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내용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단일 출처|날짜=2023-04-15}} '''트로트'''({{llang|en|Trot}})는 대한민국음악 장르이다. 정형화된 반복적인 리듬과 펜타토닉 스케일 음계(오음음계), 그리고 한국 민요의 영향을 받은 떠는 창법이 특징이다. 또한 트로트는 미국의 춤곡인 폭스트롯({{llang|en|Foxtrot}})이 어원{{refn|group=참고|name=first|그렇지만 한국 대중..."(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되돌려진 기여
6번째 줄: 6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일제 강점기 ===
=== 일제 강점기 ===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ref>{{웹 인용|title= 대중가요(大衆歌謠)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802 |website=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access-date=2022-05-22 |language=Ko}}</ref>. 초창기에 있어서는 《사의 찬미》(1926)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1927, 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이나 《세동무》(1928)의 [[채동원]], 《암로(暗路)》(1930)의 [[김연실 (배우)|김연실]], 그리고 《봄노래 부르자》(1930, 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등이 대표적인 가수였다. 한편 일본 [[엔카]]의 번역·번안 노래도 유입해서 1930년대 중반에 [[대중가요]]의 양식으로 정착된 것이 트로트다<ref name=trot>{{웹 인용|title=트로트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860 |website=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access-date=2022-05-25 |language=Ko}}</ref>. 특히 ‘라시도미파’의 단조 5음계를 사용하거나, ‘도레미솔라’의 장조 5음계를 ‘라’의 비중을 높여 사용하는 특징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ref name=trot/>. 이 새로운 양식은 [[신민요]]와 더불어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의 양대산맥이 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 트로트라는 명칭은 없이 ‘[[유행가]]’, ‘유행소곡’ 등으로 불렸다. 트로트라는 명칭이 정착한 것은 1960년대 중반이다<ref name=trot/>.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ref>{{웹 인용|title= 대중가요(大衆歌謠)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802 |website=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access-date=2022-05-22 |language=Ko}}</ref>. 초창기에 있어서는 《사의 찬미》(1926)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1927, 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이나 《세동무》(1928)의 [[채동원]], 《암로(暗路)》(1930)의 [[김연실 (배우)|김연실]], 그리고 《봄노래 부르자》(1930, 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등이 대표적인 가수였다. 한편 일본 [[엔카]]의 번역·번안 노래도 유입해서 1930년대 중반에 [[대중가요]]의 양식으로 정착된 것이 트로트다<ref name=trot>{{웹 인용|title=트로트 |url=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860 |website=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access-date=2022-05-25 |language=Ko}}</ref>. 특히 ‘라시도미파’의 단조 5음계를 사용하거나, ‘도레미솔라’의 장조

[[1930년대]] 중후반으로 이르러서는 음반산업과 라디오 방송으로 대표되던 거대 매체가 자리 잡게 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30년대 중후반 트로트의 주류화를 결정한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이나 [[남인수]]의 《애수의 소야곡》, 《감격시대》 이래 [[황금심]]의 《알뜰한 당신》이나 [[김정구 (가수)|김정구]]의 《눈물 젖은 두만강》 등이 있다.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하며 친일 가수들의 활동과 함께 엔카 성향을 띤 노래들이 늘어나게 되었지만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은 노래 또한 유지되고 있었다.

=== 광복 이후 ~ [[1950년대]] ===
광복 이후 한국에서는 일제잔재 청산이라는 분위기 속에서 해방 전의 대중가요는 [[왜색]] 가요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ref name=a>고바야시 다카유키 "‘엔카’와 한국 ‘트로트’ 비교를 위한 기초적 관점", 아시아문화연구 제47집, 2018년</ref>. 1949년 대한민국 정부는 왜색가요와 저속가요를 퇴치하고 애국정신을 고취할 노래를 보급할 목적으로 국민가요보급운동을 전개하였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tabooAutonomy/kindOfTaboo04.do 금기와 자율] - 국가기록원</ref>. 그리고 1956년에는 문교부와 국민개창운동 추진회의 공동주최로 《왜색풍 가곡 배격, 계몽 강연회》가 개최되었다<ref name=a/>.

이러한 와중에서도 [[1947년]]에 데뷔하여 《신라의 달밤》을 크게 히트시킨 [[현인]]은 [[195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을 통해 많은 명곡을 발표하였다.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전쟁 기간 동안 현인의《전우여 잘 자라》, [[신세영]]의《전선야곡》과 같은 전쟁가요가 유행하기도 했지만,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아픔과 실향민의 비애를 그린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정거장]]》과 같은 곡이 유행했다. 특히 [[1954년]]에 [[이해연]]이 발표 한 《[[단장의 미아리고개]]》는 한국 전쟁의 아픔을 깊이 담아 냈다는 평가를 얻어 크게 히트 했다.

[[한국 전쟁]] 전후로 월북한 작가들의 작품은 발행금지조치가 취해지기도 했는데, 작곡가·작사가나 가수의 많은 곡도 발행금지처분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박재홍 (가수)|박재홍]]의 《유정 천리》와 같은 곡을 비롯해 많은 곡이 [[1988년]]까지 발행되지는 않았으나, 인기를 끌어 노래는 불리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1957년]]에는 ‘엘레지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진 대한민국의 대표 가수 [[이미자]]가 데뷔했으며, [[1959년]]경부터 LP판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고학력의 가수가 등장하여 눈길을 끌기도 하였다.{{출처|날짜=2008-10-27}} 또한 트로트는 [[왈츠]], [[블루스]], [[탱고]], [[맘보]], [[룸바]], [[부기우기]] 등과 더불어 ‘리듬’의 하나로 간주 돼 앞에 씌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시에 발표 된 《늴리리 맘보》, 《비의 탱고》, 《기타 부기》와 같은 곡들은 트로트 리듬을 기초로 하고 있지 않다. 적어도 1950년대까지 트로트를 하나의 형식이나 장르로 보지 않았던 것은 분명하다.

