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타링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imdy1047 (토론 | 기여)
링크 제안 기능: 1개 링크가 추가됨.
내용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로켓 정보 |이름=Starlink<br>space X 스타링크</br> |그림=Starlink Mission (47926144123).jpg |manufacturer=스페이스X |용도=위성 인터넷 서비스 |상태=활동중 |최초발사일=2018년 2월 22일 |사용국가=미국 |운반궤도=지구 저궤도 |총 발사 수={{기호 없는 목록|1085개 위성|테스트 : 2기|v0.9 : 60기|v1.0 : 1023기}} |설명=2019년 5월 24일, 서..."(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
}}


*
'''스타링크'''(Starlink)는 [[스페이스X]]에 의해 건설되고 있는 [[위성군]]이다.<ref name="NYT-20190601" /><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verge.com/2018/2/15/17016208/spacex-falcon-9-launch-starlink-microsat-2a-2b-paz-watch-live|title=SpaceX is about to launch two of its space Internet satellites – the first of nearly 12,000|last1=Grush|first1=Loren|date=15 February 2018|work=The Verge|access-date=16 February 2018}}</ref> 광범위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다.<ref name="sn20161005" /><ref name="st20150116" /> 이 위성군은 수천개의 대량 생산된 초소형 위성으로 구성되며, [[지구 저궤도]]에 배치되어 지상 수신기와 함께 작동한다. 또한 스페이스X는 이 위성들의 일부를 군사,<ref>{{뉴스 인용|url=https://www.teslarati.com/spacex-starlink-us-military-500-700m-raised/|title=SpaceX's Starlink eyed by US military as co. raises $500–750M for development|last=Ralph|first=Eric|date=21 December 2018|work=Teslarati|access-date=23 May 2019}}</ref> 과학 연구, 탐구 목적으로 판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ref name="announcementEvent" /> 워싱턴주 레드몬드에 위치한 스페이스X 인공위성 개발 단지는 스타링크 위성의 개발, 연구, 조립 및 다른 위성과의 충돌 회피 등 광범위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2018년 5월 추산된 스페이스X의 추후 10년간 위성군 디자인, 제작, 발사에 필요한 비용은 대략 10억 달러, 한화 1조원으로 알려졌다.<ref name="nsf20180517" />상품 개발은 2015년에 시작되었으며 두개의 테스트 위성이 2018년 2월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두번째로 제작된 테스트 위성이자 첫 위성군 구축 임무를 가진 스타링크 v0.9 총 60기는 2019년 5월 발사되었다.<ref name="NYT-20190601">{{뉴스 인용|url=https://www.nytimes.com/2019/06/01/science/starlink-spacex-astronomers.html|title=After SpaceX Starlink Launch, a Fear of Satellites That Outnumber All Visible Stars - Images of the Starlink constellation in orbit have rattled astronomers around the world|last=Hall|first=Shannon|date=1 June 2019|newspaper=[[The New York Times]]|access-date=1 June 2019}}</ref><ref name="spaceMay19">{{웹 인용|url=https://www.space.com/spacex-starlink-satellites-launch-just-beginning.html|title=SpaceX's 60-Satellite Launch Is Just the Beginning for Starlink Megaconstellation Project|date=24 May 2019|access-date=24 May 2019}}</ref> 2020년, 스페이스X는 한번에 60개의 위성을 쏘아 올리면서 지구 궤도상에 1,584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배치, 2021년 후반이나 2022년 전 세계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https://spaceflightnow.com/2020/03/15/spacex-launch-aborted-in-final-second-before-liftoff/ – 15 March 2020</ref> 스페이스X는 2020년 8월 중 북위 44~52°에 위치한 미국 북부와 캐나다의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스타링크 위성을 활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하여 2020년 11월까지 실제 서비스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전망이다.<ref>[https://twitter.com/elonmusk/status/1253115727965491202] Private beta begins in ~3 months, public beta in ~6 months.</ref><ref>{{웹 인용|url=https://www.zdnet.com/article/spacex-starlink-internet-beaming-satellite-service-takes-next-step-for-beta-test/|title=SpaceX Starlink Internet Beaming Satellite Service Takes Next Step for Beta Test|author=Tung, Liam|date=15 July 2020|website=zdnet.com|access-date=16 July 2020}}</ref>

지표면에서 {{convert|600|km}}에 불과한 지구 저궤도에 수천개의 위성을 배치하는 것에 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우주 쓰레기]] 위협을 가중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sst-soa.arc.nasa.gov/12-passive-deorbit-systems|title=Passive deorbit systems|access-date=26 April 2020|archive-date=2019-08-3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830203500/https://sst-soa.arc.nasa.gov/12-passive-deorbit-systems}} {{PD-notice}}</ref><ref name="spacenews_18Sep19">{{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starlink-failures-highlight-space-sustainability-concerns/|title=Starlink failures highlight space sustainability concerns|last1=Foust|first1=Jeff|publisher=Space News|access-date=18 September 2019}}</ref> 또한 천문학 관측과 라디오 송수신에 좋지 않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나타나는 추세이다.<ref name="iau">{{웹 인용|url=https://www.iau.org/news/announcements/detail/ann19035/|title=IAU's statement on satellite constellations|website=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access-date=3 June 2019}}</ref>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위성의 궤도를 600 킬로미터에서 {{convert|550|km}}로 낮추었고,<ref name="Starlink">{{웹 인용|url=https://www.starlink.com|title=Keeping Space Clean|access-date=21 April 2020}}</ref> 반사 차단막을 설치한 프로토타입 위성을 발사했으며<ref>{{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working-on-fix-for-starlink-satellites-so-they-dont-disrupt-astronomy/|title=SpaceX working on fix for Starlink satellites so they don't disrupt astronomy|date=7 December 2019|website=SpaceNews.com|access-date=7 December 2019}}</ref> 추가적인 태양 가리개를 부착했다.<ref name="SFN20200429" />

2019년 10월 15일, [[연방 통신 위원회]]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제출한 스페이스X가 궤도상에 이미 존재하는 12,000 위성에 추가로 30,000개 위성을 배치하는 것에 대한 동의서에 서명했다.<ref>https://spacenews.com/spacex-submits-paperwork-for-30000-more-starlink-satellites/</ref>

== 역사 ==

=== 2015~2017년 ===
[[파일:SpaceX_satellite_development_facility,_Redmond,_Washington,_2018.jpg|대체글=|섬네일|워싱턴주 레드몬드, 스페이스X 인공위성 개발 단지.]]
스페이스X가 구상한 통신 위성 네트워크는 2015년 1월 최초 언급되었다. 이것은 인구 고밀도 도시의 [[인터넷 트래픽]] 10% 이상을 감당하고, 백홀 통신 트래픽의 50%를 감당하기에 충분한 [[대역폭 (신호 처리)|대역폭]]을 지닐 것으로 예상되었다.<ref name="st20150116">
{{뉴스 인용|url=http://seattletimes.com/html/businesstechnology/2025480750_spacexmuskxml.html|title=Elon Musk touts launch of "SpaceX Seattle"|last1=Gates|first1=Dominic|date=16 January 2015|work=Seattle Times|access-date=19 January 2015}}</ref><ref name="announcementEvent" /> 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는 저가형 [[광대역]] 고속 통신 위성에 대한 충족되지 않는 수요가 항상 존재한다고 언급했다.<ref name="sn20161010shotwell" />

스페이스X 인공위성 개발 단지 설립에 대한 발표가 2015년 1월에 최초로 이루어졌으며, 계열사들과 함께 새로운 통신 위성 네트워크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애틀]]의 시장은 이 개발단지가 2018년까지 최소 60여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1000명 이상의 직원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ref name="lat20150116" /> 이 회사는 2016년 말 {{convert|30000|sqft|order=flip|sigfig=2}}의 땅을 배정받았으나, 2018년 1월에는 그 규모가 커져 {{convert|41000|sqft|order=flip|sigfig=2}}가 되었고, 늘어난 부지 안에 2번째 단지를 건설할 수 있었다.<ref>{{웹 인용|url=http://www.geekwire.com/2017/spacex-lab-satellite-development-redmond/|title=SpaceX adds a big new lab to its satellite development operation in Seattle area|last=Boyle|first=Alan|date=27 January 2017|website=[[GeekWire]]|access-date=13 May 2019}}</ref>

2016년 7월, 스페이스X는 캘리포니아 [[캘리포니아주|어빈]]의 {{convert|8000|sqft|order=flip|sp=us}} 부지의 땅을 요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teslarati.com/spacex-expands-office-space-in-orange-county/|title=SpaceX expands to new {{convert|8000|sqft|order=flip}} office space in Orange County, CA|date=8 July 2016|website=Teslarati|access-date=23 May 2019}}</ref> 스페이스X는 어빈에 위치한 신사옥이 송수신 처리, [[RFIC]]와 [[주문형 반도체|ASIC]]의 연구 개발을 담당할 것이라고 했다.<ref>{{웹 인용|url=http://www.spacex.com/careers/list|title=Open Positions|last=SpaceX|first=|website=SpaceX|확인날짜=2020-08-17|archive-date=2019-08-1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819080642/https://www.spacex.com/careers/list|url-status=dead}}</ref>

