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분청사기인화문태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의 국보 | |
![]() | |
지정번호 | 국보 제177호 (1974년 7월 9일 지정)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박물관 |
제작시기 | 조선시대, 15세기 |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粉靑沙器 印花菊花文 胎壺)는 15세기 전반 인화기법을 써서 국화 무늬를 새긴 분청사기 태항아리(胎壺)이다.
왕실의 왕자나 공주의 태를 담던 것으로 내ㆍ외의 항아리를 맞추고 있으며 풍만하고 안정감 있다. 태호의 형태는 외호는 풍만하고 내호는 홀쭉한데, 외호 뚜껑 꼭지에 구멍이 뚫려 있다. 문양은 외호 경우 뚜껑의 낮은 꼭지를 중심으로 국화판 연판문 뇌문대가 차례로 돌려 있으며, 몸통에는 어깨의 연판문을 중심으로 국화문대와 전면에 국화꽃을 인화해 놓았고, 위 아래로 복사문과 연판문대가 나있다. 내호는 뚜껑에 2줄의 귀갑문대가 있고, 몸통에는 국화꽃문이 가득 인화되어 있다. 유약은 담청을 머금은 회청색의 분청유이며, 뿌연 느낌이 있다. 1970년 고려대학교 구내에서 건축공사를 하던 중 발견되었으며, 이 항아리를 넣었던 석함도 남아 있다.
같이 보기[편집]
- 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2호,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참고 자료[편집]
-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이 글은 미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