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반지모뿔근
보이기
뒤반지모뿔근 | |
---|---|
정보 | |
이는곳 | 반지연골의 뒷부분 |
닿는곳 | 모뿔연골 근육돌기의 뒷면 |
신경 | 미주신경(10번 뇌신경)의 가지인 되돌이후두신경 |
작용 | 모뿔연골을 벌리고 가쪽으로 돌림 성대인대를 정중선으로부터 당겨 성대문틈새를 엶 |
대항근 | 가쪽반지모뿔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cricoarytaenoideus posterior |
영어 |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
TA98 | A06.2.08.004 |
TA2 | 2196 |
FMA | 46576 |
뒤반지모뿔근(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또는 후윤상피열근(後輪狀披裂筋)은 후두에 위치한 작은 한 쌍의 자체기원근육이다. 반지연골에서 모뿔연골까지 뻗어 있다.
구조
[편집]뒤반지모뿔근은 반지연골 뒤쪽 정사각형 모양 판의 뒷면에서 시작하여 모뿔연골의 근육돌기에 닿는다.[1] 안쪽힘살과 가쪽힘살은 서로 구분되어 각각 근육돌기의 반대쪽 면에 닿는다.[1]
신경 분포
[편집]미주신경(10번 뇌신경)에서 갈라져 나오는 가지인 되돌이후두신경의 앞갈래가 뒤반지모뿔근에 분포한다.[2][3] 가끔 안쪽힘살이나 가쪽힘살과 같은 근육의 다른 부분에는 따로 신경 가지가 갈라져 나와 분포할 수 있다.[2] 1개에서 6개까지, 보통은 2 ~ 3개의 가지가 따로 존재한다.[3] 이 가지들은 근육 안에서 이어질 수도 있다.[3]
기능
[편집]뒤반지모뿔근은 성대를 열 수 있는 유일한 근육으로,[4] 모뿔연골을 가쪽으로 돌려 성대를 벌린다.[4][5] 이로 인해 성대문틈새가 열린다.[5] :9 이 일련의 과정은 호흡과 말하기에 중요하다.[4] 이 작용과 정반대의 작용을 하는 근육은 가쪽반지모뿔근이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뒤반지모뿔근은 성대를 열 수 있는 유일한 후두의 근육으로, 숨을 쉴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근육이 마비되면 질식할 수 있다.[6] 한편 뒤반지모뿔근에 탈신경이 일어나면 천천히 몇 달에 걸쳐 악화되는 섬유화가 발생할 수 있다.[7]
추가 이미지
[편집]-
뒤에서 본 후두의 연골들
-
뒤에서 본 후두의 근육들
-
위에서 본 후두의 근육들
-
뒤에서 본 입천장 근육들의 해부
-
뒤반지모뿔근
-
뒤반지모뿔근
-
뒤반지모뿔근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Bryant, Nancy Jones; Woodson, Gayle E.; Kaufman, Kenton; Rosen, Clark; Hengesteg, Arne; Chen, Naidy; Yeung, Daniel (1996년 12월 1일). “Human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Compartments: Anatomy and Mechanics”.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122 (12): 1331–1336. doi:10.1001/archotol.1996.01890240039009. ISSN 0886-4470.
- ↑ 가 나 Sanders, Ira; Wu, Bei-Lian; Mu, Liancai; Biller, Hugh P. (1994). “The innervation of the human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Evidence for at least two neuromuscular compartments”. 《The Laryngoscope》 (영어) 104 (7): 880–884. doi:10.1288/00005537-199407000-00019. ISSN 1531-4995.
- ↑ 가 나 다 Maranillo, Eva; León, Xavier; Ibañez, Marta; Orús, César; Quer, Miguel; Sañudo, José Ramón (2003). “Variability of the Nerve Supply Patterns of the Human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The Laryngoscope》 (영어) 113 (4): 602–606. doi:10.1097/00005537-200304000-00004. ISSN 1531-4995.
- ↑ 가 나 다 Brancatisano, T. P.; Dodd, D. S.; Engel, L. A. (1984년 10월 1일). “Respiratory activity of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and vocal cords in human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57 (4): 1143–1149. doi:10.1152/jappl.1984.57.4.1143. ISSN 8750-7587.
- ↑ 가 나 Hydman, Jonas (2008).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Stockholm. ISBN 978-91-7409-123-6.
- ↑ The Arytenoid Cartilages - a clinical overview. 2002, Dr. C Kay et al. Thorne Publishing (C)
- ↑ Zealear, David L.; Hamdan, Abdul-Latif; Ratney, Cheryl L. (1994년 10월 1일). “Effects of Denervation on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Physiology and Histochemistry”.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영어) 103 (10): 780–788. doi:10.1177/000348949410301007. ISSN 0003-4894.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뒤반지모뿔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lesson11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larynxmus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