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가위개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2번째 줄: 2번째 줄:


== 군체의 생활 주기 ==
== 군체의 생활 주기 ==

=== 생식과 군체 형성 ===
[[파일:Atta colombica queen.jpg|썸네일|에타 콜롬비카(''Atta colombica'')의 여왕과 일개미가 둥지에 있는 모습]]
수개미와 암개미들은 [[혼인 비행]]에 참가하는데, 가위개미의 혼인비행을 특별히 '레보아다'(''revoada'')라고 한다.각 암개미는 여러마리의 수개미와 짝짓기를 하는데, 이는 무리 형성에 필요한 3억개의 정자를 얻기 위해서이다.<ref name="Extraordinary_Animals" >{{서적 인용 |제목=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이름=Ross |성=Piper |연도=2007 |쪽=298 |isbn=0313339228 |출판사=Greenwood Press }}</ref>

땅에 도착하면 암개미는 날개를 떼고 무리 형성에 적당한 땅을 찾아 무리를 형성한다. 땅에 도착한 암개미의 무리 형성 성공률은 2.5%로, 다른 개미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낮다. '식용 균류'의 '농장'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암개미들은 입에 균류의 포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잎에 뿌려서 균류를 발생시킨다.<ref name="Gardening_Ants,_The_Attines" >{{서적 인용 |제목= Gardening Ants |이름=Neal A. |성=Weber |연도=1972 |쪽=14, 34 |isbn=0871690926 |출판사=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ref>


사슴벌레
사슴벌레

2021년 10월 24일 (일) 21:14 판

사슴풍뎅이

군체의 생활 주기

사슴벌레

개미-균 상리공생

가위개미의 사회는 개미-균 공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가위개미 종마다 사육하는 균의 종이 다르나 모두 레피오타세네과 (Lepiotaceae)에 속한다. 개미들은 이 균들을 활발히 사육하는데, 매일 신선한 식물성 먹이를 주고, 해충 등이 다가오는 것을 막아준다. 이런 상리공생은 어떤 박테리아에 의해서 더욱 발전하게 되는데, 이 박테리아는 개미의 몸에 천연항생제를 만들어준다. 가위개미들은 균이 새로운 식물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감지해낼 수 있다. 그래서 만약 어떤 식물이 균에 해롭다고 밝혀지면 무리는 더이상 그 식물을 수집하지 않는다. 결국, 균은 개미들이 있어야 살 수 있으며, 개미의 애벌레들은 균이 있어야 생존할 수 있다.[1]

폐물 처리

에타 콜럼비카(Atta colombica)의 일개미들이 일하고 있는 모습.
두 마리의 가위개미
코스타리카의 가위개미

가위개미들은 균류 농장에서 나오는 폐물의 처리에 대해 매우 명확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폐물 처리가 무리의 생존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에스코봅시스(Escovopsis)는 가위개미들의 균류 농장을 위협하므로 가위개미 무리에 대한 지속적 위험이 된다. 폐물 운반과 처리에 종사하는 개미들은 주로 나이가 들고 죽어도 덜 아까운 개미들로 배치하며, 더 건강하고 어린 개미들은 균류 농장에서 종사한다. 폐물 운반 개미들은 폐물(균 찌꺼기 등)을 폐물더미에 가져다 놓는다. 그렇게 폐물이 폐물더미에 도착하면, 폐물 처리 개미들이 이를 정리하여 폐물 운반 개미들이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한다. 에타 콜롬비카의 개미들은 죽은 일개미들도 폐물더미 주변에 쌓아놓는다고 한다.[2][3]

이런 폐물 처리와 동시에 '엑티노박테리아'(Actinobacteria)는 에스코봅시스의 증식을 막아준다. 엑티노박테리아는 그 개미의 뒷가슴옆판의 분비샘에 서식한다.[4] 엑티노박테리아는 현재 세계의 여러 항생제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기생 관계

잎 수집

개미들이 잎을 수집하고 있을 때, 기생파리에 의해 공격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기생파리는 일개미의 머리의 관절에 산란관을 꽂아서 알을 낳는다. 대체로 정원사 개미나 소형개미가 지키면서 기생파리의 공격을 방지해준다. 또한 앞서 설명한 에스코봅시스는 개미 군체에 매우 해로우며 개미의 균 농장을 완전히 망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에스코봅시스는 무리 형성 초기에는 6.6%의 무리에서 사육되고 있었다.[5] 그러나, 1~2년 된 가위개미 무리는 약 60%에서 에스코봅시스가 자라고 있었다.[6]

각주

  1. Sunjian, A. “What are leafcutter ants?”. 《The Lurker's Guide to Leafcutter Ants》. blueboard.com. 2012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30일에 확인함. 
  2. Hart, A. G.; Ratnieks, F. L. W. (2002년). “Waste management in the leaf-cutting ant Atta colombica”. 《Behavioural Ecology》 13 (2): 224~231쪽. doi:10.1093/beheco/13.2.224. 
  3. Bot, A. N. M.; Currie, C. R.; Hart, A. G.; Boomsma, J. J. (2001년). “Waste Management in Leaf-cutting Ants”. 《Ethology Ecology and Evolution》 13 (3): 225~237쪽. 
  4. Zhang, M. M.; Poulsen, M.; Currie, C. R. (2007년). “Symbiont recognition of mutualistic bacteria by Acromyrmex leaf-cutting ants”. 《The ISME Journal》 1 (4): 313~320쪽. doi:10.1038/ismej.2007.41. .
  5. Currie, C. R.; Mueller, U. G.; Malloch, D. (1999년). “The agricultural pathology of ant fungus gardens”. 《PNAS》 96 (14): 7998~8002. 
  6. Reynolds, H. T.; Currie, C. R. (2004년). “Pathogenicity of Escovopsis weberi: The parasite of the attine ant-microbe symbiosis directly consumes the ant-cultivated fungus”. 《Mycologia》 96 (5): 955–959.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가위개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