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음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음문자(表音文字, phonogram)는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소리글자라고도 한다.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음소에 대응하는 음소 문자와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로 나뉜다.

표음문자와 표음성

표음문자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표음성이다. 표음성은 어떤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우수성이나 언어의 우수성과는 전혀 무관하다. 표음성은 철자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영어는 표음성이 많이 떨어지는 언어다. 영어의 경우 언어의 발음이 수백 년간 달라진 것에 비해 철자법이 거의 변하지 않았고, 한국어는 한글 창제 당시의 표음성이 지금은 거의 사라졌고, 근대사회 이후 형태학적 철자법으로 세계적으로 표음성이 낮은 언어에 속한다.

세계의 수많은 언어들 중에도 표음성이 좋은 언어는 많지 않다. 세계 언어들 중 산스크리트어(Sanskrit), 조지아어(Georgian), 에스페란토(Esperanto), 바스크어(Basque), 세르비아어(Serbian), 크로아티아어(Croatian), 핀란드어(Finnish), 한글(Hangul)이 표음성이 높은 언어(문자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들 언어의 특징은 문자언어에서 음성언어에 대응되는 적합한 철자법(맞춤법)을 사용한다는데 있다.

참조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