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공시최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시최고절차에서 넘어옴)

다음은 공시최고(公示催告) 절차에 관한 설명이다.

분명하지 아니한 상대방이나 이해관계자에게 일정한 기간 내에 권리·청구의 신고를 하지 아니하면 실권(失權)될 것을 공고(公告)하는 재판상의 독촉통지를 말하며 그 요건을 법률로 정한 경우에 한하여 할 수 있다(민법 제521, 524조, 상법 제360, 부동산등기법 제167조 등). 공시최고의 신청에는 그 신청의 이유와 제권판결을 청구하는 취지를 밝혀야 하며 법원의 공시최고의 허부(許否)에 대한 판결은 결정으로 하되 허가하지 아니하는 결정에 대하여 신청인은 즉시항고할 수 있다. 신청을 허가한 때에는 법원은 공시최고를 해야 하는데 그 방법은 기재요건(제479조)을 갖추어 대법원규칙(민사소송규칙 제142조)이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제480조). 공시최고의 기간은 공고가 끝난 날로부터 3월 뒤로 정하여야 하는데(제481조) 이 기간중에 신고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그 권리에 관한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공시최고절차를 중지하거나 신고한 권리를 유보하고 제권판결을 하여야 한다(제485조).

제권판결[편집]

공시최고 신청인의 신청에 의하여 법원이 내리는 실권선언. 공시최고의 신청인은 공시최고기일에 출석하여 그 신청의 원인과 제권판결(除權判決)을 구하는 취지의 진술을 해야 하며 법원은 이유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제권판결을 선고, 그 요지를 신문에 공고하여야 한다. 제권판결에 대하여는 상소를 할 수 없으나 불복이 있는 사람은 일정한 경우(제490조 2항)에 한하여 신청인에 대한 소로써 최고(催告)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공시최고절차"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