=== 1960년대 ~ 1970년대 ===

트로트는 1960년대 이후 하나의 장르로 굳어졌다. 이 장르가 뽕짝이라는 별칭을 얻은 것도 이 무렵이다. 1960년대 중반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트로트와 뽕짝이라는 말이 혼용되고 있었고, 이 가운데 뽕짝은 비하하는 성격이 강해서 점차 트로트라는 말로 대체됐음을 알 수 있다. LP판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트로트는 한층 더 발전되어 갔다. 특히 [[1959년]]에 데뷔한 [[이미자]]는 1960년대 왕성한 활동을 하는 가수 중 하나로 손꼽히며 이 시기에서 정상으로 올라 트로트의 중심에서 서 있던 가수다. 그리고 [[최희준 (가수)|최희준]], [[김상희 (가수)|김상희]] 등 고학력 가수들이 등장 하면서 학사 출신 가수들이 주목을 받았다. [[미8군]] 무대에서 활동하다가 데뷔한 [[현미]]의 《밤안개》가 인기를 끌었다. 또한 [[1961년]]은 [[한명숙 (1935년)|한명숙]]이 발표한 《노란 샤쓰의 사나이》가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프랑스]]의 샹송 가수 [[이베트 지로]]나 [[일본]]의 [[하마무라 미치코]] 등이 리메이크하면서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권까지 크게 유행하기도 하였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208303004 〈박성서의 7080가요 X파일〉佛 샹송가수, 한국가요 부르다], 서울신문, 2007년 2월 8일자.</ref>. [[1966년]]에는 《동숙의 노래》로 데뷔한 [[문주란 (가수)|문주란]]이 있었는데 허스키한 목소리가 매력적인 가수로 손꼽혔다.

[[1967년]]에는 [[남진 (가수)|남진]]이 부른 《가슴 아프게》가 크게 히트했고, 같은 해에는 그의 라이벌이자 후일 국민가수로 불리는 [[나훈아]]가 데뷔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두 명의 신인가수가 등장하였다. 그런가 하면 자매 가수들도 많은 활동을 했는데 《워싱턴 광장》, 《울릉도 트위스트》등을 부른 [[정씨스터즈]]를 비롯 해 《남성 금지구역》,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등을 부른 [[이씨스터즈]], 《마포종점》, 《삼천포 아가씨》등을 부른 [[은방울 자매]]가 유명하다.

1970년 대에는 신인 가수였던 [[남진 (가수)|남진]], [[나훈아]]가 라이벌 2인 체제를 이루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름 잡았다. 이 시기에는 통기타 가수, 포크송 가수 등 여러 장르의 가수들이 대거 등장하였지만 트로트 가수였던 남진, 나훈아의 인기가 더 많았기 때문에 트로트가 아직까지 장악하고 있었다. 특히 남진은 팝 스타일과 빠른 템포의 트로트를 선보였으며 나훈아는 정통 트로트를 주로 노래하였기에 이때부터 트로트는 정통과 정통에서 벗어 나 다양한 음악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가고 있었다. [[문주란]]은 〈공항의 이별〉, 〈공항의 부는 바람〉, 〈공항 대합실〉 등 공항 시리즈가 인기를 얻었다. [[1975년]]에는 [[송대관]]이 직접 작사한 《해뜰날》이 많은 사랑을 받아 가수왕에 등극 하기도 하였고 [[1976년]]에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크게 히트 하면서 트로트의 영향력을 행사 했다. [[1977년]]에는 그룹사운드 '히식스', '최헌과 검은나비' 등을 결성 해 보컬과 기타리스트로 활동 하던 [[최헌]]의 《오동잎》이 후반에 히트 하였고 [[이성애 (가수)|이성애]]가 [[일본]]에서 데뷔 하면서 트로트를 소개했다. 이후 [[조용필]]이나 [[김연자]], [[계은숙]] 등의 가수가 일본에서 활동하는 계기가 되었고, 많은 트로트 곡이 히트 하기도 했다.

=== 1980년대 ===
[[파일:Seol Woon-Do.jpg|섬네일|right|트로트 가수 [[설운도]]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
1970년대 말에 [[조용필]]이라는 대형 가수가 등장하여 《미워 미워 미워》, 《일편단심 민들레야》 등의 트로트 가요를 히트 시켰다. 이 시기에도 다양한 국내 음악들이 자리 잡고 있었으나 무엇보다 트로트가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트로트계 여성 가수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김수희]], [[심수봉]], [[주현미]]가 대표적이다.

[[김수희]]는 작곡가 출신으로 [[미8군]] 부대에서 '블랙켓츠'의 보컬로 활동하여 《남포동 부르스》, 《멍에》, 《잃어버린 정》 등 느린 곡조의 트로트를 히트 시켰고 다양한 창법을 트로트에 접목시키기도 하였다. [[1986년]]에 대한민국의 국민가요이자 응원가로 유명한 《남행열차》로 많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심수봉]]은 제2회 [[대학가요제]]에서 처음으로 [[트로트]]로 출전해 입상 한 계기로 데뷔 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였고 《당신은 누구시길래》, 《무궁화》, 《사랑밖엔 난 몰라》 등 자작곡들을 히트 시켰는데 [[1984년]],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는 2만 여장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주현미]]는 약사 출신으로 제 2회 [[강변가요제]]로 데뷔 하여 《[[비내리는 영동교]]》, 《울면서 후회하네》,《눈물의 부르스》등을 히트 시켜 [[1988년]], 《신사동 그 사람》으로 MBC 10대 가수상, 제18회 KBS 가요대상 대상, 제 3회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 하였다.

1980년 대 후반에는 트로트의 최고 정점을 찍는 시기였다. [[1987년]]에는 당시 여고생이던 [[문희옥]]이 《사투리 디스코 메들리》로 360만 장을 판매하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우면서 데뷔했으며, [[1989년]]에는 당시에 새로운 도시로 떠오르던 [[강남 (서울)|남서울 영동]]을 노래 한 《사랑의 거리》를 발표했다.

[[문주란]]이 남편과 아내의 삶을 표현 한 《남자는 여자를 귀찮게 해》를 히트 시키면서 여러 세대층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일본에서 엔카 가수로 크게 성공 한 [[김연자]]의 《수은등》, [[미8군]] 부대에서 활동하던 [[김지애]]의 《물레야》가 히트되어 트로트를 활성화 시켜주었다.

[[문성재]]는 [[1982년]]에 《부산 갈매기》를 불렀고 이 노래는 롯데 자이언츠 야구대표팀의 응원가로 쓰이면서 더욱 히트하였다. 그 해 [[설운도]]는 KBS 신인탄생으로 데뷔하였고 데뷔곡 《잃어버린 30년》이 이산가족 찾기 운동의 주제가로 쓰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현철 (가수)|현철]]은 [[1989년]]에 《봉선화 연정》으로 KBS 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하면서 트로트 황제의 위력을 전국에 전파 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태진아]]는 임종수가 작곡 한 《옥경이》로 가수로써의 두 번째 데뷔를 하였고 가요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 하고 전성기를 맞이 하였다.

