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K-pop: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hrd (토론 | 기여)
내용을 "{ 빨리 소비되고 사라진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좀 더 객관적이고 장기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비판하는 쪽에서 예로 든 곡들은 대부분 오래 시간이 지났지만 대중과 K-pop 팬들에 의해 사랑 받고 있다. 히트곡이 차트에서 한 달에서 두 달 정도 소비되고 신곡으로 대체되는 상황은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창작자들의 활발한 창작을 긍정적으로 볼 수..."(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되돌려진 기여
Rhrd (토론 | 기여)
문서를 비움
태그: 비우기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1번째 줄:
{
빨리 소비되고 사라진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좀 더 객관적이고 장기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비판하는 쪽에서 예로 든 곡들은 대부분 오래 시간이 지났지만 대중과 K-pop 팬들에 의해 사랑 받고 있다. 히트곡이 차트에서 한 달에서 두 달 정도 소비되고 신곡으로 대체되는 상황은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창작자들의 활발한 창작을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다.

==== [[훅송]] 논란 ====
반복되는 구절로 인한 [[훅송]]의 범람을 야기한다는 논란은 구미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다양한 장르의 다른 대중 음악들도 다를 게 없어 K-pop 붐의 초기 이후 크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 주제 편향 ====
K-pop은 [[사랑]]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대중들은 주제가 너무나 획일적이라고 비판한다.

==== 과도한 외국어 사용 ====
K-pop의 노래 중에는 한 두 문장만 외국어 가사가 쓰인 것이 아니라, 한국어가 거의 보이지 않는 노래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는 다른 국가나 다른 언어권의 음악에 비해 매우 이례적으로 비쳐진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모습을 좋아하지 않아 조금만 외국어를 줄였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인다.

==== 외국 발매 우선 ====
케이팝 노래 중 히트곡을 만들기 위해 해외 앨범, 혹은 외국어판 음반으로 먼저 발매한 후 시간이 지나 한국에 발매를 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일본의 음반 시장을 노리기 위해 가사를 [[일본어]]로 번역하고 개사한 판이 일본에 먼저 발매된 뒤, 그 다음으로 한국 시장에 발매가 되는 형식이다. 허나 이 문제는 2020년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문제이다.

==== 표절 논란 ====
{{본문|표절 논란에 휩싸인 K-pop 음악}}

과거부터 K-POP의 여러 노래들이 해외 싱어송라이터들의 음악을 베껴온 것이라는 주장이 지속되었으나, 별다른 지지를 받지 못하다가 2022년 7월 경 [[이무진]]의 [[신호등 (노래)]]가 이 사건의 도화선이 되었다. 논란이 거세지자, 이에 이무진의 소속사 빅플래닛메이드엔터에서는 공식 입장문을 제시하였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41230?sid=103</ref>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 [[K-ROCK]]
* [[한류 (문화)]]
*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목록]]
* [[K-pop 음악가 목록]]
* [[아이돌]]
* [[코리언 뮤직 페스티벌]]

== 각주 ==
;내용주
{{각주|group=내용주}}

;각주
{{각주}}

{{K-pop}}
{{음악 주제}}

{{전거 통제}}

[[분류:K-pop| ]]
[[분류:대한민국의 대중문화]]
[[분류:팝 음악 장르]]

2024년 5월 24일 (금) 19:08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