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배꼽동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동맥에서 넘어옴)

배꼽동맥
태아 시기의 순환. 사진 왼쪽의 큰 빨간 혈관은 배꼽정맥이다. 배꼽동맥은 배꼽정맥 주위를 감고 있는 보라색의 혈관이다.
태반 순환의 그림.
정보
기원속엉덩동맥
가지위방광동맥
정관동맥
정맥배꼽정맥
식별자
라틴어arteria umbilicalis
영어umbilical artery
MeSHD014469
TA98A12.2.15.020
TA24316
TEE6.0.1.3.0.0.4
FMA18820

배꼽동맥[1](umbilical artery), 제동맥(臍動脈) 또는 제대동맥(臍帯動脈)은 복부골반 부위에서 발견되는 태아태반을 연결하는 동맥이다. 태아에서는 탯줄의 내부에 있다.

구조[편집]

발생기 구조[편집]

배꼽동맥은 태아로부터 태반으로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을 운반한다.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이지만 이 혈액은 태아 온몸순환의 동맥에서 나오는 혈액으로, 다른 태아 조직에 분배된 혈액과 같은 양의 산소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다. 탯줄에는 하나의 배꼽정맥과 두 개의 배꼽동맥이 함께 존재한다. 두 배꼽동맥은 방광을 둘러싸며 태아의 몸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태반으로 운반한다. 태반 안에서 두 배꼽동맥은 대략 탯줄이 닿는 곳에서 5mm 정도 떨어지는 지점에서 연결된다.[2] 그 후 배꼽동맥은 융모막동맥(chorionic arteries 또는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으로 갈라진다.[3]

배꼽동맥은 속엉덩동맥 앞갈래의 가지이다.[4] 태아의 다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운반하는 두 종류의 동맥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허파동맥이다.

배꼽동맥의 혈압은 대략 50mmHg이다.[5] 발생이 진행되며 혈관은 넓어지고 혈류 저항은 감소한다.[6]

발생 이후[편집]

출생 이후 배꼽동맥은 퇴화한다. 일부는 없어져 안쪽배꼽인대(요막관이 퇴화하고 남은 구조물인 정중배꼽인대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가 된다. 또 다른 일부는 속엉덩동맥의 앞갈래 가지로 남아 열린 상태로 존재하며, 골반에 위치하여 위방광동맥을 낸다. 남성의 경우 정관동맥도 낸다. 일부 사람들에서는 정관동맥에 아래방광동맥에서 나올 수 있다.

임상적 중요성[편집]

심각하게 아픈 아기의 배꼽동맥 중 하나에 카테터를 삽입해 혈액 검사를 위한 정맥천자를 시행할 수 있다.[7] 이런 방식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흔히 시행되는 처치로, 배꼽동맥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하는 출생 이후 2주 정도까지 종종 수행할 수 있다.[8] 약물을 주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7][9]

각주[편집]

  1.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umbilical+artery&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2. Gordon, Z.; Elad, D.; Almog, R.; Hazan, Y.; Jaffa, A. J.; Eytan, O. (2007). “Anthropometry of fetal vasculature in the chorionic plate”. 《Journal of Anatomy》 211 (6): 698–706. doi:10.1111/j.1469-7580.2007.00819.x. PMC 2375851. PMID 17973911. 
  3. Hsieh, FJ; Kuo, PL; Ko, TM; Chang, FM; Chen, HY (1991). “Doppler velocimetry of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 《Obstetrics and Gynecology》 77 (3): 478–82. PMID 1992421. 
  4. Adamson, S. Lee; Myatt, Leslie; Byrne, Bridgette M. P. (2004년 1월 1일), Polin, Richard A.; Fox, William W.; Abman, Steven H., 편집., “Chapter 72 - Regulation of Umbilical Blood Flow”,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Third Edition)》 (영어) (W.B. Saunders), 748–758쪽, doi:10.1016/b978-0-7216-9654-6.50075-8, ISBN 978-0-7216-9654-6,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5. Fetal and maternal blood circulation systems Archived 2017년 7월 4일 - 웨이백 머신 From Online course in embryology for medicine students. Universities of Fribourg, Lausanne and Bern (Switzerland). Retrieved on 6 April 2009
  6. Geipel, Annegret; Gembruch, Ulrich (2009년 1월 1일), Wladimiroff, Juriy W; Eik-Nes, Sturla H, 편집., “Chapter 11 - Evaluation of fetal and uteroplacental blood flow”,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영어) (Edinburgh: Elsevier), 209–227쪽, doi:10.1016/b978-0-444-51829-3.00011-8, ISBN 978-0-444-51829-3,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7. Bell, Edward F. (2011년 1월 1일), Goldsmith, Jay P.; Karotkin, Edward H., 편집., “27 - Nutritional Support”, 《Assisted Ventilation of the Neonate (Fif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466–483쪽, doi:10.1016/b978-1-4160-5624-9.00027-5, ISBN 978-1-4160-5624-9,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8. Durand, DAVID J.; Phillips, BARRY; Boloker, JUDD (2003년 1월 1일), Goldsmith, Jay P.; Karotkin, Edward H.; Siede, Barbara L., 편집., “Chapter 17 - BLOOD GASES: Technical Aspects and Interpretation”, 《Assisted Ventilation of the Neonate (Fourth Edition)》 (영어) (W.B. Saunders), 279–292쪽, doi:10.1016/b978-0-7216-9296-8.50022-2, ISBN 978-0-7216-9296-8,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9. Wald, Samuel H.; Mendoza, Julianne; Mihm, Frederick G.; Coté, Charles J. (2019년 1월 1일), Coté, Charles J.; Lerman, Jerrold; Anderson, Brian J., 편집.,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A Practice of Anesthesia for Infants and Children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1129–1145.e5쪽, doi:10.1016/b978-0-323-42974-0.00049-5, ISBN 978-0-323-42974-0,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