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듭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듭장 (-匠)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번호22
지정일1968년 12월 21일
전승자정연수(程延壽), 김희진(金喜鎭)

매듭장이란 이나 노 또는 으로 엮고 맺고 짜는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매듭(每絹)은 한자에서 보듯이 매 가닥을 엮어 모은다는 뜻으로, 하나의 끈을 가지고 세 마디 이상의 교차점을 이루며 중복형태를 맺는 것으로 일명 격답(格搭)·결자(結子)라고도 하며, 끈이 합사(合絲)해서 매듭의 재료가 되는데 이것을 끈목이라 한다.

매듭의 기원은 인류 문화의 초기단계인 원시시대부터 사냥·낚시·운반의 수단으로 나무껍질이나 짐승의 가죽을 찢어 여러 겹으로 꼬아서 사용하면서부터이다. 생활의 발전으로 문자와 숫자를 대신하기도 하고 건축·농경·선박용 등에도 이용되었으며, 문양을 이루는 매듭은 의생활과 실내장식 등에 활용되었다. 《대전회통》 공전(工典)에는 매듭장이 본조(本曹)에 2명, 상의원(尙衣院)에 4명으로 기록되어 있고 대전상궁(大殿尙宮)도 매듭일을 했다고 한다. 민가로서는 서울 시구문안 일대가 실·끈매듭의 본고장이었다.

끈목에는 동다회(圓多繪)와 납다회(廣多繪)가 있다. 납다회는 의복에 두르는 허리띠의 폭넓은 평직(平織)을 말하며, 동다회는 둥글게 친 끈목으로 도포끈이나 노리개끈 또는 매듭 맺는 끈으로 이용된다. 이 동다회는 실의 가닥수에 따라 4사(絲)·8사·12사·16사·24사·36사 등 실의 굵기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매듭의 종류는 대략 33종이 있는데 지방에 따라 그 이름이 서로 다르다. 그 종류를 지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같은 번호가 같은 종의 매듭임)

서울 궁중 대구 남원
  • 1. 외벌도래매듭
  • 2. 도래매듭
  • 3. 납작이매듭
  • 4. 연봉매듭
  • 5. 잠자리매듭
  • 7. 나비매듭
  • 10. 동심결매듭
  • 11. 생쪽매듭
  • 12. 파리매듭
  • 13. 장구매듭
  • 14. 벌매듭
  • 16. 십일고매듭
  • 17. 석씨매듭
  • 18. 난간매듭
  • 19. 두벌감개매듭
  • 20. 세벌감개매듭
  • 21. 네벌감개매듭
  • 22. 다섯벌감개매듭
  • 23. 사색판(四色板)매듭(바둑판매듭)
  • 28. 전복(戰服)술매듭
  • 29. 망사매듭
  • 33. 가락지매듭
  • 2. 도래매듭
  • 3. 외귀매듭
  • 4. 단추매듭
  • 5. 매화매듭
  • 6. 잠자리매듭
  • 7. 나비매듭
  • 9. 안경매듭
  • 11. 생쪽매듭
  • 13. 이귀매듭
  • 14. 벌매듭
  • 15. 가지방석매듭
  • 18. 난간매듭
  • 19. 국화매듭
  • 20. 소차매듭
  • 21. 대차매듭
  • 30. 생동심결(生同心結)
  • 31. 사동심결(死同心結)
  • 33. 가락지
  • 1. 외도리매듭
  • 2. 도리매듭
  • 3. 귀도리매듭
  • 4. 단추매듭
  • 6. 온정자매듭
  • 7. 나비매듭〔雌〕
  • 8. 나비매듭〔雄〕
  • 9. 안경매듭
  • 10. 동결매듭
  • 11. 정자(井字)매듭
  • 13. 삼정자(三井字)매듭
  • 19. 국화매듭
  • 20. 세벌강정매듭
  • 22. 다섯벌강정매듭
  • 23. 거북매듭
  • 25. 매미매듭
  • 33. 가락지
  • 2. 도리매듭
  • 3. 콩매듭
  • 4. 단추매듭
  • 6. 오발창매듭
  • 7. 나비매듭〔雌〕
  • 8. 나비매듭〔雄〕
  • 9. 안경매듭
  • 10. 동승결매듭
  • 11. 정자매듭
  • 13. 삼정자(三井字)매듭
  • 16. 십일고매듭
  • 19. 국화매듭
  • 20. 방석매듭
  • 24. 가재눈매듭
  • 25. 계눈매듭
  • 26. 꼰디기매듭
  • 27. 날개매듭
  • 32. 혼백매듭
  • 33. 가락지

위의 33종에 달하는 매듭들은 한올의 끈목을 반분(半分)하여 그 중심을 잡아 두 가닥으로 조리있게 얽어 놓고 끝이 날카롭지 않은 대송곳으로 질서있게 죄어서 제가끔의 쓰임새에 따라 오색영롱하게 엮어지게 된다.

매듭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는 도포끈·노리개·주머니 등의 복식용이 있고, 실내장식용으로는 발걸이ㆍ족자(簇子)술ㆍ방장과 모기장 유소(流蘇)가 있다. 유소란 갖가지 색실로 이루어진 끈목으로 다양한 매듭을 맺고 그 끝에 술을 장식하여 늘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또 궁중의 연(輦)이나 소교(小轎) 등에 수식으로 쓰이고 불구(佛具)인 인로왕기(引路王旗)ㆍ괘불탱화(掛佛幀畵)에 장식되었으며, 악기와 가마, 상여(喪輿) 등에도 유소는 꼭 갖추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