2016년 1월, 스페이스X는 2016년 내에 2개의 시제품 위성을 발사하고,<ref name="nbc20150604">{{뉴스 인용|url=https://www.nbcnews.com/science/space/how-spacex-plans-test-its-satellite-internet-service-2016-n370196|title=How SpaceX Plans to Test Its Satellite Internet Service in 2016|last1=Boyle|first1=Alan|date=4 June 2015|work=NBC News|access-date=5 June 2015}}</ref> 대략 2020년까지 위성군 전체를 궤도상에 발사하여 실제 활용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ref name="announcementEvent">[https://www.youtube.com/watch?v=AHeZHyOnsm4 SpaceX Seattle 2015], 16 January 2015.</ref> 2016년 10월, 스페이스X는 초기에 인공위성팀이 개발하고자 했던 인공위성을 거의 완성시켰고 이를 2017년에 발사하려 했다. 그러나 인공위성 사업 분야는 획기적인 사업 체계의 변화를 직면하고 있었고, 표면적으로라도 사용자가 대략 200달러 내외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저가형 디자인에 집중하는 양상이었다. 이에 스페이스X의 대표 그웨인 숏웰은 "디자인 단계에서 회사가 사용자 부담 비용에 곤경을 겪고 있는 것 같다"며<ref name="sn20161005">{{뉴스 인용|url=http://spacenews.com/spacexs-shotwell-on-falcon-9-inquiry-discounts-for-reused-rockets-and-silicon-valleys-test-and-fail-ethos/|title=SpaceX's Shotwell on Falcon 9 inquiry, discounts for reused rockets and Silicon Valley's test-and-fail ethos|last=de Selding|first=Peter B.|date=5 October 2016|work=[[SpaceNews]]|access-date=8 October 2016}}</ref> 위성의 발사는 "이번 10년의 마지막이나 다음 10년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f name="sn20161010shotwell" />

2016년 11월, 스페이스X와 미 연방 통신 위원회 (FCC)는 "Ku 주파수와 Ka 주파수 밴드를 사용한 비 지구 정지 천이 궤도상(NGSO) 고정 위성 서비스(Fixed-Satellite Service)"에 관한 조약을 체결했다.<ref>{{웹 인용|url=https://licensing.fcc.gov/cgi-bin/ws.exe/prod/ib/forms/reports/swr031b.hts?q_set=V_SITE_ANTENNA_FREQ.file_numberC/File%20Number/=/SATLOA2016111500118&prepare=&column=V_SITE_ANTENNA_FREQ.file_numberC/|title=FCC Selected Application Listing File Number=SATLOA2016111500118|date=15 November 2016|website=International Bureau Application Filing and Reporting System|publisher=[[FCC]]|access-date=22 November 2016}} {{PD-notice}}</ref>

2017년 3월, 스페이스X는 기존의 상용 통신 서비스에 많이 사용되지 않았던 전자기 스펙트럼에 7,500개 이상의 V-밴드 위성을 배치하는 계획을 FCC에 제출했다. 지구 초 저궤도(Very-Low Earth Orbit, VLEO) 위성군이라 불리는 이것은<ref name="sn20170302" /> 7,518개 위성으로 구성되며 고작 340km 고도의 궤도에서 작동한다.<ref name="sn20170917" /> 기존에 계획된 Ka/Ku 위성 4,425기의 궤도가 1,200km 궤도였던 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높이다.<ref name="sn20170302">{{뉴스 인용|url=http://spacenews.com/fcc-gets-five-new-applications-for-non-geostationary-satellite-constellations/|title=FCC gets five new applications for non-geostationary satellite constellations|last=Henry|first=Caleb|date=2 March 2017|work=[[SpaceNews]]|access-date=23 May 2019}}{{깨진 링크|url=http://spacenews.com/fcc-gets-five-new-applications-for-non-geostationary-satellite-constellations/ }}</ref><ref name="sn20170917">{{뉴스 인용|url=http://spacenews.com/spacex-asks-fcc-to-make-exception-for-leo-constellations-in-connect-america-fund-decisions/|title=SpaceX asks FCC to make exception for LEO constellations in Connect America Fund decisions|last=Henry|first=Caleb|date=19 September 2017|work=[[SpaceNews]]|access-date=23 May 2019}}</ref> 스페이스X의 이러한 계획은 기존의 위성군 계획과 두가지 방면에서 차별점을 두었다. 스타링크 위성이 사용하는 V-밴드 통신망은 기존의 통신 스펙트럼에서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 것이었고, 스타링크의 V-밴드 위성군이 활동하는 궤도인 340Km VLEO는 대기 항력이 상당히 높은 궤도이기에 일반적으로 위성의 수명이 짧다.<ref name="pa20170303">{{뉴스 인용|url=http://www.parabolicarc.com/2017/03/03/spacex-launch-12000-satellites/|title=SpaceX Wants to Launch 12,000 Satellites|last=Messier|first=Doug|date=3 March 2017|work=Parabolic Arc|access-date=28 April 2019|archive-date=2020-01-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122203256/http://www.parabolicarc.com/2017/03/03/spacex-launch-12000-satellites/|url-status=}}</ref> 2017년 3월 스페이스X의 목표는 2017년과 2018년에 초기형 Ka/Ku 대역 위성을 발사하고 2019년에 실제 운용되는 위성군을 발사하는 것이었다. 2024년까지 약 4,440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1,200km궤도의 위성군을 완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였다.<ref name="verge20170504">{{뉴스 인용|url=https://www.theverge.com/2017/5/4/15539934/spacex-satellite-internet-launch-2019|title=SpaceX plans to launch first Internet-providing satellites in 2019|last=McCormick|first=Rich|date=4 May 2017|work=[[The Verge]]|access-date=25 March 2019}}</ref> 2017년에 최초 제작된 위성 2기는 실제로 비행하지 않았으나 지상 테스트에 사용되었고, 관련 발표회에서 테스트 위성 2기의 발사 계획이 2018년으로 이전된다는 내용이 공개되었다.<ref name="cooper_oct17">{{트윗 인용|last=Henry|first=Caleb|user=CHenry_SN|number=923205405643329536|title=SpaceX's Patricia Cooper: 2 demo sats launching in next few months, then constellation deployment in 2019. Can start service w/ ~800 sats.|date=25 October 2017|access-date=13 May 2019}}</ref><ref>{{웹 인용|url=https://apps.fcc.gov/els/GetAtt.html?id=185534&x=.|title=SpaceX FCC Application Technical Application – Question 7: Purpose of Experimet|date=|website=apps.fcc.gov|access-date=}} {{PD-notice}}</ref>

2015~2017년간 이러한 대형 위성군 발사에 대한 규제 관련 당국의 인허가 기준에 일부 논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발사의 기존 인허가 규정에서는 위성 사업자가 규제 기관으로부터의 서비스 시작 기한을 맞추기 위해 단일 우주선을 발사할 수 있었으나, 이는 몇년간 위성군 발사 계획을 실제로 실행하지 않고도 그 범위가 굉장히 제한되어 있는 무선 통신 스펙트럼을 사업자 혼자 차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ref name="sir20170904" /> 이에 따라 2017년, FCC는 라이선스 유지 조건을 수정하여 라이선스 발급 후 전체 위성군 완성까지 최대 6년의 기한을 두기로 했다. 범국가적 규제기관인 국제 전기 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은 FCC의 이러한 움직임을 인지하여 역시 규제 기간을 단축했으나 FCC 대비 덜 제한적인 조건을 마련했다. 2017년 9월, 보잉과 스페이스X는 미국 FCC에 6년 규제 조건의 면제를 청원했으나<ref name="sir20170904">{{웹 인용|url=https://www.spaceintelreport.com/ses-asks-itu-replace-one-done-rule-satellite-constellations-new-system/|title=SES asks ITU to replace "one and done" rule for satellite constellations with new system|last=de Selding|first=Peter B.|date=4 September 2017|publisher=Space Intel Report|url-access=subscription}}</ref> 거부당했다. FCC는 스타링크 위성군의 최소 절반 이상이 6년 이내에 완성되어야 하며 전체 위성군은 9년 이내에 모두 완성되어 서비스를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했다.<ref name="sn20190426" />

