는 의미를 가진 카스마 χάσμα, khasma 로부터 온 것으로 두개골 프릴의 마루뼈 부분에 커다란 구멍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램은 또 스턴버그가 1913 년에 발견한 피부자국을 포함하여 거의 완전한 골격을 부모식표본 NMC 2245 로 지정했다.[6]

C. russelli, 왕립 티렐 박물관

그 이후, 두개골을 포함하여 카스모사우루스로 분류할 수 있는 화석들이 더 많이 발견되었고 몇몇 추가 들이 카스모사우루스로 명명되었다.[2] 현재 이들 중 일부는 알려진 카스모사우루스 벨리 두개골들 사이에서 볼 수 있는 형태적 변이로 간주되고,[2] 일부는 유효한 카스모사우루스 종, 혹은 다른 속의 종으로 취급된다. 1933년 바넘 브라운은 피터 카이센을 기념하여 카스모사우루스 카이세니(Chasmosaurus kaiseni)를 명명하였다. 이것은 두개골 표본인 AMNH 5401 에 기반한 것으로 눈 위의 뿔들이 매우 길다는 점에서 C. belli 와는 차이가 있다.[7] 이 형태는 토마스 M. 레만이 1990년에 명명한 카스모사우루스 카나덴시스(Chasmosaurus canadensis) 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8] C. canadensis 는 원래 모노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Monoclonius canadensis Lambe, 1902)였는데 램이 1915 년에 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로 보고했다. 에오케라톱스와 긴 눈 위의 뿔을 가진 카스모사우루스 카이세니는 현재 잠정적으로 모조케라톱스의 일종인 것으로 보고 있다.[9] 1933년에 리차드 스완 럴은 1926 년에 발견된 특이하게 짧은 주둥이를 가진 두개골 표본인 ROM 839 (이전에는 ROM 5436) 를 "짧은 주둥이를 가진" 이라는 의미의 카스모사우루스 브레비로스트리스(Chasmosaurus brevirostris)로 명명했다.[10] 이것은 현재 C. belli 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된다.[8] 찰스 M. 스턴버그는 1940년에 앨버타 남서부 공룡공원 층의 하부에서 발견된 NMC 8800 표본을 카스모사우루스 루셀리(Chasmosaurus russelli)로 명명했다. 종명은 로리스 샤노 러셀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4][11] 토마스 레만은 1989 년에 텍사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카스모사우루스 마리스칼렌시스(Chasmosaurus mariscalensis)로 보고했으나,[12] 현재 이것은 아구자케라톱스로 재명명되었다.[13] 가장 최근에 보고된 종은 카스모사우루스 이르비넨시스(Chasmosaurus irvinensis)로 2001 년에 명명된 것인데,[14] 공룡공원 층의 최상부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2010년에 별개의 속인 바가케라톱스로 재분류되었다.[15]

C. "brevirostris" 의 모식표본이었던 C. belli ROM 5436 의 두개골이 토론토의 왕립 온타리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87년에 그레고리 S. 폴은 펜타케라톱스 스테른베르기를 카스모사우루스 스테른베르기(Chasmosaurus sternbergii)로 재분류했으나,[16]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0년에 조지 올셰브스키는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비코르니스 (Monoclonius recurvicornis Cope, 1889) 화석이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 해당하는 것 같다는 이유로 카스모사우루스 레쿠르비코르니스로 재명명으나,[17]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C. belliC. russelli 두 개의 종만이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형태적으로는 차이가 별로 없고 층서적인 차이가 있다. C. russelli는 공룡공원 층의 더 오래된 하부에서 발견되고 C. belli샹파뉴절에 해당하는 공룡공원 층의 중부[18]에서 발견되는데 이를 합치면 7650만년에서 7550만년 사이의 연대를 가지게 된다.[4] 완모식표본과 부모식표본 외에 C. belli 의 표본이 추가로 알려져 있다. AMNH 5422, AMNH 5402, ROM 843 (이전에는 ROM 5499), 그리고 NHMUK R4948 등은 모두 두개골과 골격 일부이다. C. russelli 도 완모식표본 외에 두개골 프릴로 구성된 부모식표본 CMN 8803, 프릴 뒷부분인 CMN 41933, 두개골의 오른쪽 부분인 RTMP 81.19.175, 그리고 1914년에 스턴버그가 발견한 두개골과 골격 일부인 CMN 2280 등이 있다.

