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파일:Language families of Asia.pn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anguage_families_of_Asia.png(741 × 580 픽셀, 파일 크기: 35 KB, MIME 종류: image/png)


파일 설명

설명
English: Of the many language families of Asia, Indo-European (purple, blue, and medium green) and Sino-Tibetan (chartreuse and pink) dominate numerically, while Altaic families (grey, bright green, and maroon) occupy large areas geographically. Regionally dominant families are Japonic in Japan (light gray), Austronesian in the Malay Archipelago (dark red), Kadai and Mon–Khmer in Southeast Asia (azure and peach), Dravidian in South India (khaki), Turkic in Central Asia (grey), and Semitic in the Mideast (orange).
날짜 2012년 1월 29일 (원본 올리기 일시)
출처
image extraction process
이 파일은 여기에서 추출하였습니다.
: Human Language Families Map.PNG
original file
저자 영어 위키백과Industrius, 영어 위키백과Mttll, 영어 위키백과Kwamikagami, etc.
이 그림 파일은 벡터 SVG 형식으로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SVG의 장점에 대해서는 여기(영어)를 참고해 주십시오. 만약 이 그림의 SVG 버전이 이미 존재한다면 이 틀을 {{vector version available|새 파일 이름.svg}}으로 대체해 주십시오.

라이선스

영어 위키백과Kwamikagami은(는) 아래 작품의 저작권자로서, 해당 저작물을 다음과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합니다.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동일조건변경허락
저작자표시: 영어 위키백과Kwamikagami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동일조건변경허락 – 만약 당신이 이 저작물을 리믹스 또는 변형하거나 이 저작물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경우, 당신은 당신의 기여물을 원저작물과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여야 합니다.
GNU head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판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라 본 문서를 복제하거나 개작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변경 불가 부분이 없으며, 앞 표지 구절과 뒷 표지 구절도 없습니다. 본 사용 허가서의 전체 내용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부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라이선스 중에서 목적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올리기 기록

Quadell 사용자가 CommonsHelper 도구를 사용하여 en.wikipedia에서 공용으로 옮겨왔습니다.

The original description page was here. All following user names refer to en.wikipedia.
  • 2012-01-29 14:21 Kwamikagami 841×407× (32209 bytes) {{Information |Description = Language families of Asia |Source = Clipped from [[:File:Human Language Families Map.PNG]] |Date = ~~~~~ |Author = ~~~ |other_versions = }}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10개 | ) (10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4년 6월 20일 (목) 00:192024년 6월 20일 (목) 00:19 판의 섬네일741 × 580 (35 KB)SamBrevThe previous edit inadvertently mis-coloured the Arabian peninsula; this edit reverts that error, while keeping the changes made re. Azerbaijan
2024년 6월 8일 (토) 09:002024년 6월 8일 (토) 09:00 판의 섬네일741 × 580 (18 KB)OirattasArmenian is no longer spoken over a territory of Azerbaijan since 2024, after the flight of Nagorno-Karabakh Armenians and the collapse of the breakaway Republic Nagorno-Karabakh (Republic of Artsakh) in 2023.
2021년 5월 10일 (월) 23:482021년 5월 10일 (월) 23:48 판의 섬네일741 × 580 (33 KB)Ghuaadg441fixed
2021년 5월 10일 (월) 22:352021년 5월 10일 (월) 22:35 판의 섬네일738 × 575 (35 KB)Ghuaadg441Modern standards
2021년 5월 9일 (일) 03:062021년 5월 9일 (일) 03:06 판의 섬네일737 × 575 (35 KB)Ghuaadg441last
2021년 5월 9일 (일) 03:032021년 5월 9일 (일) 03:03 판의 섬네일738 × 575 (22 KB)Ghuaadg441Reverted to version as of 20:28, 5 May 2015 (UTC)
2021년 5월 9일 (일) 02:472021년 5월 9일 (일) 02:47 판의 섬네일737 × 575 (35 KB)Ghuaadg4412021
2021년 5월 9일 (일) 02:452021년 5월 9일 (일) 02:45 판의 섬네일737 × 575 (34 KB)Ghuaadg441Reverted to version as of 17:12, 8 May 2021 (UTC)
2021년 5월 9일 (일) 02:332021년 5월 9일 (일) 02:33 판의 섬네일737 × 575 (35 KB)Ghuaadg441fixed
2021년 5월 9일 (일) 02:122021년 5월 9일 (일) 02:12 판의 섬네일737 × 575 (34 KB)Ghuaadg441Reverted to version as of 16:48, 8 May 2021 (UTC)
(최신 | 오래됨) (다음 10개 | ) (10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