스페이스X가 자사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스타링크'의 상표권을 등록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geekwire.com/2017/spacex-seeks-trademark-name-starlink-satellite-broadband-network/|title=SpaceX seeks to trademark the name "Starlink" for satellite broadband network|last=Boyle|first=Alan|date=19 September 2017|work=[[GeekWire]]|access-date=13 May 2019}}</ref> 스타링크의 명칭은 존 그린의 저서인 ''The Fault in Our Stars''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indystar.com/story/news/2018/02/22/how-indianapolis-author-john-green-inspired-one-elon-musks-most-grand-ideas/360889002/|title=How Indianapolis author John Green inspired one of Elon Musk's most grand ideas|website=Indianapolis Star|access-date=15 May 2019}}</ref>

=== 2018~2019년 ===
2018년 5월, 스페이스X는 위성군의 총 개발 및 구축 비용이 미화 100억 달러(한화 약 12조원)에 달한 것으로 예상했다.<ref name="nsf20180517">{{뉴스 인용|url=https://www.nasaspaceflight.com/2018/05/block-5-spacex-increase-launch-cadence-lower-prices/|title=With Block 5, SpaceX to increase launch cadence and lower prices|last=Baylor|first=Michael|date=17 May 2018|work=[[NASASpaceFlight.com]]|access-date=22 May 2018|quote=''The system is designed to improve global internet access by utilizing thousands of satellites in Low Earth orbit. SpaceX President Gwynne Shotwell stated in a TED Talk last month that she expects the constellation to cost at least $10 billion. Therefore, reducing launch costs will be vital''.}}</ref> 2018년 중반, 스페이스X는 레드몬드의 워성 개발 부서를 재조직하고 여러 고위 경영진을 해고했다.<ref name="gw20181031">{{웹 인용|url=https://www.geekwire.com/2018/spacex-reorganizes-seattle-starlink-satellite/|title=SpaceX reorganizes Starlink satellite operation, reportedly with high-level firings|last=Boyle|first=Alan|date=31 October 2018|work=[[GeekWire]]|access-date=2 November 2018}}</ref>

2018년 11월, 스페이스X는 앞서 승인된 4,425기의 위성에 더해 7,518기의 광대역 위성을 배치하기 위한 미국 규제 승인 허가를 받았다. 스페이스X의 초기 4,425기 위성은 2016년 FCC 규제 서류에 따라 1,100km에서 1,325km 궤도를 도는 것으로 예정되었으나 추가 위성 발사 승인과 함께 수정된 규제에서는 ISS 아래에 위치한 335km에서 346km 궤도의 지구 초 저궤도에 비 [[정지 천이 궤도]] 위성군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해졌다.<ref name="ars20181115">{{뉴스 인용|url=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18/11/spacex-gets-fcc-approval-for-7500-more-broadband-satellites/|title=FCC tells SpaceX it can deploy up to 11,943 broadband satellites|last=Brodkin|first=Jon|date=30 March 2018|work=Ars Technica|access-date=25 March 2019}}</ref> 또한 같은 해 11월, 스페이스X는 기존 1,150 km 궤도에서 작동하도록 승인된 4,425기의 Ka/Ku 대역폭 위성중 대략 1,600기를 더 낮은 고도인 550km 궤도에서 실제 운영하기 위해 이전에 허가된 라이선스를 변경하고자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에 새로운 규제 요청 서류를 제출했다.<ref name="fcc20181108a">{{인용|contribution=Application for Fixed Satellite Service by Space Exploration Holdings, LLC|title=SAT-MOD-20181108-00083/SATMOD2018110800083|editor-last=Wiltshire|editor-first=William M.|publisher=Space Exploration Holdings, LLC via [[FCC]] regulatory release process|place=https://fcc.report|date=18 November 2018|contribution-url=https://fcc.report/IBFS/SAT-MOD-20181108-00083|access-date=24 March 2019|quote=''Space Exploration Holdings, LLC seeks to modify its Ku/Ka-band NGSO license to relocate satellites previously authorized to operate at an altitude of {{convert|1150|km}} to an altitude of {{convert|550|km}}, and to make related changes to the operations of the satellites in this new lower shell of the constellation''}}</ref><ref name="fcc20181108b">[https://fcc.report/IBFS/SAT-MOD-20181108-00083/1569860 SPACEX NON-GEOSTATIONARY SATELLITE SYSTEM, Attachment A, TECHNICAL INFORMATION TO SUPPLEMENT SCHEDULE S],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8 November 2018, accessed 23 November 2018. {{PD-notice}}</ref> 이 1600기의 위성들은 스타링크 위성의 2번째 궤도인 550km 궤도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첫번째와 세번째 궤도(각 240km, 1200km)에 위성군을 발사하는 계획은 현 위성 발사 기술으로는 불안정하므로 추후 문제점 개선 이후 배포 프로세스 마지막에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2019년 4월, 미 연통위(FCC)는 추가 12,000개 위성을 발사하는 방안에 최종 동의했으며 이것에는 550km 궤도에 1600기 위성 발사, 1,150km 궤도에 ku/ka 대역 장비를 장착한 2800기 위성 발사, 340km 궤도에 v-밴드 장비를 장착한 7500기 위성의 발사에 관한 계획이 포함되었다.<ref name="sn20190426">{{뉴스 인용|url=https://spacenews.com/fcc-oks-lower-orbit-for-some-starlink-satellites/|title=FCC OKs lower orbit for some Starlink satellites|last=Henry|first=Caleb|date=26 April 2019|work=[[SpaceNews]]|access-date=28 April 2019|quote=''lower the orbit of nearly 1,600 of its proposed broadband satellites.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said 26 April it was correct with SpaceX changing its plans to orbit those satellites at {{convert|abbr=on|550|km}} instead of {{convert|1150|km}}. SpaceX says the adjustment, requested six months ago, will make a safer space environment, since any defunct satellites at the lower altitude would reenter the Earth's atmosphere in five years even without propulsion. The lower orbit also means more distance between Starlink and competing internet constellations proposed by OneWeb and Telesat. FCC approval allows satellite companies to provide communications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The agency granted SpaceX market access in March 2018 for 4,425 satellites using [[Ku band|K<sub>u</sub>-band]] and [[Ka band|K<sub>a</sub>-band]] spectrum, and authorized 7,518 V-band satellites in November. SpaceX's modified plans apply to the smaller of the two constellations''}}</ref>

수천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상업용 위성 인터넷 서비스 위성군에 대한 여러 업체들의 계획이 점점 현실화 될 가능성이 커지자, 미군은 2018년에 들어 스타링크 위성의 네트워크 사용 방법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연구를 시작했다. 2018년 12월, 미 공군은 스타링크의 군사 서비스에 대해 미화 2800만 달러(한화 약 33억 6000만원)의 계약을 체결했다.<ref>{{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air-force-laying-groundwork-for-future-military-use-of-commercial-megaconstellations/|title=Air Force laying groundwork for future military use of commercial megaconstellations|last=Erwin|first=Sandra|date=28 February 2019|website=[[SpaceNews]]|access-date=12 May 2019}}</ref>

2019년 2월, 스페이스X의 계열사인 스페이스X 서비스(SpaceX Services, Inc.)는 비 정지 천이 궤도(NGSO)의 스타링크 위성들과 통신하기 위한 최대 백만개의 지구 고정 위성 관리국에 대한 운영 라이센스를 허가 받기 위해 FCC에 규제 허가 요청을 제출했다.<ref name="fcc20190201">{{웹 인용|url=https://fcc.report/IBFS/SES-LIC-INTR2019-00217/1616678|title=SpaceX Services Application for Blanket-licensed Earth stations|date=1 February 2019|website=fcc.report|publisher=FCC|access-date=9 February 2019}} {{PD-notice}}</ref>

스페이스X는 2019년 4월까지 대규모 위성군을 궤도로 최초 발사할 계획을 세웠다. 향후 60개월간 매달 고성능 저가형 위성을 발사한다는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레드몬드의 위성 연구팀은 위성의 연구보다 제조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는 FCC의 주파수 할당 라이센스를 지원하기 위한 2,200개 위성의 발사에 그 목표가 있었다.<ref name="trati20190408">{{웹 인용|url=https://www.teslarati.com/spacex-starlink-first-launch-date/|title=SpaceX's first dedicated Starlink launch announced as mass production begins|last=Ralph|first=Eric|date=8 April 2019|work=Teslarati|access-date=9 April 2019}}</ref> 스페이스X는 위성군의 절반을 승인 후 6년 이내에 궤도에 발사할 것이며 9년 이내에 전체 계획을 완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ref name="sn20190426" />

