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고케라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발견과 분류 번역
27번째 줄: 27번째 줄:
==특징==
==특징==
스테고케라스의 몸길이는 약 2 미터,<ref name=EoDP>{{cite book |꺾쇠표없음=예|editor=Palmer, D.|year=1999 |title=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publisher= Marshall Editions|location=London|page= 136|isbn= 1-84028-152-9}}</ref> 몸무게는 10 에서 40 킬로그램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ref name=Peczkis>Peczkis, J. 1995. Implications of Body-Mass Estimates for Dinosaurs. JVP. Vol. 14(4):520-533</ref> 상대적으로 큰 편인 뇌는 7.6 센티미터 두께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뼈로 된 돔 안에 들어 있었다.<ref>[http://www.dinodictionary.com/dinos_spg3.asp Dinosaurs from A-Z] DinoDictionary.com</ref> 돔의 표면은 매우 매끈했으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구멍이 있어서 뼈 내부의 통로로 연결되었다. 스테고케라스는 (최소한 ''S. validum'' 은) 두정-인상골(parietosquamosal)에 선반모양으로 뚜렷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고 상측두창 (supratemporal fosse) 이 열려 있으며 전두-두정골 (frontoparietal) 이 미약하게 돔을 형성하고 작은 돌기들이 후안와골과 인상골에 몰려있다.<ref name=Sullivan/> 스테고케라스의 눈구멍은 둥글고 앞을 향해 있어 시력이 좋았으며 아마 [[양안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빨은 작고 휜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톱니형태다. 머리는 "S" 자 혹은 "U" 자 모양의 목이 지탱해준다.<ref name=KC97/> 스테고케라스의 골격 일부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다른 조반류 공룡들은 보통 가지고 있지 않은 복부갈비뼈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복부갈비뼈라고 생각되었던 것은 나중에 [[골질화]]된 [[힘줄]]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ref name=LC04>{{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Claessens |first=Leon P.A.M. |date=March 2004 |title=Dinosaur gastralia: origin, morphology, and function |journal=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ume=24 |issue=1 |pages=89–106 |doi= 10.1671/A1116-8 }}</ref> 다리는 팔보다 세 배 이상 길었다.
스테고케라스의 몸길이는 약 2 미터,<ref name=EoDP>{{cite book |꺾쇠표없음=예|editor=Palmer, D.|year=1999 |title=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publisher= Marshall Editions|location=London|page= 136|isbn= 1-84028-152-9}}</ref> 몸무게는 10 에서 40 킬로그램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ref name=Peczkis>Peczkis, J. 1995. Implications of Body-Mass Estimates for Dinosaurs. JVP. Vol. 14(4):520-533</ref> 상대적으로 큰 편인 뇌는 7.6 센티미터 두께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뼈로 된 돔 안에 들어 있었다.<ref>[http://www.dinodictionary.com/dinos_spg3.asp Dinosaurs from A-Z] DinoDictionary.com</ref> 돔의 표면은 매우 매끈했으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구멍이 있어서 뼈 내부의 통로로 연결되었다. 스테고케라스는 (최소한 ''S. validum'' 은) 두정-인상골(parietosquamosal)에 선반모양으로 뚜렷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고 상측두창 (supratemporal fosse) 이 열려 있으며 전두-두정골 (frontoparietal) 이 미약하게 돔을 형성하고 작은 돌기들이 후안와골과 인상골에 몰려있다.<ref name=Sullivan/> 스테고케라스의 눈구멍은 둥글고 앞을 향해 있어 시력이 좋았으며 아마 [[양안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빨은 작고 휜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톱니형태다. 머리는 "S" 자 혹은 "U" 자 모양의 목이 지탱해준다.<ref name=KC97/> 스테고케라스의 골격 일부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다른 조반류 공룡들은 보통 가지고 있지 않은 복부갈비뼈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복부갈비뼈라고 생각되었던 것은 나중에 [[골질화]]된 [[힘줄]]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ref name=LC04>{{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last=Claessens |first=Leon P.A.M. |date=March 2004 |title=Dinosaur gastralia: origin, morphology, and function |journal=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ume=24 |issue=1 |pages=89–106 |doi= 10.1671/A1116-8 }}</ref> 다리는 팔보다 세 배 이상 길었다.

