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군 (산시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상군'''(上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상군'''(上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 진 ==
== 전국·진 ==
원래는 [[위 (전국)|위나라]]에서 설치한 군이었고, [[진 혜문왕|혜문군]] 10년(기원전 328년) 위나라가 진나라에 상군 15현을 바쳤다.<ref>사마천: 《사기》 권5 진본기제5{{위키문헌|:zh:史記/卷005|사기 권5 진본기제5}}</ref> 이전까지 진나라는 전국을 현으로 나누었고 [[내사 (관직)|내사]]의 관할 아래에 두었으나, 이때 획득한 땅을 바탕으로 상군을 설치했으니, 이것이 진나라에서 처음으로 군을 설치한 것이다.<Ref>{{저널 인용 |저자1= 전혜란 |날짜=2014-05 |제목=한·진초의 내사와 군 |url=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21784 |저널=중국고중세사연구 |출판사= |권=32 |쪽=35-89 |doi= |확인날짜= }}</ref>
진나라에서 최초로 설치된 군이다.


== 전한 ==
== 전한 ==

2016년 3월 17일 (목) 02:25 판

상군(上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국·진

원래는 위나라에서 설치한 군이었고, 혜문군 10년(기원전 328년) 위나라가 진나라에 상군 15현을 바쳤다.[1] 이전까지 진나라는 전국을 현으로 나누었고 내사의 관할 아래에 두었으나, 이때 획득한 땅을 바탕으로 상군을 설치했으니, 이것이 진나라에서 처음으로 군을 설치한 것이다.[2]

전한

진나라가 기원전 206년에 멸망하고 항우가 각지에 제후왕을 봉하면서 이곳은 적(翟)나라의 봉토가 됐다. 적나라에서는 수도를 현재의 옌안 시 지역인 고노(高奴)에 두었다. 1년 후 한왕 유방(전한 고제)에게 적왕 동예가 항복하면서 한나라에 편입돼 도로 상군이 됐고, 한왕이 항우를 패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면서 한나라의 열다섯 직할 군 중 하나가 됐다.[3][4] 10만 3683호, 60만 6658명을 관할했다. 흉노에서 한나라로 귀부한 사람들을 담당하는 흉귀도위(匈歸都尉)를 새외에 두었고, 병주자사부의 감찰을 받았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이다. 원연·수화 연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이름 종류 비고
부시(膚施) 오룡산(五龍山), 제(帝), 원수(原水), 황제(黃帝)의 사당 네 곳이 있다.
독락(獨樂) 염관이 있다.
양주(陽周) 교산(橋山)이 남쪽에 있어 황제총(黃帝冢)이 있다.
목화(木禾)
평도(平都)
천수(淺水)
경실(京室)
낙도(洛都)
백토(白土) 은수(圜水)가 서쪽에서 나와서 동으로 황하에 들어간다.
양락(襄洛)
원도(原都)
칠원(漆垣)
사연(奢延)
조음(雕陰) 응소에 따르면 조산(雕山)이 서남쪽에 있다.
추사(推邪)
정림(楨林)
고망(高望)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조음도(雕陰道)
구자(龜茲) 속국도위가 다스리며 염관이 있다. 안사고에 따르면 한나라에 항복해 온 구자국 사람들을 살게 한 곳인 데서 작명했다.
정양(定陽) 응소에 따르면 정수(定水)의 북쪽[陽]이다.
고노(高奴) 유수(洧水)가 있는데, 잘 탄다.[5]
망송(望松) 북부도위가 다스린다.
의도(宜都)

[6]

신나라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양주(陽周) 상릉치(上陵畤)
경실(京室) 적속(積粟)
낙도(洛都) 비순(卑順)
백토(白土) 황토(黃土)
양락(襄洛) 상당정(上黨亭)
칠원(漆垣) 칠장(漆牆)
사연(奢延) 사절(奢節)
추사(推邪) 배사(排邪)
정림(楨林) 정간(楨幹)
고망(高望) 견녕(堅甯)
고노(高奴) 이평(利平)
의도(宜都) 견녕소읍(堅寧小邑)

각주

  1. 사마천: 《사기》 권5 진본기제5
  2. 전혜란 (2014년 5월). “한·진초의 내사와 군”. 《중국고중세사연구》 32: 35-89. 
  3. 반고: 《한서》 권1 고제기제1
  4. 반고: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5. 가연성 액체가 난다는 것으로, 중국 사서상 기록된 최초의 석유 관련 기록이다.
  6. 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28 하 지리지제8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