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도움말:오토위키브라우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로그인: + 정책에 맞게 반영, 한국어화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태그: m 모바일 웹
44번째 줄: 44번째 줄:
|1 = [[Image:003 AWB illustrations for AWB manual.png]]
|1 = [[Image:003 AWB illustrations for AWB manual.png]]
}}
}}
가운데 코너로 넘어가봅시다. More.. 탭에서, Append/Prepend text 기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ppend는 문서 맨 아래에 끼워넣기, Prepend는 문서 맨 위에 끼워넣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code><nowiki>{{분류 필요}}</nowiki></code>는 문서 맨 위에 넣는게 원칙이므로 Prepend를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Enabled 옆에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Prepend''' 옆에 있는 Radiobox(동그라미 버튼)를 누릅시다. 그 다음, 텍스트 창(Contains) 밑의 Regex(정규 표현식 사용)를 누릅니다. 활성화된 텍스트 창에는 <code><nowiki>\{\{( ?분류 ?필요 ?| ?동음이의어?) ?\}\}|\[\[ ?(분류|Category):.*\]\]</nowiki></code>를 삽입합니다. 이를 삽입하는 이유는 아래 예시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밑에 Use 2 newlines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은 '''엔터를 2번 누른 효과'''와 같습니다.
가운데 코너로 넘어가봅시다. More.. 탭에서, Append/Prepend text 기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ppend는 문서 맨 아래에 끼워넣기, Prepend는 문서 맨 위에 끼워넣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code><nowiki>{{분류 필요}}</nowiki></code>는 문서 맨 위에 넣는게 원칙이므로 Prepend를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Enabled 옆에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Prepend''' 옆에 있는 Radiobox(동그라미 버튼)를 누릅시다. 그 다음, 텍스트 창(Contains) 밑의 Regex(정규 표현식 사용)를 누릅니다. 활성화된 텍스트 창에는 <code><nowiki>{{분류 필요}}</nowiki></code>를 삽입합니다. 이를 삽입하는 이유는 아래 예시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밑에 Use 2 newlines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은 '''엔터를 2번 누른 효과'''와 같습니다.


More.. 옆옆 탭인 Skip 탭으로 넘어갑니다. Text 기능에서 Contains의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code><nowiki>{{분류 필요}}</nowiki></code>를 삽입합니다. Skip의 기능은 '''이런 조건을 가진 문서면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Text Contains에 넣은 문구가 의미하는 것은, 이러한 텍스트가 문서 내에 있다면 그 문서를 건너뛴다는 의미가 됩니다. 맨 밑에 Page 기능에서 Doesn't exist는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과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추가적으로 가운데 General skip options에서 Page is in use (현재 누군가 편집 중인 페이지 건너뜀) 도 체크합니다.
More.. 옆옆 탭인 Skip 탭으로 넘어갑니다. Text 기능에서 Contains의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code><nowiki>{{분류 필요}}</nowiki></code>를 삽입합니다. Skip의 기능은 '''이런 조건을 가진 문서면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Text Contains에 넣은 문구가 의미하는 것은, 이러한 텍스트가 문서 내에 있다면 그 문서를 건너뛴다는 의미가 됩니다. 맨 밑에 Page 기능에서 Doesn't exist는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과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추가적으로 가운데 General skip options에서 Page is in use (현재 누군가 편집 중인 페이지 건너뜀) 도 체크합니다.

2020년 9월 5일 (토) 23:50 판

이 문서는 오토위키브라우저의 로그인 방법과 간단한 사용법을 다룹니다. 오토위키브라우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백:봇 정책을 준수해야 합니다.

시작 파라미터

오토위키브라우저는 시작 파라미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 오토위키브라우저는 특정 설정 파일을 불러오거나 특정 프로필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

  • /s "file.xml" /s 명령어는 만약 오토위키브라우저 폴더에 특정 설정 파일이 있다면 그것을 불러옵니다. 큰 따옴표 안에는 반드시 파일 이름이 들어가야 합니다.
  • /u int /u 명령어는 사용자 이름이나 프로필 리스트에 있는 번호 중 특정한 사용자 프로필을 불러오고, 그 사용자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하려는 사용자가 당연히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비밀번호가 무엇인지에 대해 추가적인 질문이 요구됩니다.

