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동나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777sms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5월 13일 (월) 01:46 판 (→‎바깥 고리: using AWB)
오동나무
꽃 핀 오동나무(서울 남산 아래, 2008년 5월)
꽃 핀 오동나무(서울 남산 아래, 2008년 5월)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꿀풀목
과: 오동나무과
속: 오동나무속
종: 오동나무
학명
Paulownia coreana
Uyeki, 1925

오동나무(梧桐--)는 한국 원산의 꿀풀목 오동나무과의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다. 붉동나무, 오동이라고도 한다.

생태

한국에서는 평안남도·경기도 이남에 주로 분포하며 집 근처와 빈터에 심는다. 키는 10~15m쯤 되며 지름은 60-90㎝ 정도로 자란다. 길이 15~23cm, 너비 12~29cm 되는 큼지막한 오각형 모양의 잎이 마주난다. 잎 밑이 심장형으로 패여 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앞면에는 털이 거의 없고 뒷면에는 잔털이 있다. 5-6월 무렵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종 모양의 연보라색 통꽃이 피는데 향기가 진하다. 끝이 다섯 갈래로 불규칙하게 갈라져 있다. 꽃 길이는 6㎝ 정도로 옅은 자주색을 띠며 털이 있다.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인 열매는 삭과로 길이는 3cm로 여러 개가 모여 열리는데, 10월에 익어서 두 조각으로 갈라진다.

쓰임새

오동나무는 빨리 자라므로 심은 지 10년이 되면 목재를 이용할 수 있다. 목재는 나뭇결이 아름다우며 재질이 부드럽고 습기와 불에 잘 견디며, 가벼우면서도 마찰에 강해 책상·장롱 등 가구를 만드는 좋은 재료이다. 예전에는 딸을 낳으면 오동나무를 심어 혼수를 대비하기도 했다. 또한, 목재가 소리를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 거문고·비파·가야금 같은 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쓴다. 오동은 울림이 좋아 악기의 재료로 삼기에 으뜸인 나무다.[1] 한방에서는 줄기와 뿌리 껍질을 동피(桐皮) 도는 백동피(白桐皮)라 하여 치질, 타박상, 삔, 상처, 악성 종기 따위에 약으로 쓴다. 오동나무는 정원에 관상수로 심기도 한다.

사진

참고 자료

주석

  1. 전라도닷컴 2011.12월호 "궁극의 공명을 향하여"
  2. 윤주복. 《나무 쉽게 찾기》 초판. 서울: 진선출판사. 109쪽. ISBN 9788972214144. 

바깥 고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