=== 1990년대 ===

1980년대 말에 미국에서 귀국하여 대성공을 이뤄낸 [[송대관]]과 [[태진아]]는 트로트 신예로 급상승한 [[설운도]], 오랜 무명시절을 거쳐 인기를 얻은 [[현철 (가수)|현철]]과 함께 트로트 사국시대를 형성하여 트로트 음악의 부활을 주도하였다. 그들은 이제까지의 정통 트로트를 고수하는 방식과는 약간의 다른 음악적 요소를 접미 시켜 새로운 방식의 트로트를 대중들에게 선보이기도 하였다. [[배일호]]는 농민 출신의 가수로 《신토불이》를 불러 한국산 농산물을 홍보하는 계기가 되어 한동안 코리아 드림 열풍이 불기도 했다.

한편, 여성 가수들 중에서 서울 시스터즈로 데뷔했던 [[방실이]]가 솔로 가수로 전향하여 음반을 낸 《서울탱고》가 가요계 정상권을 차지하며 트로트의 위상을 떨쳤다. 또한 [[최유나]]의 《흔적》, [[한혜진]]의 《갈색추억》, [[박윤경]]의 《부초》 등 서정적이고 단조로운 분위기의 트로트들이 주로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설 무렵 [[록 음악|록]], [[발라드]]. [[댄스 팝]], [[R&B]], [[힙합]]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도 하면서 트로트는 상당히 소외되었고 트로트를 고집하던 가수들은 한동안 침체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에 댄스가수였던 [[김혜연]]이 등장하여 기존의 정통 트로트에 여러 음악적 요소를 가미 시킨 세미 트로트를 선보였다. [[김혜연]]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으로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열풍" 을 일으켜 젊은 층들을 확보하며 신세대 트로트 가수로 자리 잡았다.

=== 2000년대 이후 ===
[[파일:신사단 장민호.jpg|섬네일|200px|right|《[[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 6위를 기록한 트로트 가수 [[장민호]]]]
트로트는 어른들의 노래 (일명: 성인가요), 시대에 뒤떨어진 노래로 인식되어 왔는데 [[김혜연]]이 새로운 세미 트로트를 시도하게 되면서 대부분의 트로트 가수들도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나 트로트의 다변화를 이끌고 있다. [[2004년]]에 [[장윤정]]이 데뷔 함과 동시에 《[[어머나]]》로 "어머나 열풍" 을 일으키면서 점점 트로트가 신세대들에게 친근감이 느껴지게 되었다. 이 여파로 트로트 음악은 계속 정통이 아니라 퓨전으로 대중에 널리 보급화되었다. 그리고 [[2005년]]에 [[박상철]]이 발표한 《무조건》은 남성들이 회식 자리 등 여러 행사에서 선곡되는 트로트곡 1위로 자리 잡았다. [[2006년]]에는 [[박현빈]]이 《곤드레만드레》로 트로트계 신예로 부상 하면서 이 세 가수는 트로트계 새로운 3인자로 급부상했다. 이들의 탄생으로 많은 젊은 가수들이 트로트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 [[윙크]], [[홍진영]], [[김수찬]], [[백수정 (가수)|백수정]]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배출되고 있다.

특히 정통 트로트에 타장르의 음악과 결합시켜 트로트를 재조명하는 음악 프로그램 〈[[트로트 엑스]]〉가 [[2014년]]에 방송되었으며, [[2019년]]부터 [[TV조선]]에서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 등의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또한 [[김신영]]이 트로트 가수 둘째 이모 김다비로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정통 트로트 계보도 이어 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주현미]], [[문희옥]], [[김용임]], [[유지나 (가수)|유지나]] 등이 있다.

== 연대별 히트곡 ==
==== 1950년대까지 ====
{{글 숨김}}
* 《황성옛터》- [[이애리수]] ([[1932년]])
* 《목포의 눈물》- [[이난영]] ([[1935년]])
* 《알뜰한 당신》- [[황금심]] ([[1936년]])
* 《애수의 소야곡》- [[남인수]] ([[1938년]])
* 《바다의 교향시》- [[김정구]] ([[1938년]])
* 《눈물 젖은 두만강》- [[김정구]] ([[1938년]])
* 《오빠는 풍각쟁이》- [[박향림]] ([[1938년]])
* 《감격시대》- [[남인수]] ([[1939년]])
* 《홍도야 우지마라》- [[김영춘 (가수)|김영춘]] ([[1939년]])
* 《나그네 설움》- [[백년설]] ([[1940년]])
* 《[[번지없는 주막]]》- [[백년설]] ([[1940년]])
* 《선창》- [[고운봉]] ([[1941년]])
* 《대지의 항구》- [[백년설]] ([[1941년]])
* 《[[찔레꽃 (1942년 노래)|찔레꽃]]》- [[백난아]] ([[1942년]])
* 《목포는 항구다》- [[이난영]] ([[1942년]])
* 《청춘의 봄》- [[김용대 (가수)|김용대]] ([[1947년]])
* 《신라의 달밤》- [[현인]] ([[1947년]])
* 《비 내리는 고모령》- [[현인]] ([[1949년]])
* 《낭랑 18세》- [[백난아]] ([[1949년]])
* 《울고넘는 박달재》- [[박재홍]] ([[1950년]])
* 《꿈에 본 내 고향》- [[한정무]] ([[1952년]])
* 《[[굳세어라 금순아]]》- [[현인]] ([[1953년]])
* 《홍콩 아가씨》- [[금사향]] ([[1954년]])
* 《이별의 부산 정거장》- [[남인수]] ([[1954년]])
* 《백마강》- [[허민 (1929년)|허민]] ([[1954년]])
* 《청춘고백》- [[남인수]] ([[1955년]])
* 《아리랑 목동》- [[박단마]] ([[1955년]])
* 《단장의 미아리 고개》- [[이해연]] ([[1956년]])
* 《오동동 타령》- [[황정자]] ([[1956년]])
* 《대전 부르스》- [[안정애]] ([[1956년]])
* 《닐리리 맘보》- [[김정애]] ([[1957년]])
* 《처녀 뱃사공》- [[황정자]] ([[1958년]])
* 《울리는 경부선》- [[남인수]] ([[1958년]])
* 《유정천리》- [[박재홍]] ([[1959년]])
* 《열아홉 순정》- [[이미자]] ([[1959년]])
{{글 숨김 끝}}