AWB(AutoWIkiBrowser)에서 필요한 것들을 작성하기 위해, 이런 명령어와 파라미터 끝에는 다른 명령어를 덧붙일 수 있습니다. 예로 들어:

C:\pathtoAWB\AutoWikiBrowser.exe /s "test.xml"
C:\pathtoAWB\AutoWikiBrowser.exe /u 1
C:\pathtoAWB\AutoWikiBrowser.exe /s "test.xml" /u "Jimbo Wales"
C:\pathtoAWB\AutoWikiBrowser.exe /u "Jimbo Wales" /s "test.xml"

로그인

Options 메뉴 → Preferences 버튼을 누른 뒤, 새로 뜬 창의 General 옆에 Site 탭을 주목해주세요. 여기서 Language를 en → ko로 바꾸고, OK를 눌러 영어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위키백과로 접속 경로를 바꿉니다.

로그인하기 위해, FIle 메뉴 → Login 버튼을 누르세요. 그러면 AWB 창 위에 표준 위키백과 로그인 창이 뜨게 될 겁니다. 봇 계정의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에 "Login" 을 눌러주세요.

  • AWB는 Internet Explorer의 브라우저 엔진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IE 로그인을 사용합니다. 다른 계정들을 갖고 있다면, IE로 들어가 위키백과를 로그아웃해야만 하며, 그 다음 AWB으로 다시 돌아와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만약 AWB를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2개의 다른 계정을 사용하고 싶다면, IE를 봇으로 사용하고 당신이 하고싶은 수동적인 작업(평상시 문서 편집)을 Firefox나 Chrome, Opera같은 브라우저에서 진행해주세요.

보안 프로토콜

HTTPS 프로토콜이 모든 Wikipedia 재단 (Wikipedia, 위키문헌, 위키신문 등)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기타 위키에서 편집중이라면, Site Preferences (사이트 설정)에서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게 끔 옵션이 제공됩니다.

2FA

Two-Facter Authentication으로 보호된 계정을 AWB에서 사용하기 위해, en:Wikipedia:Using AWB with 2FA를 읽어주세요.

(참고): Two-Facter Authentication은, 로그인 과정에서 평상시 처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그 다음 모바일 장치의 앱에서나 컴퓨터로 전송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분류 없는 문서에만 분류 필요 달아보기

예시 화면 보기

창 전체에서 아래 세 코너 중 맨 왼쪽에 Make list 코너가 있습니다. 거기서 Source를 New pages로 바꾸고, Make list 버튼을 누르면 최근에 생성된 문서들이 뜹니다. 이 문서들이 모두 지금 AWB에서 작업하게 될 문서가 됩니다. 단 특정 문서를 작업 대상에서 지우고 싶다면 해당 문서를 한 번 클릭하고 Remove 버튼을 누르세요. 여러 개의 연속적으로 나열된 문서를 지우고 싶다면 드래그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문서를 지우고 싶다면 문서 칸에 마우스 왼쪽버튼을 한 번 누르고 Ctrl + A를 눌러 모두 선택하고 지우면 됩니다. Remove 버튼을 대신해서 키보드의 Delete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예시 화면 보기

가운데 코너로 넘어가봅시다. More.. 탭에서, Append/Prepend text 기능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ppend는 문서 맨 아래에 끼워넣기, Prepend는 문서 맨 위에 끼워넣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분류 필요}}는 문서 맨 위에 넣는게 원칙이므로 Prepend를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Enabled 옆에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Prepend 옆에 있는 Radiobox(동그라미 버튼)를 누릅시다. 그 다음, 텍스트 창(Contains) 밑의 Regex(정규 표현식 사용)를 누릅니다. 활성화된 텍스트 창에는 {{분류 필요}}를 삽입합니다. 이를 삽입하는 이유는 아래 예시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밑에 Use 2 newlines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은 엔터를 2번 누른 효과와 같습니다.

