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끝혀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턱끝혀근
왼쪽에서 본 의 바깥기원근육
아래에서 본 혀의 근육들. 턱끝혀근은 가장 위에서 보인다.
정보
이는곳아래턱뼈 턱끝가시의 위쪽 부분 (턱뼈결합)
닿는곳의 아래쪽 부분과 목뿔뼈의 몸통
동맥혀동맥
신경혀밑신경
작용아래쪽 섬유: 혀를 앞으로 내밂
중간 섬유: 혀를 아래로 누름
위쪽 섬유:혀끝을 뒤아래쪽으로 당김
식별자
라틴어musculus genioglossus
영어genioglossus muscle
TA98A05.1.04.101
TA22117
FMA46690

턱끝혀근(genioglossus) 또는 이설근(頣舌根)은 에 존재하는 한 쌍의 바깥기원근육이다. 혀를 내미는 작용을 하는 주된 근육이다.

구조[편집]

턱끝혀근은 몸통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부채꼴 모양의 바깥기원근육이다. 아래턱뼈턱끝가시에서 시작되어 목뿔뼈와 혀의 아래쪽에 닿는다.[1][2]

턱끝혀근은 혀밑신경의 지배를 받으며,[1] 이는 입천장혀근을 제외한 혀의 모든 근육도 마찬가지이다.[3]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혀동맥의 혀밑가지가 혈액을 공급한다.[1][4]

개의 턱끝혀근은 수평 부분과 비스듬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5]

기능[편집]

왼쪽과 오른쪽 턱끝혀근은 혀를 내밀며 반대쪽으로 혀를 움직인다. 양쪽 턱끝혀근이 함께 작용하면 혀 중간 부분을 아래로 누른다.[1]

임상적 중요성[편집]

턱끝혀근의 수축은 허탈되기 쉬운 상기도 부분을 안정하게 하고 확장시킨다. 턱끝혀근과 턱끝목뿔근의 이완은 특히 렘수면 중일 때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관련되어 있다.[6] 따라서 아래턱뼈를 앞으로 당겨 기도 공간을 최대한으로 만들고, 혀가 뒤로 가서 마취 중에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종종 혀밑신경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해 환자가 혀를 내밀도록 요청하여 턱끝혀근의 기능을 대신 볼 수 있다. 혀밑신경의 말초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근육 쪽으로 혀가 휠 수 있다.[4]

역사[편집]

'Genioglossus'라는 이름은 을 뜻하는 γένειον ('geneion')과 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인 γλῶσσα ('glōssa')가 합쳐진 것이다. 가장 먼저 턱끝혀근을 기록된 것은 17세기 초 헬키아 크루크(Helkiah Crooke)에 의해서였다.[7]

참고 문헌[편집]

  1. Susan Standring; Neil R. Borley; 외., 편집. (2008).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판.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503–5쪽. ISBN 978-0-8089-2371-8. 
  2. Singh, Inderbir (2009). 《Essentials of anatomy》 2판. New Delhi: Jaypee Bros. 348쪽. ISBN 978-81-8448-461-8.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M. J. T. Fitzgerald; Gregory Gruener; Estomih Mtui (2012).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science》. Saunders/Elsevier. 216쪽. ISBN 978-0-7020-4042-9. 
  4. Drake, Richard L.; Vogl, Wayne; Tibbitts, Adam W.M. Mitchell (2005). 《Gray's anatomy for students》. Philadelphia: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991–2쪽. ISBN 978-0-443-06612-2. 
  5. Mu, Liancai; Sanders, Ira (2000). “Neuromuscular specializations of the pharyngeal dilator muscles: II. Compartmentalization of the canine genioglossus muscle”. 《The Anatomical Record》 260 (3): 308–25. doi:10.1002/1097-0185(20001101)260:3<308::aid-ar70>3.0.co;2-n. PMID 11066041. 
  6. den Herder, Cindy; Schmeck, Joachim; Appelboom, Dick J K; de Vries, Nico (2004). “Risks of general anaesthesia in people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BMJ》 329 (7472): 955–9. doi:10.1136/bmj.329.7472.955. PMC 524108. PMID 15499112. 
  7. “genioglossus - definition of genioglossus in English”. 《Oxford Dictionaries | English》. 2017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