2019년 말 까지만 해도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v0.9 테스트 위성 전체 60기 전체와 교신이 가능했으나 추후 위성 3기와 연결이 끊겼다. 나머지 57기는 의도한 대로 작동했으며 그중 45기 위성이 정상 궤도인 550km 상공에 도달했다. 5기는 발사 궤도에서 여전히 궤도를 높이는 중이었고 또 다른 5기는 궤도를 높이기 전 시스템 점검을 받아 뒤늦게 궤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나머지 두개의 위성은 발사 실패시 위성을 궤도상에서 신속하게 제거하고 대기에 진입시켜 유실시키는 과정의 테스트를 위해 고안된 위성으로, 의도한 대로 곧바로 대기에 진입했다. 연결이 끊어진 위성 3기도 재진입 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스페이스X의 능동적인 제어 범주에서 이미 벗어나 상태였기에 결국 대기 항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유실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theverge.com/2019/6/28/19154142/spacex-starlink-60-satellites-communication-internet-constellation|title=One month after launch, all but three of SpaceX's 60 Starlink satellites are communicating|last=Grush|first=Loren|date=28 June 2019|website=The Verge}}</ref>

2019년 6월, 스페이스X는 FCC로부터 270개의 시험용 접지 터미널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그 중 70개는 미국 전역에 분포되었고 200개는 워싱턴 주에 위치한 본사 직원들 가정에 각각 배치되었다.<ref name="fcc201906-0517">{{웹 인용|url=https://apps.fcc.gov/oetcf/els/reports/442_Print.cfm?mode=current&application_seq=93257&license_seq=94236|title=FCC Form 442 – Application for new or modified radio station under Part 5 of FCC rules – Experimental radio service: 0517-EX-CN-2019|publisher=[[연방 통신 위원회]]|access-date=4 July 2019}}</ref><ref name="fcc_sxapp201906_Q7-0517">{{웹 인용|url=https://apps.fcc.gov/els/GetAtt.html?id=232944&x|title=0517-EX-CN-2019 – Application Question 7: Purpose of Experiment|date=June 2019|publisher=[[FCC]]|access-date=4 July 2019|quote=''SpaceX seeks experimental authority for two types of testing: (1) a total of 70 user terminals (mixed between the two types of antennas) so that it can test multiple devices at a number of geographically dispersed location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2) up to 200 phased array user terminals to be deployed within the [[Washington (state)|state of Washington]] at the homes of SpaceX employees for ongoing testing. Such authority would enable SpaceX to obtain critical data regard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se user terminals and the SpaceX NGSO system''}}{{깨진 링크|url=https://apps.fcc.gov/els/GetAtt.html?id=232944&x }} {{PD-notice}}</ref> 항공기 탑재 안테나 작동을 4개의 분산된 미국 비행장과 5곳의 지상 테스트 장소, 총 9곳에서 시험할 수 있도록 허가 받았다.<ref name="fcc201906-0515">{{웹 인용|url=https://apps.fcc.gov/oetcf/els/reports/442_Print.cfm?mode=current&application_seq=93244&license_seq=94223|title=FCC FORM 442 – APPLICATION FOR NEW OR MODIFIED RADIO STATION UNDER PART 5 OF FCC RULES – EXPERIMENTAL RADIO SERVICE: 0515-EX-CN-2019|publisher=[[연방 통신 위원회]]|access-date=4 July 2019}} {{PD-notice}}</ref><ref name="fcc_sxapp201906_Q7-0515">{{웹 인용|url=https://apps.fcc.gov/els/GetAtt.html?id=233157&x|title=0515-EX-CN-2019 – Application question 7: Purpose of Experiment – Narrative summary|date=June 2019|publisher=[[FCC]]|access-date=4 July 2019|quote=''SpaceX seeks an experimental authorization to test activities ... tests are designed to demonstrate the ability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1) between five ground sites ("Ground-to-Ground") and (2) between four ground sites and an airborne aircraft ("Ground-to-Air") ... This application seeks only to use an Earth station to transmit signals to the SpaceX satellites first from the ground and later from a moving aircraft''.}} {{PD-notice}}</ref>

스페이스X는 2019년 9월까지 궤도 위성군에 더 많은 변경사항을 적용시키기 위해 FCC에 복귀했다. 스페이스X는 한번의 발사를 통해 위성들을 여러 평면에 배치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550km 위성군 궤도의 궤도 평면 수를 기존 24개에서 2배 증가한 72개롤 늘여달라고 요청했다. 스페이스X는 궤도 평면의 수를 늘리면 2020년 허리케인 시즌에 맞춰서 미국 남부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뒷받침했다.<ref name="sn20190907">{{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says-more-starlink-orbits-will-speed-service-reduce-launch-needs/|title=SpaceX says more Starlink orbits will speed service, reduce launch needs|date=7 September 2019|website=SpaceNews.com}}{{깨진 링크|url=https://spacenews.com/spacex-says-more-starlink-orbits-will-speed-service-reduce-launch-needs/ }}</ref> 이러한 요청은 논쟁 끝에 2019년 12월 FCC로부터 승인되었으며 기존에 각 평면에서 66개의 위성을 관측 가능했던데에 반해 지금은 22개의 위성만을 관측 가능한 상태이다. 550km 궤도의 스타링크 위성 배치는 총 1,584개로, 수정안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ref name="sn20191219">{{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gets-ok-to-re-space-starlink-orbits/|title=SpaceX gets OK to re-space Starlink orbits|date=20 December 2019|website=SpaceNews.com}}</ref>

[[파일:45th SW supports successful launch of Falcon 9 Starlink (5903425).jpeg|대체글=Starlink-1 mission launch aboard a Falcon 9 rocket|섬네일|2019년 11월 11일, 스타링크 위성 60기를 발사하고 있는 팰컨 9 B1048.]]

2019년 10월,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네트워크의 인터넷 연결을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 사이트 트위터에 포스트를 공유했다.<ref>{{웹 인용|url=https://twitter.com/elonmusk/status/1186523464712146944?s=21|title=Sending this tweet through space via Starlink satellite|last=Musk|first=Elon|date=21 October 2019|website=@elonmusk|access-date=13 February 2020}}</ref>

=== 2020 ===
2020년 9월 2일 기준 스페이스X는 655기의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했으며, 추후 60회 이상 팰컨 9 발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2주에 한번씩 발사를 진행하는 것이며, 이것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12,000개 위성이 궤도상에 배치될 것이다. 추후 42,000개로 그 범위가 확장될 가능성도 존재한다.<ref>{{뉴스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submits-paperwork-for-30000-more-starlink-satellites/|title=SpaceX submits paperwork for 30,000 more Starlink satellites|date=15 October 2019}}</ref> 현 계획상 12,000개 위성은 각기 다른 3개의 궤도층에 배치될 예정이다.

* 1단계: 1,584기 배치, {{convert|550|km}} 고도의 원형 궤도.
* 2단계: 2,825기 배치, {{convert|1110|km}} 고도의 원형 궤도. [[Ku 밴드|Ku]], [[Ka 밴드|Ka]] 밴드 장비를 장착한 위성
* 3단계: 7,500기 배치, {{convert|340|km}}<ref name="sn20190426" /> 고도의 원형 궤도. [[V 밴드]] 장비를 장착한 위성

== 발사 ==
2019년 5월, 스페이스X는 위성군을 구성하는 스타링크 위성 60개를 {{convert|450|km}} 궤도에 발사했고, 2019년에 총 6회 발사에 성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720개 위성(12 × 60)을 쏘아 올릴 예정이었다.<ref>{{트윗 인용|user=SpaceX|number=1131946588597829634|date=24 May 2019|title=Falcon 9 launches 60 Starlink satellites to orbit – targeting up to 6 Starlink launches this year and will accelerate our cadence next year to put ~720 satellites in orbit for continuous coverage of most populated areas on Earth}}</ref><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74001|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 Group|website=N2YO.com – Real-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access-date=1 June 2019}}</ref>

2019년 8월, 스페이스X는 2019년 안에 발사를 4차례 더 진행할 것으로 내다봤다.<ref>{{웹 인용|url=https://www.teslarati.com/spacex-starlink-falcon-9-four-more-launches-2019/|title=SpaceX planning four more Falcon 9-launched Starlink missions this year, permits show|date=1 September 2019}}</ref> 그리고 2020년에는 적어도 9번 이상 발사할 것으로 생각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spacex.com/smallsat|title=Smallsat rideshare program|access-date=2 September 2019|archive-date=2020-05-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22015921/https://www.spacex.com/smallsat|url-status=dead}}</ref> 하지만 2020년 1월, 스페이스X는 2020년 목표치를 24차례 발사로 상향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nasaspaceflight.com/2020/01/spacex-launch-third-operational-starlink-mission/|title=SpaceX's Third Operational Starlink Mission launches|date=29 January 2020}}</ref>

2020년 3월, 스페이스X는 하루에 6개 위성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cnbc.com/2020/03/09/spacex-raising-500-million-in-new-funding-for-elon-musks-company.html|title=SpaceX raising over US$500 million, double what Elon Musk's company planned to bring in|date=9 March 2020}}</ref>