==발견과 분류==
[[File:Stegoceras skull.jpg|thumb|200px|left|길모어의 논문에 실린 알버타 대학의 스테고케라스 사진.]]
스테고케라스는 로렌스 램비가 1902 년에 스테고케라스 발리둠 (''Stegoceras validum'')을 모식종으로 하여 처음 명명했다. ''S. validum'' 의 표본 전체 (약 40 여 점) 는 [[캐나다]] 알버타 주의 [[벨리 리버 층군]]에서 발견되었다. 대부분은 후기 [[캄파니아절]], 7650만년에서 7500만년 전의 연대를 가진 [[공룡공원층]](Dinosaur Park Formation)에서, 나머지는 올드맨 층 (캄파니아절 중기, 7750만년에서 7650만년) 발견되었다.<ref name=schott>{{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author=Ryan K. Schott, David C. Evans, Mark B. Goodwin, John R. Horner, Caleb Marshall Brown, Nicholas R. Longrich |year=2011 |title=Cranial Ontogeny in ''Stegoceras validum'' (Dinosauria: Pachycephalosauria): A Quantitative Model of Pachycephalosaur Dome Growth and Variation |journal=PLoS ONE |volume=6 |issue=6 |pages=e21092 |doi=10.1371/journal.pone.0021092 |bibcode = 2011PLoSO...6E1092S }}</ref> 스테고케라스는 거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다른 후두류 공룡들의 모델 역할을 했다. 1920 년대부터 1945 년까지 스테고케라스는 이빨 형태의 유사성 때문에 [[트로오돈]]과 가까운 관계거나 동물이명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보존상태가 좋은 화석이 발견되면서 이 생각은 틀린 것으로 판명났다.<ref name=DFG97b>{{cite book|chapter=Troodon |last=Glut |first=Donald F. |authorlink=Donald F. Glut |title=Dinosaurs: The Encyclopedia |year=1997 |publisher=McFarland & Co |location=Jefferson, North Carolina |pages=933–938 |isbn=0-89950-917-7}}</ref> 후두류에 속하는 여러 종들이 처음에는 스테고케라스의 종으로 보고되었다. 예를 들자면 ''S. lambei'', ''S. sternbergi'', 그리고 ''S. breve'' 등이 원래는 스테고케라스에 속해있다가 새로운 속인 [[콜레피오케팔레]], [[한수에시아]] 그리고 [[의문명]]인 포라미나케팔레 (혹은 그 이전의 연구에서 [[프레노케팔레]]/[[스파에로톨루스]])로 다시 분류되었다.<ref name=Sullivan>{{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author=Robert M. Sullivan |year=2003 |title=Revision of the dinosaur ''Stegoceras'' Lambe (Ornithischia, Pachycephalosauridae) |journal=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ume=23 |issue=1 |pages=181–207 |doi=10.1671/0272-4634(2003)23[181:rotdsl]2.0.co;2}}</ref><ref name=schott/><ref name="Longrich''et al.''">{{cite journal|꺾쇠표없음=예|author= Longrich, N.R., Sankey, J., and Tanke, D. |year= 2010 |title= ''Texacephale langstoni'', a new genus of pachycephalosauri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ampanian Aguja Formation, southern Texas, USA |journal= Cretaceous Research |volume=31 |issue=2 |pages=274–284 |doi= 10.1016/j.cretres.2009.12.002}}</ref>
[[File:Stegoceras skulls.png |thumb|상처의 흔적이 있는 두 개의 ''S. validum'' 두개골]]
최근 [[뉴멕시코]]주의 [[산후안 분지]]에서 스테고케라스의 새 종이 보고되었다. 해당 종의 표본은 2006 년 설리반과 루카스에 의해 ''S. validum'' 과 유사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스티븐 자신스키와 로버트 설리반이 2011 년 프루트랜드 층 상부와 커틀랜드층 하부에서 두 개의 완전하지 않은 후두류 두개골을 발견해 스테고케라스 노보멕시카눔(''Stegoceras novomexicanum'')이라고 명명했다. [[완모식표본]]인 NMMNH P-33898 은 거의 완전한 전두-두정골로 프루트랜드층 ([캄파니아절]] 후기, 약 7500만 년 전) 상부의 포실 포레스트 층원에서 발견되었으며 [[부모식표본]]인 SMP VP-2555 는 왼쪽 전두골 일부분과 양쪽 전두골의 가장 앞쪽 부분 (역시 포실 포레스트 층원에서 발견) 에 해당하고 SMP VP-2790 는 커틀랜드층 ([[캄파니아절 후기, 약 7400만 년 전) 하부의 헌터와시 층원에서 발견된 불완전한 두정골이다.<ref name=S.novomexicanum>{{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authors=Steven E. Jasinski and Robert M. Sullivan |year=2011 |title=Re-evaluation of pachycephalosaurids from the Fruitland-Kirtland transition (Kirtlandian, late Campanian), San Juan Basin, New Mexico,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Stegoceras'' and a reassessment of ''Texascephale langstoni'' |url=http://www.robertmsullivanphd.com/uploads/164._Jasinski_and_Sullivan__Stegoceras__COLOR.pdf |journal=Fossil Record 3.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volume=53 |pages=202–215 }}</ref> 마히토 와타베(Mahito Watabe), 키시고 촉트바타르키(Khishigjaw Tsogtbaatar), 그리고 로버트 M. 설리반(Robert M. Sullivan)은 2011 년에 새로운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시도했으나 해당 연구에서 스테고케라스가 단계통군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ref name=Amtocephale>{{cite journal |꺾쇠표없음=예|authors=Mahito Watabe, Khishigjaw Tsogtbaatar and Robert M. Sullivan |year=2011 |title=A new pachycephalosaurid from the Baynshire Formation (Cenomanian-late Santonian), Gobi Desert, Mongolia |url=http://www.robertmsullivanphd.com/uploads/174.Watabe_et_al__Mongolian_pachy_.pdf |journal=Fossil Record 3.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volume=53 |pages=489–497 }}</ref>

