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가락바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함경북도 경성군 원수대 조개더미 유적 출토 가락바퀴(연대는 신석기 시대)

가락바퀴섬유에서 실을 뽑을 때 회전을 돕기 위해 가락(즉, 방추의 막대)에 끼우는 부속품이다. 방추차(紡錘車)라고도 한다.

그 중앙에 둥근 구멍이 뚫려 있는데, 그 구멍을 통하여 가락바퀴의 축(軸)이 될 막대[軸棒]를 넣어 고정시킨 상태로 만들어서 완성시킨다.[1]

한국에서는 봉산 지탑리 유적, 양양 오산리 유적, 여주 흔암리 유적, 용강 궁산리 유적 등에서 출토된 바 있다. 바늘이 실에 감긴 채 출토된 것으로 보아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며,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 많이 출토된다.[1]

선사 시대 이후에도 계속 사용돼 오다가,[2][3][4] 조선 시대에 이르러 물레로 발전하였다.[1]

제작은 골제(骨製)·토제(土製)·석제(石製)·도자제(陶瓷製) 등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형태 또한 원판형·구형·반구형·원통형·절두원추형(截頭圓錘形) 등 다양하다.[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가락바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신라 시대 가락바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3. 통일 신라 시대 가락바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4. 고려 시대 가락바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