==== 1960년대 ====
{{글 숨김}}
* 《무너진 사랑탑》- [[남인수]] ([[1960년]])
* 《카츄사의 노래》- [[송민도]] ([[1960년]])
* 《노랫가락 차차차》- [[황정자]] ([[1962년]])
* 《잘 있거라 부산항》- [[백야성]] ([[1962년]])
* 《첫사랑 마도로스》- [[남일해]] ([[1963년]])
* 《아메리칸 마도로스》- [[고봉산]] ([[1963년]])
* 《동백 아가씨》- [[이미자]] ([[1964년]])
* 《울산 큰 애기》- [[김상희 (가수)|김상희]] ([[1965년]])
* 《아빠의 청춘》- [[오기택]] ([[1965년]])
* 《동숙의 노래》- [[문주란]] ([[1965년]])
* 《흑산도 아가씨》- [[이미자]] ([[1965년]])
* 《울어라 열풍아》- [[이미자]] ([[1965년]])
* 《미워하지 않으리》- [[정원]] ([[1966년]])
* 《황포돛대》- [[이미자]] ([[1966년]])
* 《경상도 청년》- [[김상희 (가수)|김상희]] ([[1966년]])
* 《수덕사의 여승》- [[송춘희]] ([[1966년]])
* 《회전의자》- [[김용만 (트로트 가수)|김용만]] ([[1966년]])
* 《갈대의 순정》- [[박일남]] ([[1966년]])
* 《섬마을 선생님》- [[이미자]] ([[1967년]])
* 《그리움은 가슴마다》- [[이미자]] ([[1967년]])
* 《대머리 총각》- [[김상희 (가수)|김상희]] ([[1967년]])
* 《가슴 아프게》- [[남진 (가수)|남진]] ([[1967년]])
* 《안개 낀 장충단 공원》- [[배호]] ([[1967년]])
* 《청춘을 돌려다오》- [[신행일]] ([[1967년]])
* 《처녀농군》- [[최정자]] ([[1968년]])
* 《마포종점》- [[은방울자매]] ([[1968년]])
* 《사랑은 눈물의 씨앗》- [[나훈아]] ([[1968년]])
* 《아네모네》- [[이미자]] ([[1968년]])
* 《여자의 일생》- [[이미자]] ([[1968년]])
* 《정주고 내가 우네》- [[박일남]] ([[1968년]])
* 《기러기 아빠》- [[이미자]] ([[1969년]])
* 《어머님》- [[남진 (가수)|남진]] ([[1969년]])
* 《서산 갯마을》- [[조미미]] ([[1969년]])
{{글 숨김 끝}}

==== 1970년대 ====
{{글 숨김}}
* 《아씨》- [[이미자]] ([[1970년]])
* 《선생님》- [[조미미]] ([[1970년]])
* 《비 내리는 명동거리》- [[배호]] ([[1970년]])
* 《소양강 처녀》- [[김태희]] ([[1970년]])
* 《영시의 이별》- [[배호]] ([[1971년]])
* 《마지막 잎새》- [[배호]] ([[1971년]])
* 《가지마오》- [[나훈아]] ([[1971년]])
* 《정》- 박일남 ([[1971년]])
* 《바다가 육지라면》- [[조미미]] ([[1971년]])
* 《먼데서 오신 손님》- [[조미미]] ([[1971년]])
* 《마음이 고와야지》- [[남진 (가수)|남진]] ([[1971년]])
* 《물새 한 마리》- [[하춘화]] ([[1971년]])
* 《돌아와요 부산항에》- [[조용필]] ([[1972년]])
* 《낭주골 처녀》- [[이미자]] ([[1972년]])
* 《단골손님》- [[조미미]] ([[1972년]])
* 《여로》- [[이미자]] ([[1972년]])
* 《공항의 이별》- [[문주란]] ([[1972년]])
* 《젊은 초원》- [[남진 (가수)|남진]] ([[1972년]])
* 《님과 함께》- [[남진 (가수)|남진]] ([[1972년]])
* 《고향역》- [[나훈아]] ([[1972년]])
* 《영암 아리랑》- [[하춘화]] ([[1972년]])
* 《하동포구 아가씨》- [[하춘화]] ([[1972년]])
* 《고향이 좋아》- [[김상진]] ([[1972년]])
* 《알고 계세요》- [[하춘화]] ([[1973년]])
* 《공항 대합실》- [[문주란]] ([[1973년]])
* 《흙에 살리라》- 홍세민 ([[1973년]])
* 《그대여 변치마오》- [[남진 (가수)|남진]] ([[1973년]])
* 《물레방아 도는데》- [[나훈아]] ([[1973년]])
* 《서귀포를 아시나요》- [[조미미]] ([[1973년]])
* 《난생 처음》- [[하춘화]] ([[1974년]])
* 《김포가도》- [[남진 (가수)|남진]] ([[1974년]])
* 《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남진 (가수)|남진]] ([[1974년]])
* 《연락선》- [[조미미]] ([[1975년]])
* 《각시와 신랑》- [[남진 (가수)|남진]] ([[1975년]])
* 《우리 사이》- [[하춘화]] ([[1975년]])
* 《오동잎》- [[최헌]] ([[1975년]])
* 《나를 두고 아리랑》- [[김훈]] ([[1975년]])
* 《해뜰날》- [[송대관]] ([[1975년]])
* 《너무합니다》- [[김수희]] ([[1976년]])
* 《앵두》- [[최헌]] ([[1977년]])
* 《모정》- [[이미자]] ([[1977년]])
* 《안개 속의 두 그림자》- [[함중아]] ([[1977년]])
* 《내게도 사랑이》- [[함중아]] ([[1977년]])
* 《사랑만은 않겠어요》- [[윤수일]] ([[1977년]])
* 《애정이 꽃피던 시절》- [[나훈아]] ([[1977년]])
* 《구름나그네》- [[최헌]] ([[1977년]])
* 《난 정말 몰랐었네》- 최병걸 ([[1978년]])
* 《우연히 정들었네》- [[박우철]] ([[1978년]])
* 《그 때 그 사람》- [[심수봉]] ([[1978년]])
* 《타국에 계신 아빠에게》- [[현숙]] ([[1979년]])
* 《어차피 떠난 사람》- [[한민]] ([[1979년]])
* 《연안부두》- 김트리오 ([[1979년]])
* 《순아》- [[최헌]] ([[1979년]])
{{글 숨김 끝}}

