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마루소엽
아래마루소엽 | |
---|---|
정보 | |
상위 구조 | 마루엽 |
식별자 | |
라틴어 | lobulus parietalis inferior |
NeuroNames | 107 |
NeuroLex ID | birnlex_1194 |
TA98 | A14.1.09.125 |
TA2 | 5471 |
FMA | 77536 |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또는 하두정소엽(下頭頂小葉)은 대뇌 반구의 가쪽 면에서, 마루엽의 아래쪽 약 1/2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중심뒤고랑(postcentral sulcus)의 뒤쪽, 마루속고랑(intraparietal sulcus)의 아래쪽에 해당한다. 뇌의 기능 국재화(functional specialization)에서는 기억 및 언어의 산출 그리고 시각적 언어 정보를 청각적 정보로 변환하는 것과 연관있다고 알려져있다.
구조
[편집]아래마루소엽은 중심뒤고랑보다 뒤쪽에 있는 마루엽의 영역 가운데에서 마루속고랑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아래마루소엽을 다시 모서리위이랑(supramarginal gyrus, 연상회)과 모이랑(angular gyrus, 각회)의 세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연상회(supramarginal gyrus)는 가쪽고랑의 뒤가지(posterior ramus)가 위쪽으로 꺾여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관자엽의 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각회(angular gyrus)은 위관자고랑이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관자엽의 중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노란색 영역은 아래마루소엽이며, 해부학적으로 중심뒤고랑과 마루속고랑으로 경계 지어진다. 모서리위이랑과 모이랑으로 나눌 수 있다. |
언어처리
[편집](예시) 아래마루소엽 안쪽(배측)에는 해마(hippocampus)가 자리잡고 있다. |
뇌 백질의 언어처리에 있어서 제3의 영역이 국재(localization)하는 아래마루소엽의 모이랑과 모서리위이랑이 간접적인 부전경로(accessory pathway)로서 직접적인 맞교차 경로(commissural pathway)로 알려진 궁상섬유속(arcuate fasciculus)의 손상에서 두 뇌 언어영역의 단절로 인하여 특징적인 실어증적인 증상들이 발생하는 것으로는 잘 설명될 수 없는 증상들의 틀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맥락은 아래마루소엽이 해부학적으로 언어기억인출 및 저장과 관련해서 해마체와 변연계 간 공간적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대한방사선의학회지2003 ; 48 : 201 - 211─201─암묵기억과 외현기억 인출의 신경학적 기전: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강형근·정광우·박태진·서정진·김형중·은성종·정태웅)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016JKRS/jkrs-48-201.pdf
참고 문헌
[편집]- (입 움직임 시각 단서가 청각 언어 지각에 미치는 영향 - 구조 방정식 모델 연구, The influence of visual mouth cue on auditory speech percep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김희정, 이동수, 강은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제20권 제4호 2008.12 223 - 246 KCI 등재)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74475&nodeId=NODE06374475&language=ko_KR
- (Brain & Neuro Rehabilitation Vol.2, No.1, March, 2009, 전도성 실어증을 유발하는 뇌 병소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교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재활의학교실,조남순ᆞ온석훈ᆞ장현정ᆞ전희정ᆞ이강우ᆞ김연희 Brain Lesions in Conduction Aphasia)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76bn/bn-2-8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