스타링크 위성은 [[스타십 (로켓)|스타십]] 발사체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기도 하다. 현재 개발 수순에 있는 이 로켓을 사용하면 스페이스X는 한번에 400개 위성을 궤도상에 올릴 수 있을 예정이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cnbc.com/2019/10/27/spacex-president-we-will-land-starship-on-moon-before-2022.html|title=SpaceX wants to land Starship on the moon within three years, president says, with people soon after|date=27 October 2019}}</ref>

=== 스타링크 발사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 scope="col" |No.
! scope="col" |임무
![[COSPAR ID]]
! scope="col" |발사 날짜 및 시각 ([[협정 세계시|UTC]])
! scope="col" |[[팰컨 9 1단계 부스터 목록|발사체]][[스타링크#cite note-booster-66|<span class="mw-reflink-text">[lower-alpha 1]</span>]]
! scope="col" |발사 구역
! scope="col" |궤도 높이 [[지구 저궤도|(LEO)]]
! scope="col" |경사도
! scope="col" |위성 수
!궤도 이탈
! scope="col" |버전
! scope="col" |결과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rowspan="2" scope="row" |Tintin<ref>https://space.skyrocket.de/doc_sdat/microsat-2.htm</ref>
| rowspan="2" |2018-020
|2018년 2월 22일, 14시 17분<ref name=":0">{{웹 인용|url=https://www.nasaspaceflight.com/2018/02/spacex-falcon-9-paz-launch-starlink-demo-new-fairing/|title=SpaceX launches Falcon 9 with PAZ, Starlink demo and new fairing|last=Graham|first=William|date=22 February 2018|website=[[NASASpaceFlight.com]]|access-date=12 May 2019}}</ref><ref name=":1">{{웹 인용|url=https://www.space.com/39785-spacex-internet-satellites-starlink-constellation.html|title=SpaceX's Prototype Internet Satellites Are Up and Running|last=Wall|first=Mike|date=22 February 2018|website=[[Space.com]]|access-date=12 May 2019}}</ref>
|F9 FT ♺ B1038.2<ref name="gunter_falcon9">{{웹 인용|url=https://space.skyrocket.de/doc_lau/falcon-9.htm|title=Falcon-9|website=space.skyrocket.de|access-date=18 May 2019}}</ref>
|[[반덴버그 공군기지|VAFS]], SLC-4E
|{{convert|514|km}}
|97.5°<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3216|title=TINTIN A|website=N2YO.com|access-date=12 November 2019}}</ref>
| style="text-align:center;" |2
|2
| style="text-align:center;" |베타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테스트 위성 '틴틴 A'와 '틴틴 B'가 발사되었다.<ref name="musk_tweet_feb22">{{트윗 인용|user=elonmusk|author-link=Elon Musk|number=966703261699854336|title=First two Starlink demo satellites, called Tintin A and B, deployed and communicating to Earth station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22160042/https://twitter.com/elonmusk/status/966703261699854336|archive-date=22 February 2018|date=22 February 2018|access-date=22 February 2018}}</ref> (MicroSat-2a, 2b라고도 부른다) Paz 통신위성의 보조 수화물로서 발사되었다. 틴틴 B는 대기권에 진입하여 연소하였고, 현재 궤도상에는 틴틴 A만 존재한다.<ref>{{웹 인용|url=http://www.lizard-tail.com/isana/tracking/?catalog_number=43216|title=OrbTrack - online satellite tracker|website=lizard-tail.com|access-date=17 July 2020}}</ref><ref>{{웹 인용|url=http://www.lizard-tail.com/isana/tracking/?catalog_number=43217|title=OrbTrack - online satellite tracker|website=lizard-tail.com|access-date=17 July 2020}}</ref>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1
! rowspan="2" scope="row" |v0.9<ref>https://space.skyrocket.de/doc_sdat/starlink-v0-9.htm</ref>
| rowspan="2" |2019-029
|2019년 5월 24일, 02시 30분<ref name="spacex20190515" />
|F9 B5 ♺ B1049.3<ref name="gunter_falcon9" />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CCAFS]], SLC-40
|{{convert|440-550|km}}<ref name="jm-20191031">{{트윗 인용|last=McDowell|first=Jonathan|user=planet4589|number=1189928526478282752|title=Starlink orbit status. Around Oct 27, object 44240 (Starlink 26) was lowered slightly out of the active constellation. Still no satellites deorbited: all 60 still being tracked.|date=31 October 2019|access-date=12 November 2019}}</ref>
|53.0°
| style="text-align:center;" |60<ref name="first60">{{트윗 인용|number=1127388838362378241|title=First 60 SpaceX Starlink satellites loaded into Falcon fairing. Tight fit.|author-link=일론 머스크|date=11 May 2019|user=elonmusk|access-date=12 May 2019}}</ref><ref name="elonmusk-20190511">{{트윗 인용|user=elonmusk|author-link=일론 머스크|number=1127391581072347137|date=11 May 2019|title=Much will likely go wrong on 1st mission. Also, 6 more launches of 60 sats needed for minor coverage, 12 for moderate.}}</ref>
|39
| style="text-align:center;" |v0.9 테스트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ref>{{인용|last=Roulette|first=Joey|title=First satellites for Musk's Starlink internet venture launched into orbit|work=[[Reuters]]|url=https://www.reuters.com/article/us-space-exploration-spacex/spacex-launches-first-satellites-for-musks-starlink-internet-service-idUSKCN1SU07Y|date=23 May 2019|access-date=24 May 2019}}</ref>
|-
| colspan="9" |스타링크 위성 60개의 첫 동시 발사.<ref name="sn20190426" /> 실제 생산될 디자인을 지녔지만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와 궤도 탈출을 테스트하기 위한 엔진 등 여러 실험적인 요소를 지닌 위성들이다.<ref>{{트윗 인용|user=elonmusk|author-link=일론 머스크|number=1127390620111081473|title=These are production design, unlike our earlier Tintin demo sats|date=11 May 2019|access-date=13 May 2019}}</ref> 아직 통신 위성간의 연결에 대한 계획이 없으며 지상의 안테나를 통해서만 연락중이다. 발사 이후 네덜란드의 한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스타링크 위성들이 마치 '기차놀이'를 하는 것처럼 줄지어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서 공개했다.<ref>{{웹 인용|url=https://sattrackcam.blogspot.com/2019/05/wowowow-spectacular-view-of-spacex.html|title=WOWOWOW!!!! A Spectacular view of the SpaceX Starlink satellite train!|last=Langbroek|first=Marco|date=25 May 2019|access-date=26 May 2019}}</ref> 발사 5주 이후 60개 위성 중 57개 위성의 정상 작동이 확인되었지만 3개 위성은 통신이 끊어져 작동 불능이 되었다. 이것은 추후 대기 마찰로 인해 불타 사라질 예정이다.<ref name="sn20190701">[https://spacenews.com/contact-lost-with-three-starlink-satellites-other-57-healthy/ Contact lost with three Starlink satellites, other 57 healthy], SpaceNews, 1 July 2019, accessed 1 July 2019.</ref> {{As of|2019|10|31}}, 49개 위성이 550km 정상 궤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나머지는 궤도 바깥으로 이동하며 서서히 이탈중인 것으로 보여졌다.<ref name="jm-20191031" />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2
! rowspan="2" scope="row" |{{nowrap|v1.0 L1<ref>https://space.skyrocket.de/doc_sdat/starlink-v1-0.htm</ref>}}
| rowspan="2" |2019-074
|2019년 11월 11일, 14시 56분<ref name="SL1" />
|F9 B5 ♺ B1048.4
|CCAFS, SLC-40
|{{convert|550|km}} (목표 궤도)
|53.0°
| style="text-align:center;" |60<ref name="pietrobon">{{웹 인용|url=http://www.sworld.com.au/steven/space/uscom-man.txt|title=United States Commercial ELV Launch Manifest|last=Pietrobon|first=Steven|date=22 July 2019|access-date=22 July 2019}}</ref>
|1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실제 운용되는 스타링크 위성의 첫 발사.<ref name="SL1">{{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19/11/11/successful-launch-continues-deployment-of-spacexs-starlink-network/|title=Successful launch continues deployment of SpaceX's Starlink network|date=11 November 2019|access-date=11 November 2019}}</ref> [[Ka 밴드|Ka 밴드 장비]]가 포함되어 중량이 증가, 각 260kg이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teslarati.com/spacex-starlink-satellite-upgrade-more-bandwidth-more-beams/|title=SpaceX says upgraded Starlink satellites have better bandwidth, beams, and more|date=12 November 2019}}</ref> 위성들은 고도 290km 원형 궤도에 배치되었고, 이후 위성들이 엔진을 점화하여 스스로 궤도를 높였다.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3
! rowspan="2" scope="row" |v1.0 L2
| rowspan="2" |2020-001
|2020년 1월 7일, 02시 19분<ref name="sfn-launchlog">{{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log/|title=Launch Log|last=Clark|first=Stephen|work=Spaceflight Now|access-date=15 March 2020}}</ref>
|F9 B5 ♺ B1049.4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2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Darksat이라 불린 실험용 위성 1기가 함께 발사되었다.<ref name="sn20200421">{{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4/21/spacex-modifies-starlink-network-design-as-another-60-satellites-gear-up-for-launch/|title=SpaceX modifies Starlink network design|website=spaceflightnow.com|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2 April 2020}}</ref> 지상 천문학 관측에 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빛 흡수 필름을 부착한 위성이다.<ref name="sn20191207">{{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working-on-fix-for-starlink-satellites-so-they-dont-disrupt-astronomy/|title=SpaceX working on fix for Starlink satellites so they don't disrupt astronomy|date=7 December 2019|access-date=10 December 2019}}</ref>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4