==== 1980년대 ====
{{글 숨김}}
* 《당신은 누구시길래》- [[심수봉]] ([[1980년]])
* 《대동강 편지》- [[나훈아]] ([[1981년]])
* 《일편단심 민들레야》- [[조용필]] ([[1981년]])
* 《항구》- [[정재은 (가수) |정재은]] ([[1981년]])
* 《정거장》- [[김수희]] ([[1981년]])
* 《진정인가요》- [[김연자]] ([[1982년]])
* 《부산 갈매기》- [[문성재]] ([[1982년]])
* 《멍에》- [[김수희]] ([[1982년]])
* 《빈잔》- [[남진 (가수)|남진]] ([[1982년]])
* 《사랑은 나비인가봐》- [[현철 (가수)|현철]] ([[1982년]])
* 《울긴 왜 울어》- [[나훈아]] ([[1983년]])
* 《18세 순이》- [[나훈아]] ([[1983년]])
* 《미워 미워 미워》- [[조용필]] ([[1983년]])
* 《잃어버린 30년》- [[설운도]] ([[1983년]])
* 《못잊겠어요》- [[김수희]] ([[1983년]])
* 《잃어버린 정》- [[김수희]] ([[1984년]])
* 《수은등》- [[김연자]] ([[1984년]])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심수봉]] ([[1984년]])
* 《나침반》- [[설운도]] ([[1984년]])
* 《물레야》- [[김지애]] ([[1985년]])
* 《허공》 - [[조용필]] ([[1985년]])
* 《비 내리는 영동교》- [[주현미]] ([[1985년]])
* 《울면서 후회하네》- [[주현미]] ([[1985년]])
* 《남행열차》- [[김수희]] ([[1986년]])
* 《첫차》- 서울시스터즈 ([[1986년]])
* 《첫정》- [[주현미]] ([[1986년]])
* 《눈물의 부르스》- [[주현미]] ([[1986년]])
* 《원점》- [[설운도]] ([[1986년]])
* 《무명초》- [[김지애]] ([[1987년]])
* 《사랑밖엔 난 몰라》- [[심수봉]] ([[1987년]])
*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최진희]] ([[1987년]])
* 《천방지축》- [[문희옥]] ([[1987년]])
* 《내 마음 별과 같이》- [[현철 (가수)|현철]] ([[1987년]])
* 《무시로》- [[나훈아]] ([[1988년]])
* 《미워요》- [[심수봉]] ([[1988년]])
* 《사랑의 자리》- [[염수연]] ([[1988년]])
* 《신사동 그 사람》- [[주현미]] ([[1988년]])
* 《봉선화 연정》- [[현철 (가수)|현철]] ([[1988년]])
* 《혼자랍니다》- [[송대관]] ([[1988년]])
* 《미스 고》- 이태호 ([[1988년]])
* 《갈무리》- [[나훈아]] ([[1989년]])
* 《짝사랑》- [[주현미]] ([[1989년]])
* 《칠갑산》- [[주병선]] ([[1989년]])
* 《간데요 글쎄》- 이태호 ([[1989년]])
* 《정 때문에》- [[송대관]] ([[1989년]])
* 《옥경이》- [[태진아]] ([[1989년]])
* 《미움인지 그리움인지》- [[나미]] ([[1989년]])
* 《얄미운 사람》- [[김지애]] ([[1989년]])
* 《사랑의 거리》- [[문희옥]] ([[1989년]])
* 《미련때문에》- [[최진희]] ([[1989년]])
{{글 숨김 끝}}

==== 1990년대 ====
{{글 숨김}}
* 《날버린 남자》- [[하춘화]] ([[1990년]])
* 《잠깐만》- [[주현미]] ([[1990년]])
* 《몰래한 사랑》- [[김지애]] ([[1990년]])
* 《서울탱고》- [[방실이]] ([[1990년]])
* 《거울도 안보는 여자》- [[태진아]] ([[1990년]])
* 《돌팔매》- [[오은주]] ([[1990년]])
* 《정에 약한 남자》- [[고영준 (가수)|고영준]] ([[1990년]])
* 《날이 날이 갈수록》- [[이영화 (가수)|이영화]] ([[1990년]])
* 《몇 미터 앞에 두고》- [[김상배]] ([[1990년]])
* 《당신》- [[김정수 (가수)|김정수]] ([[1991년]])
* 《여자야》- [[유현상]] ([[1991년]])
* 《안돼요 안돼》- [[김상배]] ([[1991년]])
* 《서울여자》- [[김수희]] ([[1991년]])
* 《다함께 차차차》- [[설운도]] ([[1991년]])
* 《타타타》- [[김국환]] ([[1991년]])
* 《성은 김이요》- [[문희옥]] ([[1991년]])
* 《부초》- [[박윤경]] ([[1991년]])
* 《사는게 뭔지》- [[이무송]] ([[1992년]])
* 《노란 손수건》- [[태진아]] ([[1992년]])
* 《또 만났네요》- [[주현미]] ([[1992년]])
* 《여자 여자 여자》- [[설운도]] ([[1992년]])
* 《찬찬찬》- [[편승엽]] ([[1992년]])
* 《차표 한장》- [[송대관]] ([[1992년]])
* 《바보같은 여자》- [[김혜연]] ([[1993년]])
* 《카스바의 여인》- [[윤희상 (가수)|윤희상]] ([[1993년]])
* 《도로남》- 김명애 ([[1993년]])
* 《세상은 요지경》- [[신신애]] ([[1993년]])
* 《신토불이》- [[배일호]] ([[1993년]])
* 《갈색추억》- [[한혜진 (가수) |한혜진]] ([[1993년]])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김혜연]] ([[1994년]])
* 《서울 평양 반나절》- [[김혜연]] ([[1994년]])
* 《삼각관계》- [[강진 (가수)|강진]] ([[1994년]])
* 《해변의 첫사랑》- [[문희옥]] ([[1994년]])
* 《비나리》- [[심수봉]] ([[1994년]])
* 《낭만에 대하여》- [[최백호]] ([[1995년]])
* 《장녹수》- [[전미경]] ([[1995년]])
* 《간 큰 남자》- [[김혜연]] ([[1995년]])
* 《사랑하는 영자씨》- [[현숙]] ([[1995년]])
* 《고향이 남쪽이랬지》- [[송대관]] ([[1995년]])
* 《찰랑찰랑》- [[이자연 (가수)|이자연]] ([[1995년]])
* 《쌈바의 여인》- [[설운도]] ([[1995년]])
* 《꽃바람 여인》- [[조승구]] ([[1996년]])
* 《공주는 외로워》- 故 [[김자옥]] ([[1996년]])
* 《마지막 연인》- [[한혜진 (가수) |한혜진]] ([[1996년]])
* 《당돌한 여자》- [[서주경]] ([[1996년]])
* 《예쁜 여우》- [[김혜연]] ([[1996년]])
* 《서울, 평양 반나절》- [[김혜연]] ([[1996년]])
* 《요즘 여자 요즘 남자》- [[현숙]] ([[1997년]])
* 《남자라는 이유로》- [[조항조]] ([[1997년]])
* 《고개숙인 남자》- [[안혜지 (가수) |안혜지]] ([[1998년]])
* 《네 박자》- [[송대관]] ([[1998년]])
* 《사랑의 이름표》- [[현철 (가수)|현철]] ([[1998년]])
* 《인생》- [[김성환 (1950년) |김성환]] ([[1998년]])
* 《장모님》- [[배일호]] ([[1998년]])
* 《서울의 밤》- [[한혜진 (가수)|한혜진]] ([[1999년]])
* 《꽃을 든 남자》- [[최석준]] ([[1999년]])
* 《화살을 쏘고 간 남자》- [[안다미]] ([[1999년]])
* 《해바라기꽃》- [[전미경]] ([[1999년]])
{{글 숨김 끝}}