참고문헌

  1. Ryan, M.J. & Evans, D.C. (2005). 〈Ornithischian dinosaurs〉. 《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Ecosystem Revealed》. In: Currie, P.J. & Koppelhus, E.B. (Ed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312–348쪽. 
  2. Dodson, Peter; 외. 〈Chasmosaurus〉.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110–111쪽. ISBN 0-7853-0443-6. 
  3. Lambe, L.M., 1902,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Geological Survey of Canada Contributions to Canadian Palaeontology 3(2): 25-81
  4. Arbour, V. M.; Burns, M. E.; Sissons, R. L. (2009). “A redescription of the ankylosaurid dinosaur Dyoplosaurus acutosquameus Parks, 1924 (Ornithischia: Ankylosauri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4): 1117–1135. doi:10.1671/039.029.0405. 
  5. Lambe, L.M., 1914, "On the forelimb of a carnivorous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and a new genus of Ceratopsia from the same horizon, with remarks on the integument of some Cretaceous herbivorous dinosaurs", The Ottawa Naturalist 27(10): 129-135
  6. Lambe, L.M., 1914, "On Gryposaurus notabilis, a new genus and species of trachodont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with a description of the skull of Chasmosaurus belli", The Ottawa Naturalist 27: 145-155
  7. Brown, B., 1933, "A new longhorned Belly River ceratopsian", American Museum Novitates 669: 1-3
  8. T.M. Lehman, 1990,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In: K. Carpenter and P. J. Currie (eds.), Dinosaur Systematics: Perspectives and Approa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11-229
  9. Nicholas R. Longrich (2010). “Mojoceratops perifania,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Late Campanian of Western Canada”. 《Journal of Paleontology》 84 (4): 681–694. doi:10.1666/09-114.1. 
  10. Lull, R.S., 1933, A revision of the Ceratopsia or horned dinosaurs.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3(3): 1-175
  11. Sternberg, C.M., 1940, "Ceratopsidae from Alberta", Journal of Paleontology 14(5): 468-480
  12. Lehman, T.M., 1989, "Chasmosaurus mariscalensis, sp. nov.,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9(2): 137-162
  13. Lucas SG, Sullivan RM, Hunt AP (2006). “Re-evaluation of Pentaceratops and Chasmosaurus (Ornithischia: Ceratopsidae) in the Upper Cretaceous of the Western Interior”. 《New Mex Mus. Nat. Hist. Sci. Bull.》 35: 367–370. 
  14. R.B. Holmes, C.A. Forster, M.J. Ryan and K.M. Shepherd, 2001, "A new species of Chasmosaurus (Dinosauria: Ceratopsia)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of souther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8: 1423–1438
  15. Scott D. Sampson, Mark A. Loewen, Andrew A. Farke, Eric M. Roberts, Catherine A. Forster, Joshua A. Smith, Alan L. Titus (2010).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PLoS ONE》 5 (9): e12292. doi:10.1371/journal.pone.0012292. PMC 2929175. PMID 20877459. 
  16. Paul, G.S., 1987, "The science and art of reconstructing the life appearance of dinosaurs and their relatives: a rigorous how-to guide", pp 4-49 in: Dinosaurs Past and Present Volume II,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17. Olshevsky, G. 2000. An Annotated Checklist of Dinosaur Species by Continent. George Olshevsky, Publications Requiring Research, San Diego, 157 pp
  18. Maidment, S.C.R., and Barrett, P.M., 2011, "A new specimen of Chasmosaurus belli (Ornithischia: Ceratopsidae), a revision of the genus, and the utility of postcrania in the taxonomy and systematics of ceratopsid dinosaur", Zootaxa, 2963: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