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력 현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폐 히스테리시스에서 넘어옴)

강유전성 물질의 전기 변위장 D전기장 E가 먼저 감소한 다음 증가한다. 곡선은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형성한다.

이력 현상[1](履歷現象) 또는 다른길오고감[2](또는 다른길오고감 현상) 또는 히스테리시스[3](hysteresis)는 물질이 거쳐 온 과거가 현재 상태에 영향을 주는 현상으로 어떤 물리량이 그 때의 물리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이전에 그 물질이 경과해 온 과정에 의존(history-dependent)하는 특성을 말한다.

어원과 역사[편집]

유형[편집]

공학[편집]

제어 시스템[편집]

전자 회로[편집]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의 날카로운 히스테리시스 루프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편집]

공기역학[편집]

유압장치[편집]

백래시[편집]

역학[편집]

물질[편집]

자기 히스테리시스[편집]

물리적 기원[편집]

자기 히스테리시스 모델[편집]

응용[편집]

전기적 히스테리시스[편집]

액체-고체 상 전이[편집]

생물학[편집]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편집]

면역학[편집]

신경 과학[편집]

신경심리학[편집]

호흡 생리학[편집]

폐 히스테리시스는 흡기 대 호기 시 폐의 순응도를 관찰할 때 분명하게 나타난다. 순응도의 차이(Δ부피/Δ압력)는 추가 폐포를 모집하고 팽창시키기 위해 흡기 중에 표면 장력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추가 에너지로 인해 발생한다.[4]

흡기의 경폐압(transpulmonary pressure) 대 호기량 곡선은 호기의 압력 대 부피 곡선과 다르며, 이 차이는 히스테리시스로 설명된다. 흡기 중 특정 압력에서의 폐 부피는 호기 중 특정 압력에서의 폐 부피보다 적다.[5]

음성 및 언어 생리학[편집]

생태학과 역학[편집]

해양 및 기후 과학[편집]

경제학[편집]

모델[편집]

에너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hysteresis&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2.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r/content/voca/search.php?page=2&et=en&find_kw=hysteresis
  3.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r.kr/?act=&vid=&mid=cheminfo&wordfield=eng&word=hysteresis
  4. Escolar, J. D.; Escolar, A. (2004). “Lung histeresis: a morphological view” (PDF). 《Histology and Histopathology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19 (1): 159–166. PMID 14702184. 2011년 3월 1일에 확인함. 
  5. West, John B. (2005). 《Respiratory physiology: the essentials》. Hagerstown,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7817-5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