! scope="row" |v1.0 L3
|2020-006
|2020년 1월 29일, 14시 06분<ref>{{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1/29/spacex-boosts-60-more-starlink-satellites-into-orbit-after-weather-delays/|title=SpaceX boosts 60 more Starlink satellites into orbit after weather delays|last=Clark|first=Stephen|date=29 January 2020|work=Spaceflight Now|access-date=15 March 2020}}</ref>
|F9 B5 ♺ B1051.3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5
! rowspan="2" scope="row" |v1.0 L4
| rowspan="2" |2020-012
|2020년 2월 17일, 15시 05분<ref name="feb_18">{{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2/17/spacex-delivers-more-starlink-satellites-to-orbit-booster-misses-drone-ship-landing/|title=SpaceX delivers more Starlink satellites to orbit, booster misses drone ship landing|last=Clark|first=Stephen|date=17 February 2020|work=Spaceflight Now|access-date=18 February 2020}}</ref>
|F9 B5 ♺ B1056.4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1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타원형 궤도에 위성이 처음으로 배치되었다.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6
! scope="row" |v1.0 L5
|2020-019
|2020년 3월 18일, 12시 16분 39초<ref>{{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last=Clark|first=Stephen|date=17 March 2020|work=Spaceflight Now|access-date=17 March 2020}}</ref>
|F9 B5 ♺ B1048.5
|[[케네디 우주 센터|KSC]], [[케네디 우주 센터 제39발사단지|LC-39A]]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1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7
! scope="row" |v1.0 L6
|2020-025
|2020년 4월 22일, 19시 30분 30초<ref name="SFN20200422">{{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4/22/spacexs-starlink-network-surpasses-400-satellite-mark-after-successful-launch/|title=SpaceX's Starlink network surpasses 400-satellite mark after successful launch|last1=Clark|first1=Stephen|date=22 April 2020|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8 April 2020}}</ref>
|F9 B5 ♺ B1051.4
|KSC, LC-39A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8
! rowspan="2" scope="row" |v1.0 L7
| rowspan="2" |2020-035
|2020년 6월 4일, 01시 25분 00초<ref name="SFN20200601">{{웹 인용|url=http://www.launchphotography.com/Delta_4_Atlas_5_Falcon_9_Launch_Viewing.html|title=Rocket Launch Viewing Guide for Cape Canaveral|website=launchphotography.com|access-date=4 August 2020|archive-date=2016-02-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209063848/http://www.launchphotography.com/Delta_4_Atlas_5_Falcon_9_Launch_Viewing.html|url-status=}}</ref>
|F9 B5 ♺ B1049.5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1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Visorsat이라 불린 실험용 위성 1기가 함께 발사되었다. 지상 천문학 관측에 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태양빛 가림막을 장착한 위성이다.<ref name="SFN20200429">{{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4/28/spacex-to-debut-satellite-dimming-sunshade-on-starlink-launch-next-month/|title=SpaceX to debut satellite-dimming sunshade on Starlink launch next month|date=28 April 2020|work=SpaceFlightNow|access-date=29 April 2020}}</ref>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9
! rowspan="2" scope="row" |v1.0 L8
| rowspan="2" |2020-038
|2020년 6월 13일, 09시 21분 18초<ref name="SFN20200612" />
|F9 B5 ♺ B1059.3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58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첫 스타링크 보조 수화물 발사, Planet labs의 위성 3기와 SkySats의 위성 3기를 함께 발사했다.<ref name="SFN20200612">{{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6/12/hitching-a-ride-with-spacex-planet-poised-to-complete-skysat-fleet/|title=Hitching a ride with SpaceX, Planet poised to complete SkySat fleet|date=12 June 2020|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13 June 2020}}</ref>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10
! rowspan="2" scope="row" |v1.0 L9
| rowspan="2" |2020-055
|2020년 8월 7일, 05시 12분 05초<ref name="SFN20200906">{{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date=4 August 2020|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6 August 2020}}</ref>
|F9 B5 ♺ B1051.5
|KSC, LC-39A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57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Blacksky Global 위성 2기를 보조 수화물로 발사했다.<ref name="SFN20200625">{{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date=25 June 2020|website=spaceflightnow.com|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5 June 2020}}</ref><ref>{{웹 인용|url=https://spacenews.com/blacksky-launching-two-satellites-on-june-starlink-mission/|title=BlackSky launching two satellites on June Starlink mission|date=5 June 2020|website=SpaceNews.com|access-date=5 June 2020|archive-date=2023-12-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31213171257/https://spacenews.com/blacksky-launching-two-satellites-on-june-starlink-mission/|url-status=}}</ref> 이 발사에서 발사된 모든 스타링크 위성들은 2020년 6월 4일 발사에서 시험한 빛 가림막을 장착했다.<ref name="SFN20200626">{{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06/26/spacex-rideshare-provides-new-path-to-orbit-for-blacksky/|title=SpaceX rideshare provides new path to orbit for BlackSky|date=26 June 2020|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6 June 2020}}</ref>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11
! rowspan="2" scope="row" |v1.0 L10
| rowspan="2" |2020-
057
|2020년 8월 18일, 14시 31분 16초<ref name="SFN20200811">{{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date=11 August 2020|website=spaceflightnow.com|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11 August 2020}}</ref>
|F9 B5 ♺ B1049.6<ref>{{웹 인용|url=https://space.skyrocket.de/doc_lau_det/falcon-9_v1-2_b5.htm|title=Falcon-9 v1.2 (Block 5) (Falcon-9FT (Block 5))|last=Krebs|first=Gunter|date=|website=space.skyrocket.de|archive-url=|archive-date=|url-status=live|access-date=11 July 2020}}</ref>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58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Planet Labs와 SkySats의 지구 관측 위성을 보조 수화물로 발사했다.<ref name="SFN20200623">{{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date=23 June 2020|website=spaceflightnow.com|publisher=Spaceflight Now|access-date=24 June 2020}}</ref>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12
! rowspan="2" scope="row" |v1.0 L11
| rowspan="2" |2020-
062
|2020년 9월 3일, 12시 46분 14초<ref name="SFN20200811" />
|F9 B5 ♺ B1060.2
|KSC, LC-39A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
|-
! rowspan="2"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13
! rowspan="2" scope="row" |v1.0 L12
| rowspan="2" |2020-070
|2020년 10월 6일, 11시 29분 34초<ref name="SFN20200811" />
|F9 B5 ♺ B1058.3
|KSC, LC-39A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0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수화물 페어링이 3회 이상 재사용되는 첫 임무이다.
|-
! rowspan="2" |14
! rowspan="2" |v1.0 L13
| rowspan="2" |2020-073
|2020년 10월 18일, 12시 25분 57초<ref name="SFN20201018">{{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title=Launch Schedule|publisher=Spaceflight Now|date=17 October 2020|access-date=18 October 2020 |archive-date=16 August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816161152/https://spaceflightnow.com/launch-schedule/|url-status=live}}</ref>
|F9 B5 ♺ B1051.6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 2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
|-
! rowspan="2" |15
! rowspan="2" |v1.0 L14
| rowspan="2" |2020-074
|2020년 10월 24일, 15시 31분 34초<ref name="SFN20201024">{{웹 인용|url=https://spaceflightnow.com/2020/10/21/falcon-9-starlink-14-mission-status-center/|title=Live coverage: SpaceX launches more Starlink satellites |publisher=SpaceFlight Now|date=24 October 2020|access-date=24 October 2020}}</ref>
|F9 B5 ♺ B1060.3
|CCAFS, SLC-40
|{{convert|550|km}}
|53.0°
| style="text-align:center;" |60
| 2
| style="text-align:center;" |v1.0
| style="background: palegreen;" |성공
|-
| colspan="9" |
|}

'''총 발사된 위성 수 (2021년 2월 4일 기준): 1,085기'''