==== 2000년대 ====
{{글 숨김}}
* 《정열의 꽃》- [[김수희]] ([[2000년]])
* 《둥지》- [[남진 (가수)|남진]] ([[2000년]])
* 《러브레터》- [[주현미]] ([[2000년]])
* 《사랑은 아무나 하나》- [[태진아]] ([[2000년]])
* 《혼자 사는 여자》 - [[이혜리 (1967년) |이혜리]] ([[2000년]])
* 《외로운 여자》- [[조승구]] ([[2000년]])
* 《어디갔을까》- [[서지오]] ([[2000년]])
* 《저 하늘 별을 찾아》- [[유지나 (가수)|유지나]] ([[2001년]])
* 《친구에서 애인으로》- [[현숙]] ([[2001년]])
* 《잘났어 정말》- [[태진아]] ([[2001년]])
* 《상심》- [[한혜진 (가수) |한혜진]] ([[2001년]])
* 《있을때 잘해》- [[오승근]] ([[2001년]])
* 《당신때문에》- [[배일호]] ([[2001년]])
* 《자옥아》- [[박상철 (가수) |박상철]] ([[2001년]])
* 《럭키》- [[박주희 (가수) |박주희]] ([[2001년]])
* 《그 사람이 그사람》- [[송대관]] ([[2001년]])
* 《내 영혼의 남자》- [[한혜진 (가수) |한혜진]] ([[2001년]])
* 《사랑은 장난이 아니야》- [[태진아]] ([[2002년]])
* 《사랑의 포로》- [[오은주]] ([[2002년]])
* 《오빠는 잘 있단다》- [[현숙]] ([[2002년]])
* 《아미새》- [[현철 (가수)|현철]] ([[2002년]])
* 《사랑이 무어냐》- [[송대관]] ([[2002년]])
* 《그대를 사랑해》- [[김혜연]] ([[2002년]])
* 《꽃보다 아름다운 너》- [[배일호]] ([[2002년]])
* 《떠날 수 없는 당신》- [[김상배]] ([[2003년]])
* 《정말 좋았네》- [[주현미]] ([[2003년]])
* 《유행가》- [[송대관]] ([[2003년]])
* 《빠이 빠이야》- [[소명 (가수)|소명]] ([[2003년]])
* 《너는 내 남자》- [[한혜진 (가수) |한혜진]] ([[2003년]])
* 《사랑의 밧줄》- [[김용임]] ([[2003년]])
* 《유리구두》- [[김혜연]] ([[2004년]])
* 《춤추는 탬버린》- [[현숙]] ([[2004년]])
* 《아카시아》- [[서지오]] ([[2004년]])
* 《사는 동안》- 이태호 ([[2004년]])
* 《춘자야》- [[설운도]] ([[2004년]])
* 《어머나》- [[장윤정]] ([[2004년]])
* 《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 [[하동진]] ([[2004년]])
* 《짠짜라》- [[장윤정]] ([[2005년]])
* 《고장난 벽시계》- [[나훈아]] ([[2005년]])
* 《우연히》- [[우연이]] ([[2005년]])
* 《자기야》- [[박주희 (가수) |박주희]] ([[2005년]])
* 《무조건》- [[박상철 (가수) |박상철]] ([[2005년]])
* 《어허라 사랑》- [[주현미]] ([[2006년]])
* 《만약에》- [[조항조]] ([[2006년]])
* 《별난 사람》- [[최유나]] ([[2006년]])
* 《아줌마》- [[태진아]] ([[2006년]])
* 《이따, 이따요》- [[장윤정]] ([[2006년]])
* 《곤드레 만드레》- [[박현빈]] ([[2006년]])
* 《월화수목금토일》- [[현숙]] ([[2006년]])
* 《콕 박힌 그대》- [[오은주]] ([[2006년]])
* 《사랑에 한 표 던진다》- [[현숙]] ([[2007년]])
* 《쓰러집니다》- [[서주경]] ([[2007년]])
* 《소문난 사랑》- [[김혜연]] ([[2007년]])
* 《황진이》- [[박상철 (가수) |박상철]] ([[2007년]])
* 《오빠만 믿어》- [[박현빈]] ([[2007년]])
* 《사랑한다》- [[주현미]], [[조PD]] ([[2008년]])
* 《참아주세요》- [[김혜연]] ([[2008년]])
* 《그대는 내사랑》 - [[현숙]] ([[2008년]])
* 《아리아리요》- [[주병선]] ([[2008년]])
* 《샤방샤방》- [[박현빈]] ([[2008년]])
* 《안동역에서》- [[진성 (가수)|진성]] ([[2008년]])
* 《잠자는 공주》- [[신유 (가수)|신유]] ([[2008년]])
* 《시계바늘》- [[신유 (가수)|신유]] ([[2008년]])
* 《사랑하니까》- [[김정연 (가수) |김정연]] ([[2008년]])
* 《가요 가세요》- [[서지오]] ([[2008년]])
* 《천년지기》- [[유진표]] ([[2008년]])
* 《딱이야》- [[성진우]] ([[2009년]])
* 《짜라자짜》- [[주현미]], [[서현 (가수)|서현]] ([[2009년]])
* 《거짓말》- [[조항조]] ([[2009년]])
* 《하니하니》- [[서지오]] ([[2009년]])
* 《사랑의 배터리》- [[홍진영]] ([[2009년]])
* 《잡지마》- [[문연주]] ([[2009년]])
* 《고추》- [[유지나]] ([[2009년]])
* 《일편단심》- [[금잔디 (가수)|금잔디]] ([[2009년]])
{{글 숨김 끝}}