More.. 옆옆 탭인 Skip 탭으로 넘어갑니다. Text 기능에서 Contains의 체크박스를 눌러 활성화시킨 뒤, {{분류 필요}}를 삽입합니다. Skip의 기능은 이런 조건을 가진 문서면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Text Contains에 넣은 문구가 의미하는 것은, 이러한 텍스트가 문서 내에 있다면 그 문서를 건너뛴다는 의미가 됩니다. 맨 밑에 Page 기능에서 Doesn't exist는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과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추가적으로 가운데 General skip options에서 Page is in use (현재 누군가 편집 중인 페이지 건너뜀) 도 체크합니다. 탭들 오른쪽에 있는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눌러 Bots 탭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Auto save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Max edits란, 봇이 최대로 할 편집의 수를 의미합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횟수에 0이 있다면 무제한의 횟수를 뜻합니다. AWB에서의 작업은 봇 정책에 따라 승인되지 않은 봇의 경우 한 작업에 60초 이상의 지연이 발생하게끔 해야합니다. 따라서 Delay [ 60 ] seconds between edits라고 초를 바꿔주세요.

마지막으로, 오른쪽의 Start 탭을 누릅니다. Default에는 편집 요약에 무엇을 쓸 것인지 적을 수 있습니다. Lock 버튼은 편집 요약이 중간에 바뀌지 않도록 고정시킵니다. Minor edit은 봇의 편집에 사소한 편집(m) 표시를 자동으로 넣습니다. 모든 설정이 끝났다면, Start 버튼을 눌러 작업을 시작합니다. 모든 작업이 끝났다면 자동으로 봇은 꺼지게 됩니다. 수동으로 끄고 싶다면 Stop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예시 화면 보기

Edit box에는, 정상적으로 작업이 되고 있다면 맨 위에 {{분류 필요}} 가 삽입된 위키텍스트화된 문서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탭들은 각각 문서의 역사(History), 문서를 링크하는 문서들(What links here), 봇의 작업 내역(Logs) 등을 보여줍니다.

예시 화면 보기

Regex가 잘 작동되는지 시험해보고 싶다면 상단 메뉴에 있는 Tools → Regex Tester를 클릭해서 AWB Regex Tester 창에서 시험해볼 수 있습니다.

정규 표현식 예시

경고: 예시는 예시일 뿐이지, 완벽한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이 아닙니다. 봇 동작 도중 예외가 생겼다면 그에 맞는 예외 처리가 필요합니다.

분류가 없는 문서인지 있는 문서인지 걸러주는 필터를 간단한 정규 표현식으로 만들어봅시다.

예시:\{\{( ?분류 ?필요 ?| ?동음이의어?) ?\}\}|\[\[ ?(분류|Category):.*\]\] (이를 Contains에 삽입합니다.)
문서 내용:


{{분류 필요}}

'''벨바'''는 다음을 의미한다.
* [[벨바 다넬]]: 미국의 컨트리, 팝 가수
* [[벨바 (노스다코타주)]]
* [[아쿠아 벨바]]: 남성 그루밍 제품 계열

{{동음이의}}
{{동음이의어}}
[[분류:가나]]
[[Category:가나다]]

결과:


{{분류 필요}}
{{동음이의}}
{{동음이의어}}
[[분류:가나]]
[[Category:가나다]]

결과와 같이, 5개의 경우 중 하나라도 발견되면 해당 문서는 통과 처리됩니다.

정규 표현식

? 물음표는 0번 또는 1차례까지의 발생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colou?r는 "color"와 "colour"를 둘 다 일치시킨다.
* 별표는 0번 이상의 발생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ab*c는 "ac", "abc", "abbc", "abbbc" 등을 일치시킨다.
+ 덧셈 기호는 1번 이상의 발생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ab+c는 "abc", "abbc", "abbbc" 등을 일치시키지만 "ac"는 일치시키지 않는다.
{n} 정확히 n 번만큼 일치시킨다.
{min,} "min"번 이상만큼 일치시킨다.
{min,max} 적어도 "min"번만큼 일치시키지만 "max"번을 초과하여 일치시키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