=== 궤도에서 이탈한 스타링크 위성들의 목록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이름
!버전
![[NSSDC ID|COSPAR ID]]
!임무
!궤도 이탈 날짜
|-
|TINTIN A
|베타 테스트
|2018-020B
|Tintin
|2020년 8월 29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TINTIN A|url=https://www.n2yo.com//satellite/?s=43216|access-date=2020-08-31|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TINTIN B
|베타 테스트
|2018-020C
|Tintin
|2020년 8월 8일<ref>{{웹 인용|title=TINTIN B - NORAD 43217 - 3D Online Satellite Tracking|url=https://www.satflare.com/track.asp?q=43217&sid=2#TOP|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www.satflare.com}}</ref>
|-
|스타링크-21
|v0.9 테스트
|2019-029L
|v0.9 테스트
|2020년 9월 22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45|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21|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22
|v0.9 테스트
|2019-029B
|v0.9 테스트
|2020년 8월 9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22|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36|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23
|v0.9 테스트
|2019-029C
|v0.9 테스트
|2020년 9월 2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23|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37|access-date=2020-09-04|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25
|v0.9 테스트
|2019-029E
|v0.9 테스트
|2020년 9월 1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25|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39|access-date=2020-09-04|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28
|v0.9 테스트
|2019-029H
|v0.9 테스트
|2020년 8월 21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28|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42|access-date=23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32
|v0.9 테스트
|2019-029V
|v0.9 테스트
|2020년 9월 12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4|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2|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33
|v0.9 테스트
|2019-029N
|v0.9 테스트
|2020년 8월 29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3|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47|access-date=2020-08-31|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34
|v0.9 테스트
|2019-029P
|v0.9 테스트
|2020년 9월 3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4|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48|access-date=2020-09-06|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35
|v0.9 테스트
|2019-029AF
|v0.9 테스트
|2020년 9월 16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4|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5|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36
|v0.9 테스트
|2019-029R
|v0.9 테스트
|2020년 9월 15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0|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6|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37
|v0.9 테스트
|2019-029S
|v0.9 테스트
|2020년 9월 16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1|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7|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38
|v0.9 테스트
|2019-029AX
|v0.9 테스트
|2020년 9월 6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8|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80|access-date=2020-09-07|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39
|v0.9 테스트
|2019-029U
|v0.9 테스트
|2020년 9월 18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3|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39|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40
|v0.9 테스트
|2019-029Z
|v0.9 테스트
|2020년 9월 5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0|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8|access-date=2020-09-07|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41
|v0.9 테스트
|2019-029AU
|v0.9 테스트
|2020년 8월 9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1|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77|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42
|v0.9 테스트
|2019-029X
|v0.9 테스트
|2020년 9월 16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6|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2|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44
|v0.9 테스트
|2019-029AC
|v0.9 테스트
|2020년 9월 5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4|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1|access-date=2020-09-06|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45
|v0.9 테스트
|2019-029AB
|v0.9 테스트
|2020년 9월 4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5|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0|access-date=2020-09-06|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46
|v0.9 테스트
|2019-029M
|v0.9 테스트
|2020년 2월 20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46|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46|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50
|v0.9 테스트
|2019-029BC
|v0.9 테스트
|2020년 9월 17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85|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0|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51
|v0.9 테스트
|2019-029AP
|v0.9 테스트
|2020년 9월 2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1|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72|access-date=2020-09-04|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54
|v0.9 테스트
|2019-029AH
|v0.9 테스트
|2020년 9월 15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6|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4|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56
|v0.9 테스트
|2019-029BA
|v0.9 테스트
|2020년 9월 10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83|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6|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57
|v0.9 테스트
|2019-029AL
|v0.9 테스트
|2020년 9월 18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9|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7|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58
|v0.9 테스트
|2019-029AM
|v0.9 테스트
|2020년 8월 23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58|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70|access-date=2020-08-25|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62
|v0.9 테스트
|2019-029AR
|v0.9 테스트
|2020년 8월 28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62|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74|access-date=2020-08-31|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66
|v0.9 테스트
|2019-029W
|v0.9 테스트
|2020년 8월 21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66|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55|access-date=23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67
|v0.9 테스트
|2019-029AV
|v0.9 테스트
|2020년 5월 27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67|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78|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69
|v0.9 테스트
|2019-029AJ
|v0.9 테스트
|2020년 9월 16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67|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69|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78
|v0.9 테스트
|2019-029BH
|v0.9 테스트
|2020년 9월 16일<ref>{{웹 인용|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290|제목=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78|확인날짜=2020-09-27}}</ref>
|-
|스타링크-1040
|v1.0
|2019-074AJ
|v1.0 L1
|2020년 9월 3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 1040|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745|access-date=2020-09-04|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1087
|v1.0
|2020-001BD
|v1.0 L2
|2020년 5월 29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1087|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965|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1118
|v1.0
|2020-001AL
|v1.0 L2
|2020년 4월 2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1118|url=https://www.n2yo.com//satellite/?s=44948|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스타링크-1220
|v1.0
|2020-012AK
|v1.0 L4
|2020년 3월 9일<ref>{{웹 인용|title=Jonathan's Space Report - No. 777|url=https://planet4589.org/space/jsr/back/news.777.txt|access-date=3 September 2020|website=planet4589.org}}</ref>
|-
|스타링크-1440
|v1.0
|2020-035A
|v1.0 L7
|2020년 6월 14일<ref>{{웹 인용|title=Technical details for satellite STARLINK-1440|url=https://www.n2yo.com///satellite/?s=45657|access-date=17 August 2020|website=N2YO.com - Real Time Satellite Tracking and Predictions}}</ref>
|}
'''총 이탈한 위성 수 (2021년 1월 25일 기준): 64기'''

== 서비스 ==

=== 광대역 인터넷 ===
스페이스X는 아직 인터넷 연결이 불완전한 세계 각지에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시민들도 그 대상이다. 스페이스X는 인공위성 발사 및 서비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은 화성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고 스타쉽 미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ref name="sn20180312">{{뉴스 인용|url=http://spacenews.com/musk-reiterates-plans-for-testing-bfr/|title=Musk reiterates plans for testing BFR|last=Foust|first=Jeff|date=12 March 2018|work=[[SpaceNews]]|access-date=15 March 2018|quote=Construction of the first prototype spaceship is in progress. "We're actually building that ship right now", he said. "I think we'll probably be able to do short flights, short sort of up-and-down flights, probably sometime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ref>

2015년 초, 두 우주개발 선발주자 기업체는 같은 주에 새로운 인터넷 벤처 사업을 발표했다. 스페이스X의 CEO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프로젝트를 언급했고, 기업가 리처드 브랜슨은 원웹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발표했다. 거의 비슷한 형태의 두 위성군은 대략 700개의 위성으로 구축될 예정이며 이미 그들의 방송 스펙트럼에 맞춘 통신 주파수 라이센스를 획득한 상태였다.<ref name="lat20150116">{{뉴스 인용|url=https://www.latimes.com/business/la-fi-satellite-entrepreneurs-20150117-story.html|title=Elon Musk and Richard Branson invest in satellite-Internet ventures|last1=Petersen|first1=Melody|date=16 January 2015|work=Los Angeles Times|access-date=19 January 2015}}</ref><ref name="quartz20150624">{{뉴스 인용|url=http://qz.com/434997/inside-the-race-to-create-the-next-generation-of-satellite-internet/|title=Inside the race to create the next generation of satellite internet|last=Fernholz|first=Tim|date=24 June 2015|work=[[Quartz (publication)|Quartz]]|access-date=18 October 2016}}</ref>

2015년, 당시 신규 인공위성 통신망 구축 벤처 사업이 연이어 실패하자 인공위성 사업 컨설턴트 로저 러스치는 "이것으로 성공적인 사업을 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발표했다.<ref name="lat20150116" /> 그러나 2017년 2월 유출된 스페이스X의 내부 문서의 내용에서는'2025년이 되면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가 30억 달러(한화 3조원)의 순이익을 창출할 것'이라며 팰컨 9 발사 산업에서 창출하고 있는 5000억원의 순이익을 능가하는 수익성을 보여줬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wsj.com/articles/exclusive-peek-at-spacex-data-shows-loss-in-2015-heavy-expectations-for-nascent-internet-service-1484316455|title=Exclusive Peek at SpaceX Data Shows Loss in 2015, Heavy Expectations for Nascent Internet Service|last=Winkler|first=Rolfe|last2=Pasztor|first2=Andy|date=13 January 2017|work=Wall Street Journal|issn=0099-9660|access-date=9 February 2018}}</ref><ref>{{뉴스 인용|url=https://techcrunch.com/2017/01/13/spacex-hopes-satellite-internet-business-will-pad-thin-rocket-launch-margins/|title=SpaceX hopes satellite Internet business will pad thin rocket launch margins|last=Etherington|first=Darrell|work=TechCrunch|access-date=9 February 2018}}</ref>

2019년 첫 60개의 운용 위성군을 발사하면서 스페이스X는 최소한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420개 위성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최소 780개에서 1600개의 위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했다.<ref name="elonmusk-20190511" />

2020년 4월 17일, FCC 발표 문서 자료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더 낮은 궤도에 위성을 배치하는 것이 스타링크 고객들에게 더 안정적으로, 더 넓은 범위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극지방에 거주하는 미국 사용자들에게 더 급진적인 네트워크 분포를 선사할 수 있다고도 했다. 더 낮은 궤도에 인공위성을 배치하는 것은 임무 실패시 더 빨리 인공위성을 대기에 진입시켜 주위 위성군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더러 위성이 지구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정보의 송수신에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한다.<ref name="sn20200421" />

한국은 2023년 2분기 서비스 예정으로, 주식시장에서는 스타링크관련주가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컴퍼니케이가 대표적 예다.

