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키에리아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ArchaeoFelis님이 할키에리아 문서를 할키에리아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영문 위키피디아에는 Halkieria 및 가까운 관계의 생물을 halkieriid 문서에서 다루고 있고, 기존 할키에리아 문서의 내용이 적어서 할키에리아류 문서에서 영어 위키피디아의 halkieriid 문서를 번역하기로 함.
개요 및 화석에 대한 설명 일부 번역
16번째 줄: 16번째 줄:
}}
}}


'''할키에리아류'''는 하부 및 중부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화석 유기체 그룹이다. 할키에리아류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할키에리아'''는 거의 모든 대륙의 하부 및 중부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 발견되었고 [[작은껍질화석]]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잘 알려진 종은 할키에리아 에반겔리스타(''Halkieria evangelista'')로, 1989년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 [[라거슈태테]]에서 온전한 표본이 발견되었다. 할키에리아는 1990년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 와 존 필에 의해 학술지 [[네이쳐]]에 보고되었다. 이후 1995년 더 상세한 기술이 [[런던왕립학회보]]에 발표되면서 진화적으로 폭넓은 의미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할키에리아'''는 [[고생대]] [[캄브리아기]] 전기와 중기에 살았던 생물이다.

이 그룹은 때로 사키티다(Sachitida)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원래 이것은 위왁시아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므로<ref name="Bengtson1985">{{저널 인용|이탤릭체=예| last1 = Bengtson | first1 = S. | title = Redescription of the Lower Cambrian ''Halkieria obliqua ''Poulsen | doi = 10.1080/11035898509452621 | journal = Geologiska Föreningen i Stockholm Förhandlingar | volume = 107 | issue = 2 | pages = 101–106 | year = 1985 | pmid = | pmc = }}</ref> [[할왁시아류]]와 동일한 것이다.

==발견사==

[[골편]]이라고 불리는 보호판은 [[작은껍질화석]]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알려져 있었고, 세부적인 연구에 의해 이들 중 일부는 하나의 동물에 속한 것으로 원래 어떤 모습이었는지도 밝혀지게 되었다. 단단한 껍질 부분을 포함해 할키에리아 에반겔리스타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표본이 1989년에 [[그린란드]]에 위치한 [[시리우스 파세트]] [[라거슈태테]]에서 발견되었으며 1990년에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와 존 S. 필에 의해 보고되었다.<ref name="ConwayMorrisPeel1990">{{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title=Articulated halkieriids from the Lower Cambrian of north Greenland
|author1=Conway Morris, S. |author2=Peel, J.S. | journal=Nature | volume=345 | pages=802–805
|date=June 1990 | doi=10.1038/345802a0
| issue=6278
|bibcode = 1990Natur.345..802M }} A short but free account is given at {{cite web
| url=http://www.stephenjaygould.org/library/naturalhistory_cambrian.html
| title=Showdown on the Burgess Shale
| accessdate=2008-07-31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10200047/http://www.stephenjaygould.org/library/naturalhistory_cambrian.html
| archive-date=2010-12-10
| url-status=dead
}}</ref> H. 에반겔리스타(''H. evangelista'')는 할키에리아류를 비롯해 그와 비슷한 껍질 및 골편을 감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 있어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ref name="Porter2004HalkieriidsMidCambrianAustralia" /><ref name="ConwayMorris1994EnigmaticShells">{{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author=Conway Morris, S. | year=1994
| title=Enigmatic shells, possibly halkieriid,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 journal=Neues Jahrbuch für Geologie und Paläontologie| volume=195 | issue=1–3
| pages=319–331
| doi=10.1127/njgpa/195/1995/319
| url=https://semanticscholar.org/paper/43f3662260320fed1cfec7724b947f68326916aa
}}</ref> 종명인 에반겔리스타는 이 종이 하부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되는 화석들을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ref name="ConwayMorrisPeel1995">{{저널 인용|이탤릭체=예
| title=Articulated Halkieriids from the Lower Cambrian of North Greenland and their Role in Early Protostome Evolution
| author=Conway Morris, S.
| author2= Peel, J. S.
| journal=[[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 volume=347
| issue=1321 | pages=305–358 | doi=10.1098/rstb.1995.0029 | year=1995
| bibcode=1995RSPTB.347..305C
}}</ref>