==== 2010년대 ====
{{글 숨김}}
* 《신 사랑 고개》- [[금잔디 (가수) |금잔디]] ([[2010년]])
* 《초혼》- [[장윤정]] ([[2010년]])
* 《정기적금》- [[김다나]] ([[2010년]])
* 《얼쑤》- [[윙크 (음악 그룹)|윙크]] ([[2010년]])
* 《뿐이고》- [[박구윤]] ([[2010년]])
* 《마지막은 나와 함께》- [[김혜연]] ([[2010년]])
* 《당신만》- [[우연이]] ([[2010년]])
* 《바로 내 남자》-[[백수정 (가수)|백수정]] ([[2011년]])
* 《여백》- [[주현미]] ([[2011년]])
* 《언니가 간다》- [[연지후]] ([[2011년]])
* 《추억속으로》- [[설운도]] ([[2011년]])
* 《딩동댕 정답입니다》- [[윤태화|정다비]] ([[2011년]])
* 《꽃물》- [[신유 (가수)|신유]] ([[2011년]])
* 《오라버니》- [[금잔디 (가수)|금잔디]] ([[2012년]])
* 《남자의 인생》- [[홍원빈]] ([[2012년]])
* 《미워도 미워도》- [[최유나]] ([[2012년]])
*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소명]] ([[2012년]])
* 《내 나이가 어때서》- [[오승근 (가수)|오승근]] ([[2012년]])
* 《왔구나 왔어》- [[장윤정]] ([[2013년]])
*《[[아모르 파티 (노래)|아모르 파티]]》 - [[김연자]]([[2013년]])
* 《이봐요》- [[문희옥]] ([[2013년]])
* 《몰랐네》- [[우연이]] ([[2013년]])
* 《[[남자는 말합니다]]》- [[장민호 (가수)|장민호]] ([[2013년]])
* 《일소일소 일노일노》- [[신유 (가수)|신유]] ([[2014년]])
* 《청풍명월》- [[금잔디 (가수)|금잔디]] ([[2014년]])
* 《빈깡통》- [[박상철 (가수) |박상철]] ([[2014년]])
* 《산다는 건》- [[홍진영]] ([[2014년]])
* 《사랑 꽃》- [[조항조]] ([[2014년]])
* 《천태만상》- [[윤수현 (1988년) |윤수현]] ([[2014년]])
* 《돼지토끼》 [[장윤정]] ([[2014년]])
* 《나무꾼》- [[박구윤]] ([[2015년]])
* 《인생팁》- [[현숙]] ([[2015년]])
* 《진진자라》- [[태진아]] ([[2015년]])
* 《반창고》- [[장윤정]] ([[2015년]])
* 《엄지 척》- [[홍진영]] ([[2016년]])
* 《누나가 딱이야》- [[영탁]] ([[2016년]])
* 《그 남자》- [[우연이]] ([[2016년]])
* 《쏟아집니다》- [[김가현 (가수)|김가현]] ([[2017년]])
* 《거기까지만》- [[송가인]] ([[2017년]])
* 《이별없는 부산정거장》- [[현숙]] ([[2017년]])
* 《건배송》- [[윤태화]] ([[2018년]])
* 《여기서》- [[서지오]] ([[2018년]])
* 《잘가라》- [[홍진영]] ([[2018년]])
* 《니가 왜 거기서 나와》- [[영탁]] ([[2018년]])
* 《사랑탑》- [[금잔디 (가수) |금잔디]] ([[2019년]])
* 《[[김치볶음밥]]》- [[현숙]] ([[2019년]])
* 《목포행 완행열차》- [[장윤정]] ([[2019년]])
* 《세월아》- [[장윤정]] ([[2019년]])
* 《사랑, 참》- [[장윤정]] ([[2019년]])
* 《주마등》- [[윤태화]] ([[2019년]])
* 《손가락 하트》- [[노지훈]] ([[2019년]])
* 《쏠까 말까》- [[윤태화]] ([[2019년]])
* 《무명배우》- [[송가인]] ([[2019년]])
* 《타요타요》- [[윤태화]] ([[2019년]])
* 《라밤바》- [[정미애]] ([[2019년]])
* 《여기요》- [[홍자 (가수) |홍자]] ([[2019년]])
{{글 숨김 끝}}