=== 지구 외 기타 행성에서의 사용 ===
스페이스X는 화성에 설치할 버전의 스타링크 위성에 대해 장기적인 계획을 보유중이다.<ref name="sn20161010shotwell">{{뉴스 인용|url=http://spacenews.com/shotwell-says-spacex-homing-in-on-cause-of-falcon-9-pad-explosion/|title=Shotwell says SpaceX "homing in" on cause of Falcon 9 pad explosion|last=Foust|first=Jeff|date=10 October 2016|work=[[SpaceNews]]|access-date=16 October 2016}}</ref>

== 기술 ==

=== 위성군 디자인 및 상태 ===
[[파일:Starlink_SpaceX_1584_satellites_72_Planes_22each.png|섬네일|스타링크 위성군의 모습. 페이즈 1의 위성들은 72개 궤도에 각 22개 배치된다. 전체 1584개 위성이 550km 궤도에 배치된다.]]
v0.9 테스트 위성을 포함한 결과. 틴틴 위성 2기는 테스트 위성이므로 포함하지 않았다.
{| class="wikitable"
!단계
!궤도<br />(km)
!위성 수
!경사도
(각도)
!중간 완성 시기
!완공시기
!발사에 성공한 위성
(2020년 10월 8일 기준)
!궤도 이탈 위성
(2020년 10월 8일 기준)
!은퇴한 위성<br />(2020년 4월 24일 기준)
!수명을 다한 위성
(2020년 4월 24일 기준)
|-
| rowspan="5" |<center>1</center>
|550
|1584
|53.0
| rowspan="5" |2024년 3월
| rowspan="5" |2027년 3월
|775
|47
|22<ref name="20200424-status">{{트윗 인용|user=planet4589|author=Jonathan McDowell|number=1253884744879792128|date=24 April 2020|title=So I conclude, of the 420 (Tintin not included), 9 definitely dead, 15 maybe dead, 396 probably alive}}</ref>
|9<ref name="20200424-status" />
|-
|540-570
|1600
|53.8
|0
|
|
|
|-
|540-570
|400
|70.0
|0
|
|
|
|-
|540-570
|374
|74.0
|0
|
|
|
|-
|540-570
|450
|80.0
|0
|
|
|
|-
| rowspan="3" |<center>2</center>
|335.9
|2493
|42.0
| rowspan="3" |2024년 11월
| rowspan="3" |2027년 11월
|0
|
|
|
|-
|340.8
|2478
|48.0
|0
|
|
|
|-
|345.6
|2547
|53.0
|0
|
|
|
|}

2020년 4월, 스페이스X는 모든 고궤도 위성의 궤도를 550km 수준으로 하향할 것을 요청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spacenews.com/spacex-seeks-fcc-permission-for-operating-all-first-gen-starlink-in-lower-orbit/|title=SpaceX Seeks FCC Permission for Operating All First-Gen Starlink in Lower Orbit|date=21 April 2020}}</ref><ref>{{웹 인용|url=https://licensing.fcc.gov/cgi-bin/ws.exe/prod/ib/forms/reports/swr031b.hts?q_set=V_SITE_ANTENNA_FREQ.file_numberC/File+Number/%3D/SATMOD2020041700037&prepare=&column=V_SITE_ANTENNA_FREQ.file_numberC/File+Number|title=Application for Fixed Satellite Service by Space Exploration Holdings, LLC [SAT-MOD-20200417-00037]|date=17 April 2020|website=fcc.report|quote=Space Exploration Holdings, LLC seeks to modify its Ku/Ka−band NGSO license to relocate satellites previously authorized to operate at altitudes from 1110 km to 1325 km down to altitudes ranging from 540 km to 570 km, and to make related changes.}} {{PD-notice}}</ref>

=== 위성 버전 ===

==== v0.9 (테스트) ====
2019년 5월에 발사된 스타링크 v0.9 테스트 위성 60기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ref name="spacex20190515">{{웹 인용|url=https://www.spacex.com/sites/spacex/files/starlink_press_kit.pdf|title=Starlink Press Kit|date=15 May 2019|website=SpaceX|access-date=23 May 2019|archive-date=2019-05-1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515091900/https://www.spacex.com/sites/spacex/files/starlink_press_kit.pdf|url-status=dead}}</ref>

* 2개의 고 처리량 안테나와 한개의 태양 전지판을 장비한 평면 디자인
* 질량: {{cvt|227|kg}}
* 크립톤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홀 효과]] [[홀 효과 추력기|추력기]], 궤도 변경과 고도 유지 및 필요시 궤도 이탈을 목적으로 장착되었다.
* 정밀도 향상을 위한 행성 위치 추적 기능
* 미국 국방부가 제공하는 우주 쓰레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자동 회피 기능<ref>{{웹 인용|url=http://www.starlink.com/|title=Starlink|last=Musk|first=Elon|website=Starlink|access-date=20 August 2019}}</ref>
* {{cvt|550|km}} 궤도
* 95%의 부품은 수명이 끝나면 스스로 대기에 재진시켜 제거가 가능하다. 우주 쓰레기를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 V1.0 (운용중) ====
2019년 11월부터 발사된 스타링크 V1.0 위성들은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 모든 부품은 수명이 끝나면 스스로 대기에 재진입시켜 제거가 가능하다. 우주 쓰레기를 생성하지 않는다.
* [[Ka 밴드]] 장비가 추가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space.skyrocket.de/doc_sdat/starlink-v1-0.htm|title=Starlink Block v1.0|last=Krebs|first=Gunter|date=|website=space.skyrocket.de|archive-url=|archive-date=|url-status=live|access-date=15 July 2020}}</ref>
* 질량: {{cvt|260|kg}}
* 스타링크-1130 ''Darksat''은, 시험적인 특수 코팅을 통해 [[반사율]]을 줄였으나 열 배출과 [[적외선]] 반사의 문제로 인해 이에 관한 추후 계획은 폐기되었다.<ref name="sn20191207" /><ref>{{웹 인용|url=https://www.spacex.com/updates/starlink-update-04-28-2020/|title=Starlink Discussio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date=28 April 2020|website=SpaceX|url-status=dead|access-date=15 July 2020|archive-date=2020-11-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1117160400/https://www.spacex.com/updates/starlink-update-04-28-2020/}}</ref>
* 또 다른 위성인 VisorSat은, 시험적인 가막을 통해 위성 각 부품의 반사율을 줄였다.
{{notelist}}

== 비판 ==
=== 빛 공해 ===
[[파일:Astro.jpg|300px|섬네일|[[세로 톨롤로 범아메리카 천문대]]의 직경 4 m 망원경에서 촬영한 천문사진이 스타링크의 영향으로 제대로 촬영이 되지 않는 모습.]]
{{-}}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https://apps.fcc.gov/oetcf/els/reports/442_Print.cfm?mode=current&application_seq=66082&license_seq=66693 FCC FORM 442 –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APPLICATION FOR NEW OR MODIFIED RADIO STATION UNDER PART 5 OF FCC RULES – EXPERIMENTAL RADIO SERVICE], SpaceX, 29 May 2015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s spectrum allocation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sting flights beginning as early as 2015.
* [https://www.starlink.com/ Official 스타링크 Website]
* [https://www.satflare.com/track.asp?q=starlink 스타링크 Satellite Locations]
* [https://james.darpinian.com/satellites/?special=starlink See A Satellite Tonight] shows when 스타링크 satellites can be seen.


[[분류:위성]]
[[분류:위성]]

2024년 5월 25일 (토) 20:29 판

Starlink
space X 스타링크
일반 정보

2019년 5월 24일, 서로 겹쳐져 있는 스타링크 위성 60기
용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
제작자 스페이스X
사용국 미국
제원
중량
  • v0.9 : 227 kg
  • v1.0 : 260 kg
운반궤도 지구 저궤도
발사 역사
상태 활동중
총 발사 수
  • 1085개 위성
  • 테스트 : 2기
  • v0.9 : 60기
  • v1.0 : 1023기
최초발사일 2018년 2월 22일
최후발사일 2021년 2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