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자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유래와 용도를 더함
8번째 줄: 8번째 줄:


== 유래 ==
== 유래 ==
[[조선시대]]에는 보(褓)와 같은 음인 복(福)이 보자기를 이르는 말로 쓰였다.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쓰였다고도 한다. 특히 [[혼례]]에 쓰이는 수보에는 복락기원을 상징하는 문양을 새겨 전해주어, 단순히 물건을 싸는 도구가 아닌 타자와의 소통도구로서 내면의 마음을 싸는 도구로 쓰였다.<ref name=eo/>
계층의 구분없이 유용하게 널리 쓰인 이유로,
#사람을 정성껏 대하고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동양 예의 습성
#서민계층 주거공간 협소로 자리를 적게 차지하면서 용적이 큰 용구로 사용
#전통 민간 신앙적 측면에서 보자기에 복을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신


== 용도 ==
== 용도 ==

2013년 3월 9일 (토) 18:47 판

보자기

보자기한국말로 물건을 싸는 작은 천을 뜻하는 말이다. 보(褓)는 물건을 싸거나 덮어 씌우기 위해 네모나게 만든 으로, 특히 작은 보를 보자기라 부른다.[1]

가로 세로 크기는 보통 1m 정도이며, 팔 너비를 넘지 않는다.

예쁜 를 놓은 보자기는 수보(繡褓)라고 하며, 보자기에 물건을 싸서 꾸린 뭉치는 보따리라고 부른다.


유래

용도

전통적

  • 가리는 것
  • 덮는 것
  • 받치는 것
  • 장식하는 것
  • 신앙적인것

현대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간단한 선물을 싸거나, 직장을 옮길때 개인 사물을 쌀 때에도 주로 쓰인다.

같이 보기

주석

  1. 김은옥 (2009년 12월 28일). 《보자기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방법 연구》. 홍익대 미술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