==화석에 대한 설명==
===할키에리아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가 공유하는 특징들===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는 갑옷같은 [[골편]]들만이 발견되었으며 그에 대한 분석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가 할키에리아와 유사하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 둘의 골편들은 매우 유사해서 이러한 가정은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ref name="Porter2004HalkieriidsMidCambrianAustralia">{{저널 인용|이탤릭체=예| last1 = Porter | first1 = S. M. | year = 2004 | title = Halkieriids in Middle Cambrian phosphatic limestones from Australia | journal = Journal of Paleontology | volume = 78 | issue = | pages = 574–590 | jstor = | doi = 10.1666/0022-3360(2004)078<0574:himcpl>2.0.co;2| url = | format = | accessdate = }}</ref> 두 [[속]] 모두가 가지고 있는 골편은 "체강골편"이라고 불리는 종류인데,<ref name="Porter2004HalkieriidsMidCambrianAustralia" /> 원래는 유기질 조직이 있던 공간을 광물화된 껍질이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뜻하며, 이러한 껍질이 바깥쪽으로 계속 자랐다는 증거는 찾아볼 수 없다.<ref name="Bengtson2004">{{저널 인용| 이탤릭체=예| chapter=Early skeletal fossils
| author = Bengtson, S. | editor=Lipps, J.H. |editor2=Waggoner, B.M. | title=Neoproterozoic- Cambrian Biological Revolutions
| year = 2004
| journal = Paleontological Society Papers
| volume = 10
| pages = 67–78
| doi = 10.1017/S1089332600002345 | url = https://semanticscholar.org/paper/dab7c4b838f6d3367b49bbb7d31baf1cc2a6ac95 }}</ref> 두 속 모두 세 가지 형태의 골편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는 "손바닥형"로, 납작한 단풍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세 가지 골편 중 가장 작다. "칼날형" 골편은 납작하면서 칼날 모양을 하고 있다. "가시형" 골편은 칼날형과 비슷한 크기지만 가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통이 눌린 것 같은 모양이다. 할키에리아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 모두 손바닥형과 칼날형 골편에는 여러 줄로 튀어나온 이랑이 뚜렷하게 보이며 바닥 쪽에 90도로 꺾어진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평평한 것으로 보아 생물의 몸통에 딱 붙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시형 골편에는 튀어나온 이랑 구조가 잘 보이지 않으며 몸에서부터 45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바깥쪽으로 뻗어있다.<ref name="Porter2004HalkieriidsMidCambrianAustralia" />


{{토막글|생물학}}
{{토막글|생물학}}

2020년 3월 17일 (화) 17:43 판

할키에리아
그린란드 북부 캄브리아기 전기의 Halkieria evangelista 화석
그린란드 북부 캄브리아기 전기의 Halkieria evangelista 화석
생물 분류ℹ️
(미분류): 촉수담륜동물
계: 동물계
문: 연체동물문(?)
강: ?
목: ?
과: 할키에리아과
(Halkieriidae)
Poulsen, 1967
속: 할키에리아속
(Halkieria)
Poulsen, 1967
모식종
Halkieria obliqua
[출처 필요]

할키에리아류는 하부 및 중부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화석 유기체 그룹이다. 할키에리아류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할키에리아는 거의 모든 대륙의 하부 및 중부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 발견되었고 작은껍질화석군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잘 알려진 종은 할키에리아 에반겔리스타(Halkieria evangelista)로, 1989년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셋 라거슈태테에서 온전한 표본이 발견되었다. 할키에리아는 1990년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 와 존 필에 의해 학술지 네이쳐에 보고되었다. 이후 1995년 더 상세한 기술이 런던왕립학회보에 발표되면서 진화적으로 폭넓은 의미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그룹은 때로 사키티다(Sachitida)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원래 이것은 위왁시아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므로[1] 할왁시아류와 동일한 것이다.

