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종 아메바성 뇌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아종 아메바성 뇌염(granulomatous amoebic encephalitis; GAE)은 특정 종의 자유생활형 아메바,[1] 특히 가시아메바발라무트아메바에 의해 발생하는[2][3]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발라무트아메바가 병원체일 경우에는 발라무트아메바성 뇌염(balamuthia amoebic encephalitis; BAE)이라고도 한다.[4][5][6][7]

아직까지 충분히 많은 환자가 존재하지 않았기에 GAE는 명확한 정의가 없다. 마비, 간질 등이 나타나며, 교종 등 다른 신경질환을 동반할 수 있다. 다른 뇌질환과 동반될 경우 GAE 진단이 늦춰질 수 있다. 이런 병증은 아메바가 뇌조직에 염증성 괴사를 일으켜서 발생한다.

GAE 유발 아메바에 감염되었는지 여부를 알려면 뇌생체조직검사를 해야 한다. 현미경으로 조직을 살펴보면 아메바의 낭포영양체가 관찰된다.

치료는 케토코나졸, 미코나졸, 플루시토신, 펜타미딘항진균제를 투입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치료가 이루어져도 생존률은 낮다. 생존자는 극히 드물며, 보고된 모든 생존자는 영구적 신경인지장애를 얻었다.[8]

각주[편집]

  1. “Amebic Meningoencephalitis: Overview - eMedicine”. 
  2. Guarner, J.; Bartlett, J.; Shieh, W.; Paddock, C.; Visvesvara, G.; Zaki, S. (2007). “Histopathologic spectrum and immunohistochemical diagnosis of amebic meningoencephalitis”. 《Modern Pathology》 20 (12): 1230–1237. doi:10.1038/modpathol.3800973. PMID 17932496. 
  3. Jayasekera, S.; Sissons, J.; Tucker, J.; Rogers, C.; Nolder, D.; Warhurst, D.; Alsam, S.; White, J. M.; Higgins, E. M.; Khan, N. A. (2004). “Post-mortem culture of Balamuthia mandrillaris from the brain and cerebrospinal fluid of a case of granulomatous amoebic meningoencephalitis, using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53 (Pt 10): 1007–1012. doi:10.1099/jmm.0.45721-0. PMID 15358823. 
  4. Da Rocha-Azevedo, B.; Tanowitz, H.; Marciano-Cabral, F. (2009). “Diagnosis of infections caused by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on Infectious Diseases》 2009: 251406. doi:10.1155/2009/251406. PMC 2719787. PMID 19657454. 
  5. Matin, A.; Siddiqui, R.; Jung, S.; Kim, K.; Stins, M.; Khan, N. (2007). “Balamuthia mandrillaris interactions with 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56 (Pt 8): 1110–1115. doi:10.1099/jmm.0.47134-0. PMID 17644721. 
  6. Siddiqui, R.; Khan, N. (2008). “Balamuthia amoebic encephalitis: an emerging disease with fatal consequences”. 《Microbial pathogenesis》 44 (2): 89–97. doi:10.1016/j.micpath.2007.06.008. PMID 17913450. 
  7. Schuster, F.; Yagi, S.; Gavali, S.; Michelson, D.; Raghavan, R.; Blomquist, I.; Glastonbury, C.; Bollen, A.; Scharnhorst, D.; Reed, S. L.; Kuriyama, S.; Visvesvara, G. S.; Glaser, C. A. (2009). “Under the radar: balamuthia amebic encephalit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8 (7): 879–887. doi:10.1086/597260. PMID 19236272. 
  8. Final Diagnosis - Case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