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구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본구조(capital structure), 자본구성이란 기업이 자본조달의 원천인 자기자본과 부채의 구성비율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자본의 기회비용과 부채의 기회비용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조달원천의 구성비율에 따라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데 필요한 할인율인 가중평균자본비용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기업가치는 다음과 같이 평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할인율의 변화는 기업가치의 변화를 가져온다.

기업가치(V) = 미래현금흐름(Cash Flow) /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자본구조에 대한 이론은 크게 자본구조의 변화와 할인율의 변화가 없다고 보는, 즉 기업가치가 관련이 없다고 보는 무관련이론과 자본구조의 변화는 할인율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최적자본구조(optimal capital structure)가 존재한다고 보는 관련이론으로 나뉜다.

개요[편집]

기업에서의 자본은 그 조달원(調達源)으로 보아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으로 구별되며 이 양자의 비율을 기업의 자본구성이라 한다. 자기자본이란 자본금, 여러 종류의 준비금, 잉여금으로 이룩되는 소유자 자본이며 타인 자본이란 사채(社債)·은행차입금 등의 장기 및 단기의 차입자본이다. 기업이 생산을 확대하여 발전시키려면 아무래도 자기 자본을 조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여 타인자본에 대한 요청이 필요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타인자본, 특히 은행 단기차입금에 대한 의존이 심하여 자본구성이 극도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자본구성"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