발견사

골편이라고 불리는 보호판은 작은껍질화석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알려져 있었고, 세부적인 연구에 의해 이들 중 일부는 하나의 동물에 속한 것으로 원래 어떤 모습이었는지도 밝혀지게 되었다. 단단한 껍질 부분을 포함해 할키에리아 에반겔리스타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표본이 1989년에 그린란드에 위치한 시리우스 파세트 라거슈태테에서 발견되었으며 1990년에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와 존 S. 필에 의해 보고되었다.[2] H. 에반겔리스타(H. evangelista)는 할키에리아류를 비롯해 그와 비슷한 껍질 및 골편을 감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 있어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3][4] 종명인 에반겔리스타는 이 종이 하부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되는 화석들을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5]

화석에 대한 설명

할키에리아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가 공유하는 특징들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는 갑옷같은 골편들만이 발견되었으며 그에 대한 분석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가 할키에리아와 유사하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 둘의 골편들은 매우 유사해서 이러한 가정은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3] 모두가 가지고 있는 골편은 "체강골편"이라고 불리는 종류인데,[3] 원래는 유기질 조직이 있던 공간을 광물화된 껍질이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뜻하며, 이러한 껍질이 바깥쪽으로 계속 자랐다는 증거는 찾아볼 수 없다.[6] 두 속 모두 세 가지 형태의 골편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는 "손바닥형"로, 납작한 단풍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세 가지 골편 중 가장 작다. "칼날형" 골편은 납작하면서 칼날 모양을 하고 있다. "가시형" 골편은 칼날형과 비슷한 크기지만 가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원통이 눌린 것 같은 모양이다. 할키에리아와 아우스트랄로할키에리아 모두 손바닥형과 칼날형 골편에는 여러 줄로 튀어나온 이랑이 뚜렷하게 보이며 바닥 쪽에 90도로 꺾어진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평평한 것으로 보아 생물의 몸통에 딱 붙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시형 골편에는 튀어나온 이랑 구조가 잘 보이지 않으며 몸에서부터 45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를 이루며 바깥쪽으로 뻗어있다.[3]

  1. Bengtson, S. (1985). “Redescription of the Lower Cambrian Halkieria obliqua Poulsen”. Geologiska Föreningen i Stockholm Förhandlingar 107 (2): 101–106. doi:10.1080/11035898509452621. 
  2. Conway Morris, S.; Peel, J.S. (June 1990). “Articulated halkieriids from the Lower Cambrian of north Greenland”. Nature 345 (6278): 802–805. Bibcode:1990Natur.345..802M. doi:10.1038/345802a0.  A short but free account is given at “Showdown on the Burgess Shale”. 2010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31일에 확인함. 
  3. Porter, S. M. (2004). “Halkieriids in Middle Cambrian phosphatic limestones from Australia”. Journal of Paleontology 78: 574–590. doi:10.1666/0022-3360(2004)078<0574:himcpl>2.0.co;2. 
  4. Conway Morris, S. (1994). “Enigmatic shells, possibly halkieriid,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Neues Jahrbuch für Geologie und Paläontologie 195 (1–3): 319–331. doi:10.1127/njgpa/195/1995/319. 
  5. Conway Morris, S.; Peel, J. S. (1995). “Articulated Halkieriids from the Lower Cambrian of North Greenland and their Role in Early Protostome Evolu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47 (1321): 305–358. Bibcode:1995RSPTB.347..305C. doi:10.1098/rstb.1995.0029. 
  6. Bengtson, S. (2004). Lipps, J.H.; Waggoner, B.M., 편집. “Neoproterozoic- Cambrian Biological Revolutions”. Paleontological Society Papers 10: 67–78. doi:10.1017/S1089332600002345.  |장=이 무시됨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