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중량: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722JY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8722JY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생애 ==
== 생애 ==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밀직승지]](密直承旨)를 지냈다.<ref name="sugeun">[[권별]], 《[[해동잡록]]》, 1670 </ref>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사위이자 이방원의 사촌 처형으로, 권력의 최중심에 섰고, 처음 반정을 계획할 즈음에는 정몽주의 측근으로서 스승을 살리려고 이방원측의 선죽교 암살 계획을 미리 알렸으나<ref>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ref> 정몽주가 듣지않아 암살됐고, 장인 이원계와 함께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으나 건국 이후에는 개국공신을 하사받는다. 조정에 입조하여 [[전중경]](殿中卿)에 임명되으며 [[조준]], [[정도전]], 남은 등에게 병권을 전부 몰아주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한 일을 빌미로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었다. 이때 명나라에서 외교문서에 쓰인 글자를 문제삼아 책임자들을 보낼 것을 요구하자 동행하기를 자진해 청하였다. 이후,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 우산기상시(右散騎常寺)를 역임하였다.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밀직승지]](密直承旨)를 지냈다.<ref name="sugeun">[[권별]], 《[[해동잡록]]》, 1670 </ref>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사위이자 이방원의 사촌 처형(사촌 누나의 남편)으로, 권력의 최중심에 섰고, 처음 반정을 계획할 즈음에는 정몽주의 측근으로서 스승을 살리려고 이방원측의 선죽교 암살 계획을 미리 알렸으나<ref>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ref> 정몽주가 듣지않아 암살됐고, 장인 이원계와 함께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으나 건국 이후에는 개국공신을 하사받는다. 조정에 입조하여 [[전중경]](殿中卿)에 임명되으며 [[조준]], [[정도전]], 남은 등에게 병권을 전부 몰아주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한 일을 빌미로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었다. 이때 명나라에서 외교문서에 쓰인 글자를 문제삼아 책임자들을 보낼 것을 요구하자 동행하기를 자진해 청하였다. 이후,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 우산기상시(右散騎常寺)를 역임하였다.


1차 왕자의 난 이후에도, 전 신료들이 모두 이방원 밑으로 들어가 목숨을 보전하였는데, 이후 [[무인정사]]때 갑옷을 입지 않고 궁궐 경비 책임자로 병든 이성계를 지켜내었다고 한다.[1] 스승 정몽주에 이어서, 처 삼촌인 태조 이성계를 살리려고 지킨 것이 갑옷을 입지 않은 점을 들어 결국 정도전의 측근으로 분류되자,억울함을 호소하다가,(사촌 처남인) 이방원의 분노를 사 주살되었다.1868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신원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1차 왕자의 난 이후에도, 전 신료들이 모두 이방원 밑으로 들어가 목숨을 보전하였는데, 이후 [[무인정사]]때 갑옷을 입지 않고 궁궐 경비 책임자로 병든 이성계를 지켜내었다고 한다.[1] 스승 정몽주에 이어서, 처 삼촌인 태조 이성계를 살리려고 지킨 것이 갑옷을 입지 않은 점을 들어 결국 정도전의 측근으로 분류되자,억울함을 호소하다가,(사촌 처남인) 이방원의 분노를 사 주살되었다.1868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신원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2019년 11월 2일 (토) 15:52 판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이다. 호는 춘당(春堂),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이색정몽주의 문인이며 변계량의 친형이며, 태조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사위로 부친 변옥란과 함께 개국 원종공신이었는데, 무인정사때 정도전 측으로 몰려 이방원(사촌)에게 최후를 맞는다. 두 형제 모두 시적 재능이 뛰어났고[1] 저서에 춘당유고(春堂遺稿) 한권이 전한다. 경상남도 거창에 병암서원(屛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생애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밀직승지(密直承旨)를 지냈다.[1]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사위이자 이방원의 사촌 처형(사촌 누나의 남편)으로, 권력의 최중심에 섰고, 처음 반정을 계획할 즈음에는 정몽주의 측근으로서 스승을 살리려고 이방원측의 선죽교 암살 계획을 미리 알렸으나[2] 정몽주가 듣지않아 암살됐고, 장인 이원계와 함께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으나 건국 이후에는 개국공신을 하사받는다. 조정에 입조하여 전중경(殿中卿)에 임명되으며 조준, 정도전, 남은 등에게 병권을 전부 몰아주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한 일을 빌미로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었다. 이때 명나라에서 외교문서에 쓰인 글자를 문제삼아 책임자들을 보낼 것을 요구하자 동행하기를 자진해 청하였다. 이후,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 우산기상시(右散騎常寺)를 역임하였다.

1차 왕자의 난 이후에도, 전 신료들이 모두 이방원 밑으로 들어가 목숨을 보전하였는데, 이후 무인정사때 갑옷을 입지 않고 궁궐 경비 책임자로 병든 이성계를 지켜내었다고 한다.[1] 스승 정몽주에 이어서, 처 삼촌인 태조 이성계를 살리려고 지킨 것이 갑옷을 입지 않은 점을 들어 결국 정도전의 측근으로 분류되자,억울함을 호소하다가,(사촌 처남인) 이방원의 분노를 사 주살되었다.1868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신원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크게 폄하되어 밀양 변씨 후손들이 소송을 건 적도 있다. 다만 이 부분은 1권, 2권의 주요 참고 문헌 조유식의 <정도전을 위한 변명>을 참고한 흔적으로, 이 책에서도 변중량을 '기회주의적', '카멜레온'으로 표현하고 있다. [3] [1]

가족 관계

  • 증조부 : 신의위보승산원(神義衛保勝散員) 변주(卞珠).
    • 조부 : 증 찬성사(贈 贊成事) 변원(卞原).
      • 아버지 :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변옥란(卞玉鸞).
      • 어머니 : 이름 모름
        • 이복형님 : 변맹량 (卞猛良)
        • 장형님 : 변 옹(변壅)
      • 어머니 : 창녕 성씨(전객서부령(典客署副令) 성공필(成公弼)의 딸)
        • 동생 : 변계량(卞季良).
        • 부인 : 전주 이씨(이원계의 딸)
          • 아들 : 변길상 (卞吉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