아래는 에반스 외 2013 년 논문의 분지도를 수정한 것이다.<ref name=Acrotholus>{{Cite doi|10.1038/ncomms2749}}</ref>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5%
|label1=&nbsp;후두류&nbsp;
|1={{분지군
|1=[[완나노사우루스]](''Wannanosaurus yansiensis'')
|label2=&nbsp;[[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nbsp;
|2={{분지군
|1={{분지군
|1=[[콜레피오케팔레]](''Colepiocephale lambei'')
|2=[[한수에시아]](''Hanssuesia sternbergi'')
|3='''''Stegoceras novomexicanum'''''
|4='''스테고케라스 발리둠'''(''Stegoceras validum'')}}
|2={{분지군
|1=[[고요케팔레]](''Goyocephale lattimorei'')
|2={{분지군
|1=[[호말로케팔레]](''Homalocephale calathocercos'')
|2={{분지군
|1=[[틸로케팔레]](''Tylocephale gilmorei'')
|2={{분지군
|1=[[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brevis'')
|2={{분지군
|1=[[암토케팔레]](''Amtocephale gobiensis'')
|2={{분지군
|1={{분지군
|1=[[아크로톨루스]](''Acrotholus audeti'')
|2=[[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prenes'')}}
|2={{분지군
|1={{분지군
|1=[[알라스카케팔레]](''Alaskacephale gangloffi'')
|2=[[파키케팔로사우루스]](''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
|2={{분지군
|1=[[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buchholtzae'')
|2=[[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goodwini'') }} }} }} }} }} }} }} }} }} }} }}


== 스테고케라스의 이미지 ==
== 스테고케라스의 이미지 ==

2015년 2월 4일 (수) 13:07 판

스테고케라스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8,000만년-7,200만년 전
스테고케라스의 골격도
스테고케라스의 골격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파충강
목: 조반목
아목: 주식두아목
과: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속: 스테고케라스속
(Stegoceras)

학명이명

Ornatotholus Galton & Sues, 1983

  • S. validum Lambe, 1902
  • S. novomexicanum Jasinski & Sullivan, 2011

스테고케라스 (Stegoceras 뿔이 있는 지붕이라는 뜻) 는 초식성 후두류 공룡의 한 속으로 백악기 후기 현재의 북아메리카 에 살았다.

