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강사계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계강사계안
(三溪講舍契案)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60호
(1998년 1월 9일 지정)
주소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삼계강사계안(三溪講舍契案)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다. 1998년 1월 9일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60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삼계강사는 둔덕방 출신의 학동들이 선생을 모셔다가 공부하던 곳으로서, 약 450여 년전 중종 중엽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증손 춘성정을 중심으로 강사(講舍)를 창립하여 7개 부락 7성(최·이·한·김·하·장·양씨)이 모여 동계를 실시하였다. 동계란 임진왜란 이후에 고을 단위로 일종의 `계(契)´가 조직되었는데 마을 단위로 조직된 계가 바로 동계이다.

삼계강사에는 135권의 서책과 92장의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는데, 서책 135권 중 127건은 동계와 6건은 교(轎)계와 관련이 있으며, 고문서 92장은 모두 동계와 관련이 있다.

이 문서는 계조직과 관련 향촌 사회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