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파멸 인격장애
자기파멸 인격장애(self-defeating personality disorder) 혹은 가학적 인격장애(masochistic personality disorder)는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로 분류할 것이 제안되고 있는 장애이다. 1987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제3판인 DSM-III-R 부록(appendix)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편람에 편입된 적은 없다. 그 대안으로 특정불능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진단은 사용되고 있다틀:Dubious-span. 특성 특정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trait specified, PD-TS) 미래 버전으로 제안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와 이론가들은 DSM-III-R 기준을 계속 사용한다. 공식 진단 코드 번호(official diagnostic code number)는 301.90 (personality disorder NOS)이다.[1]
진단
[편집]추가 평가를 위한 DSM III-R에 제안된 정의
[편집]자기파멸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다.
- A) 자기 파멸적 행동(self-defeating behavior)이 만연한 유형, 초기 유년기에 발병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한다. 유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격하하고, 고통스러운 상황이나 관계로 끌려가거나, 타인의 도움을 막기도 한다. 다음 중 5개 이상 해당한다.
- 실망, 실패, 학대를 야기하는 사람이나 상황을 선택, 더 좋은 옵션이 가능한데도 그러함
- 타인의 도움을 거절하거나 잘 안 되게 방해함
- 새로운 성취 등 긍정적인 개인적 사건 이후에 우울(depression), 죄책감(guilt), 사고 등 고통을 야기하는 행동으로 반응
- 분노를 일으키거나 타인의 반응을 거절, 이후 고통, 패배감, 모욕감(남 앞에서 배우자를 놀림, 말대꾸를 일으킴, 이후 비통함을 느낌)
- 적당한 사회적 기술을 갖고 있고 유쾌한 경험을 수용할 능력이 있음에도, 유쾌한 경험의 기회를 거절하고나 자기가 즐거워지는 걸 알려 하지 않음
- 어떤 일의 능력을 이미 보였음에도, 개인적 목적에 중요한 과업을 달성하지 못함(예 : 동료 학생들의 글쓰기를 도움, 그러나 자기 글을 못 씀)
- 자기에게 끊임없이 잘 대해주는 사람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그런 사람을 거절함
- 희생의 수혜자로 지목한 사람이 요청하지 않은 과도한 자기희생(self-sacrifice)
- 유쾌한 경험을 피하거나 격하함, 유쾌한 경험의 기회를 피함
- B) A에 기재돤 행동들은 신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가 발생하거나 그런 상황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단독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 C) A에 기재된 행동들은 우울할 땐 일어나지 않는다.
DSM-IV에서의 배제
[편집]역사적으로 피학증(masochism)은 여성의 순종(submissiveness)과 연관되어 왔다. 대개 남성에 의해 야기되는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과 연관되어 있을 때, 이 장애는 정치적으로 논쟁이 분분하다.[2]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서는 이 장애가 흔하다고 제안한다.[3][4] 1994년 DSM-IV에서 배제되었음에도, 의사들 사이에서는 자기파멸 인격장애가 인간 행동의 여러 면들을 설명하는 구조로 계속 통용되고 있다.[2]
사회, 직업, 기타 중요 영역에서 병적으로 중대한 고통이나 지장을 일으키는 가피학증(Sadomasochism)은 여전히 DSM-IV에 남아 있다.
밀론 하위유형
[편집]테오도어 밀론(Theodore Millon)은 피학대자(masochist)의 4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각 피학대자마다 아래 하위유형 중 어느 것도 속하지 않거나 하나 혹은 그 이상 속할 수 있다.[2][5]
하위유형 | 설명 | 성격 특성 |
---|---|---|
인덕 피학대자(Virtuous masochist) | 연극성 인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의 연극성(histrionic) 특성 포함 | 비이기적인 것을 자랑스러워함, 자기부정(self-denying), 자기희생; 자기금욕적인 행동; 부담을 지는 것은 고귀하고 정의로우며 성스러운 것으로 인식; 타인은 자신의 충심과 진심을 알아줘야 함; 이타주의와 인내에 부응하는 감사 표시 및 진가 인정 |
소유 피학대자(Possessive masochist) | 수동-공격성 인격장애(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의 부정적(negativistic) 특성 포함 | 질투를 유발하거나 과잉보호하거나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되어 타인을 유혹하거나 유인함 ; 타인의 결함에 희생하여 타인을 덫에 걸리게 하고 통제하며 정복하고 노예처럼 부려 지배함; 의무적인 의존성으로 통제 |
자기무효화 피학대자(Self-undoing masochist) | 회피성 인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의 회피성(avoidant) 특성 포함 | "성공에 지친(wrecked by success)"; "패배를 통한 승리(victory through defeat)"; 개인적 불운, 실패, 모욕, 고난에 만족; 최적의 이익 회피; 희생자가 되거나 망하거나 망신 당하길 택함 |
학대 피학대자(Oppressed masochist) | 우울성 인격장애(Depressive personality disorder)의 우울적(depressive) 특성 포함 | 비참, 절망, 고난, 고통, 고뇌, 질병을 실제로 경험함; 타인에게 죄책감을 만드는데 불만거리 사용; 책임 면제와 학대자(oppressor)에게 짐을 지우는 것을 통해 배출하는 격노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avris, Carol (1993). 〈Misdiagnosing the Mind〉. 《The mismeasure of woman》. New York: Simon & Schuster. 181쪽. ISBN 0-671-79749-2.
- ↑ 가 나 다 Theodore Millon; 외. (2004년 11월 8일).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2판. Hoboken, N.J.: Wiley. 86쪽. ISBN 978-0-471-66850-3.
- ↑ Kass, Frederic (June 1987). “Self-Defeating Personality Disorder: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1 (2): 168–173. doi:10.1521/pedi.1987.1.2.168.
- ↑ Reich, J (January 1987). “Prevalence of DSM-III-R self-defeating (masoch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normal and outpatient populations.”. 《J Nerv Ment Dis》 175 (1): 52–4. PMID 3806073.
- ↑ “Millon, Theodore – Personality Subtypes”. 2013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