어원

속명인 스테고케라스는 고대그리스어로 '지붕' 을 뜻하는 스테고 (stego-/στεγο-) 와 '뿔'을 뜻하는 케라스 (ceras/κέρας) 에서 온 것으로 스테고케라스는 뿔이 있는 지붕이라는 의미다.

특징

스테고케라스의 몸길이는 약 2 미터,[1] 몸무게는 10 에서 40 킬로그램 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2] 상대적으로 큰 편인 뇌는 7.6 센티미터 두께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뼈로 된 돔 안에 들어 있었다.[3] 돔의 표면은 매우 매끈했으나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구멍이 있어서 뼈 내부의 통로로 연결되었다. 스테고케라스는 (최소한 S. validum 은) 두정-인상골(parietosquamosal)에 선반모양으로 뚜렷하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고 상측두창 (supratemporal fosse) 이 열려 있으며 전두-두정골 (frontoparietal) 이 미약하게 돔을 형성하고 작은 돌기들이 후안와골과 인상골에 몰려있다.[4] 스테고케라스의 눈구멍은 둥글고 앞을 향해 있어 시력이 좋았으며 아마 양안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빨은 작고 휜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톱니형태다. 머리는 "S" 자 혹은 "U" 자 모양의 목이 지탱해준다.[5] 스테고케라스의 골격 일부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다른 조반류 공룡들은 보통 가지고 있지 않은 복부갈비뼈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복부갈비뼈라고 생각되었던 것은 나중에 골질화힘줄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6] 다리는 팔보다 세 배 이상 길었다.

발견과 분류

길모어의 논문에 실린 알버타 대학의 스테고케라스 사진.

스테고케라스는 로렌스 램비가 1902 년에 스테고케라스 발리둠 (Stegoceras validum)을 모식종으로 하여 처음 명명했다. S. validum 의 표본 전체 (약 40 여 점) 는 캐나다 알버타 주의 벨리 리버 층군에서 발견되었다. 대부분은 후기 캄파니아절, 7650만년에서 7500만년 전의 연대를 가진 공룡공원층(Dinosaur Park Formation)에서, 나머지는 올드맨 층 (캄파니아절 중기, 7750만년에서 7650만년) 발견되었다.[7] 스테고케라스는 거의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다른 후두류 공룡들의 모델 역할을 했다. 1920 년대부터 1945 년까지 스테고케라스는 이빨 형태의 유사성 때문에 트로오돈과 가까운 관계거나 동물이명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보존상태가 좋은 화석이 발견되면서 이 생각은 틀린 것으로 판명났다.[8] 후두류에 속하는 여러 종들이 처음에는 스테고케라스의 종으로 보고되었다. 예를 들자면 S. lambei, S. sternbergi, 그리고 S. breve 등이 원래는 스테고케라스에 속해있다가 새로운 속인 콜레피오케팔레, 한수에시아 그리고 의문명인 포라미나케팔레 (혹은 그 이전의 연구에서 프레노케팔레/스파에로톨루스)로 다시 분류되었다.[4][7][9]

상처의 흔적이 있는 두 개의 S. validum 두개골

최근 뉴멕시코주의 산후안 분지에서 스테고케라스의 새 종이 보고되었다. 해당 종의 표본은 2006 년 설리반과 루카스에 의해 S. validum 과 유사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스티븐 자신스키와 로버트 설리반이 2011 년 프루트랜드 층 상부와 커틀랜드층 하부에서 두 개의 완전하지 않은 후두류 두개골을 발견해 스테고케라스 노보멕시카눔(Stegoceras novomexicanum)이라고 명명했다. 완모식표본인 NMMNH P-33898 은 거의 완전한 전두-두정골로 프루트랜드층 ([캄파니아절]] 후기, 약 7500만 년 전) 상부의 포실 포레스트 층원에서 발견되었으며 부모식표본인 SMP VP-2555 는 왼쪽 전두골 일부분과 양쪽 전두골의 가장 앞쪽 부분 (역시 포실 포레스트 층원에서 발견) 에 해당하고 SMP VP-2790 는 커틀랜드층 ([[캄파니아절 후기, 약 7400만 년 전) 하부의 헌터와시 층원에서 발견된 불완전한 두정골이다.[10] 마히토 와타베(Mahito Watabe), 키시고 촉트바타르키(Khishigjaw Tsogtbaatar), 그리고 로버트 M. 설리반(Robert M. Sullivan)은 2011 년에 새로운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시도했으나 해당 연구에서 스테고케라스가 단계통군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11]