==== 2020년대 ====
{{글 숨김}}
* 《시치미》 - [[금잔디 (가수) |금잔디]] ([[2020년]])
* 《길》- [[우연이]] ([[2020년]])
* 《사랑..하시렵니까?》- [[전유진]] ([[2020년]])
* 《사랑은 꽃잎처럼》- [[홍진영]] ([[2020년]])
* 《남자의 일생》- [[백수정 (가수)|백수정]] ([[2020년]])
* 《마시던 커피로 주세요》- [[강수빈]] ([[2020년]])
* 《운명에게》- [[장윤정]] ([[2020년]])
* 《고향가는 기차를 타고》- [[태진아]] ([[2020년]])
* 《예쁨주의보》- [[두리 (가수) |두리]] ([[2020년]])
* 《소양강 봄바람》 - [[금잔디 (가수) |금잔디]] ([[2020년]])
* 《여인의 눈물》 - [[주현미]] ([[2020년]])
* 《세 번의 사랑》- [[주현미]] ([[2020년]])
* 《알랑가몰라》- [[소유미]] ([[2020년]])
* 《그대와》- [[소유미]] ([[2020년]])
* 《밥 한번 먹어요》- [[신유 (가수)|신유]] ([[2020년]])
* 《좋은 당신》- [[장윤정]] ([[2020년]])
* 《돌아오지 마세요》- [[주현미]] ([[2020년]])
* 《상심》- [[주현미]] ([[2020년]])
* 《길》- [[주현미]] ([[2020년]])
* 《금동아 은동아》- [[주현미]] ([[2020년]])
* 《바람이 되어》- [[주현미]] ([[2020년]])
* 《손님온다》- [[윤수현 (1988년) |윤수현]] ([[2020년]])
* 《남남으로》 - [[신유 (가수)|신유]] ([[2020년]])
* 《그 여자, 그 남자》- [[주현미]] ([[2020년]])
* 《천일홍》- [[주현미]] ([[2020년]])
* 《두 주먹》- [[임영웅]] ([[2020년]])
* 《찐이야》- [[영탁]] ([[2020년]])
* 《역쩐 인생》 - [[장민호 (가수) |장민호]] ([[2020년]])
* 《나는 남자다》- [[김희재 (가수) |김희재]] ([[2020년]])
* 《딱!풀!》- [[이찬원]] ([[2020년]])
* 《바람남》- [[김호중 (음악가) |김호중]] ([[2020년]])
* 《여백》- [[정동원]] ([[2020년]])
* 《이제 나만 믿어요》- [[임영웅]] ([[2020년]])
* 《마스크》- [[안성준 (가수) |안성준]] ([[2020년]])
* 《그대로 멈춰라》- [[김소연 (가수) |김소연]] ([[2020년]])
* 《압구정 신사》- [[김재욱 (희극인) |김재욱]] ([[2020년]])
* 《트로트가 나는 좋아요》- [[송가인]] ([[2020년]])
* 《확실합니다》- [[현숙]] ([[2020년]])
* 《공수레 공수거》- [[태진아]] ([[2021년]])
*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양지은]] ([[2021년]])
* 《오라》- [[홍지윤 (가수) |홍지윤]] ([[2021년]])
* 《인연이여 슬펐노라》- [[김다현 (가수) |김다현]] ([[2021년]])
* 《오세요》- [[김태연 (국악인) |김태연]] ([[2021년]])
* 《도찐개찐》- [[김의영 (가수) |김의영]] ([[2021년]])
* 《티키타카》- [[은가은]] ([[2021년]])
* 《돋보기》- [[별사랑]] ([[2021년]])
* 《사는 맛》- [[양지은]] ([[2021년]])
* 《찍고찍고찍고》- [[윤태화]] ([[2021년]])
* 《척하면 척》- [[강혜연]] ([[2021년]])
* 《따라 따라와》- [[김희재 (가수) |김희재]] ([[2021년]])
* 《[[사는 게 그런 거지]]》- [[장민호 (가수) |장민호]] ([[2021년]])
* 《강남제비》- [[김혜연]] ([[2021년]])
* 《물망초》- [[정동원]] ([[2021년]])
* 《그냥웃자》- [[김다현 (가수) |김다현]] ([[2021년]])
* 《꽃 구경》- [[김태연 (국악인) |김태연]] ([[2021년]])
* 《남이가》- [[서지오]] ([[2021년]])
* 《천년사랑》- [[김가현 (가수)|김가현]] ([[2021년]])
* 《척하면 척이지》- [[윤서령]] ([[2021년]])
* 《고맙고 미안한 내사람》- [[장민호 (가수) |장민호]] ([[2022년]])
* 《당신은 명작》- [[금잔디 (가수) |금잔디]] ([[2022년]])
* 《비 내리는 금강산》- [[송가인]] ([[2022년]])
* 《사랑의 여왕》- [[홍지윤 (가수) |홍지윤]] ([[2022년]])
* 《놀아나보세》- [[별사랑]] ([[2022년]])
* 《내사랑 바보》- [[황우림]] ([[2022년]])
* 《짠짠짠》- [[김희재 (가수) |김희재]] ([[2022년]])
* 《님이라 남이라》- [[박상철 (가수) |박상철]] ([[2022년]])
* 《Viva La Vida》 - [[홍진영]] ([[2022년]])
* 《나비소녀》- [[윤서령]] ([[2022년]])
* 《그 정 때문에》- [[양지은]] ([[2022년]])
* 《나는 당신이 좋다》- [[배일호]] ([[2022년]])
* 《다시 또》- [[윤태화]] ([[2023년]])
* 《풍등》- [[이찬원]] ([[2023년]])
* 《싹가능》- [[안성준 (가수) |안성준]] ([[2023년]])
* 《콕콕콕》- [[나상도]] ([[2023년]])
* 《단짠》- [[진해성]] ([[2023년]])
* 《메아리》- [[송민준]] ([[2023년]])
* 《조선의 남자》- [[최수호 (가수) |최수호]] ([[2023년]])
* 《재충전》- [[박구윤]] ([[2023년]])
* 《퐁당퐁당》- [[별사랑]] ([[2023년]])
* 《사랑은 달달하게》- [[현숙]] ([[2023년]])
* 《맏내딸》- [[은가은]] ([[2023년]])
* 《연정》- [[양지은]] ([[2023년]])
* 《디스코》- [[강혜연]] ([[2024년]])
* 《럭키》- [[조정민 (가수) |조정민]] ([[2024년]])
* 《니나노》- [[윤수현 (1988년) |윤수현]] ([[2024년]])
* 《십리벚꽃길》- [[별사랑]] ([[2024년]])
* 《공작새》- [[박혜신]] ([[2024년]])
* 《그대가 오는 밤》- [[두리 (가수) |두리]] ([[2024년]])
* 《몽당연필》- [[마이진 (1986년) |마이진]] ([[2024년]])
* 《칭찬 고래》- [[김다현 (가수) |김다현]] ([[2024년]])
* 《달맞이 꽃》- [[전유진]] ([[2024년]])
* 《나는 꽃이 되었습니다》- [[류원정 (가수) |류원정]] ([[2024년]])
* 《이야》- [[린 (가수) |린]] ([[2024년]])
* 《사랑 그 잡채》- [[마리아 리스]] ([[2024년]])
* 《바람의 연가》- [[김양 (가수) |김양]] ([[2024년]])
* 《찔레꽃 피면》- [[김산하]] ([[2024년]])
* 《사랑학개론》- 정슬 ([[2024년]])
* 《OK》- [[김소연 (가수) |김소연]] ([[2024년]])
* 《홍실》- 미스김 ([[2024년]])
* 《100일》- [[배아현]] ([[2024년]])
* 《99881234》- [[나영 (2004년) |나영]] ([[2024년]])
* 《바람 바람아》- [[정서주]] ([[2024년]])
* 《맘마미아》- 빈예서 ([[2024년]])
* 《예쁘잖아》- [[오유진 (가수) |오유진]] ([[2024년]])
* 《아라리요》- [[윤서령]] ([[2024년]])
* 《아잉》- [[곽지은]] ([[2024년]])
{{글 숨김 끝}}

== 같이 보기 ==
* [[음악 장르]]

== 주해 ==
{{각주|group=참고}}

== 각주 ==
<references />

[[분류:트로트]]
[[분류:한국의 음악 장르]]

2024년 3월 23일 (토) 13:51 판

트로트(영어: Trot)는 대한민국음악 장르이다. 정형화된 반복적인 리듬과 펜타토닉 스케일 음계(오음음계), 그리고 한국 민요의 영향을 받은 떠는 창법이 특징이다. 또한 트로트는 미국의 춤곡인 폭스트롯(영어: Foxtrot)이 어원[참고 1]이며, 한국, 일본, 미국, 그리고 유럽 국가들의 다양한 음악들이 혼합하여 탄생했다[2].

역사

일제 강점기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 초창기에 있어서는 《사의 찬미》(1926)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1927, 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이나 《세동무》(1928)의 채동원, 《암로(暗路)》(1930)의 김연실, 그리고 《봄노래 부르자》(1930, 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등이 대표적인 가수였다. 한편 일본 엔카의 번역·번안 노래도 유입해서 1930년대 중반에 대중가요의 양식으로 정착된 것이 트로트다[4]. 특히 ‘라시도미파’의 단조 5음계를 사용하거나, ‘도레미솔라’의 장조

  1. “트로트”.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 2022년 5월 25일에 확인함. 
  2. Lie, John (2014). 《K-Pop: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쪽. doi:10.1017/S0021911815001424. 
  3. “대중가요(大衆歌謠)”.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 2022년 5월 22일에 확인함. 
  4. “트로트”.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 2022년 5월 25일에 확인함. 


인용 오류: "참고"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참고"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