아래는 에반스 외 2013 년 논문의 분지도를 수정한 것이다.[12]

 후두류 

완나노사우루스(Wannanosaurus yansiensis)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 

콜레피오케팔레(Colepiocephale lambei)

한수에시아(Hanssuesia sternbergi)

Stegoceras novomexicanum

스테고케라스 발리둠(Stegoceras validum)

고요케팔레(Goyocephale lattimorei)

호말로케팔레(Homalocephale calathocercos)

틸로케팔레(Tylocephale gilmorei)

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brevis)

암토케팔레(Amtocephale gobiensis)

아크로톨루스(Acrotholus audeti)

프레노케팔레(Prenocephale prenes)

알라스카케팔레(Alaskacephale gangloffi)

파키케팔로사우루스(Pachycephalosaurus wyomingensis)

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buchholtzae)

스파에로톨루스(Sphaerotholus goodwini)

스테고케라스의 이미지

참고문헌

  1. Palmer, D., 편집. (1999).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London: Marshall Editions. 136쪽. ISBN 1-84028-152-9. 
  2. Peczkis, J. 1995. Implications of Body-Mass Estimates for Dinosaurs. JVP. Vol. 14(4):520-533
  3. Dinosaurs from A-Z DinoDictionary.com
  4. Robert M. Sullivan (2003). “Revision of the dinosaur Stegoceras Lambe (Ornithischia, Pachycephalosaurida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3 (1): 181–207. doi:10.1671/0272-4634(2003)23[181:rotdsl]2.0.co;2. 
  5.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KC9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6. Claessens, Leon P.A.M. (March 2004). “Dinosaur gastralia: origin, morphology, and function”.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4 (1): 89–106. doi:10.1671/A1116-8. 
  7. Ryan K. Schott, David C. Evans, Mark B. Goodwin, John R. Horner, Caleb Marshall Brown, Nicholas R. Longrich (2011). “Cranial Ontogeny in Stegoceras validum (Dinosauria: Pachycephalosauria): A Quantitative Model of Pachycephalosaur Dome Growth and Variation”. 《PLoS ONE》 6 (6): e21092. Bibcode:2011PLoSO...6E1092S. doi:10.1371/journal.pone.0021092. 
  8. Glut, Donald F. (1997). 〈Troodon〉. 《Dinosaurs: The Encyclopedia》.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 Co. 933–938쪽. ISBN 0-89950-917-7. 
  9. Longrich, N.R., Sankey, J., and Tanke, D. (2010). “Texacephale langstoni, a new genus of pachycephalosauri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ampanian Aguja Formation, southern Texas, USA”. 《Cretaceous Research》 31 (2): 274–284. doi:10.1016/j.cretres.2009.12.002. 
  10. Steven E. Jasinski and Robert M. Sullivan (2011). “Re-evaluation of pachycephalosaurids from the Fruitland-Kirtland transition (Kirtlandian, late Campanian), San Juan Basin, New Mexico,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Stegoceras and a reassessment of Texascephale langstoni (PDF). 《Fossil Record 3.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53: 202–215. 
  11. Mahito Watabe, Khishigjaw Tsogtbaatar and Robert M. Sullivan (2011). “A new pachycephalosaurid from the Baynshire Formation (Cenomanian-late Santonian), Gobi Desert, Mongolia” (PDF). 《Fossil Record 3.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53: 489–497. 
  12. doi 10.1038/ncomms2749
    현재 이 인용은 내용이 불완전합니다. 영어판의 문서에서 복사하여 완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