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경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37년의 패닉

거품 경제(영어: bubble economy)는 부동산이나 주식을 비롯한 시가 자산의 가격이 투기에 의해 상승하고 자산 가격 상승이 유인되어 새로운 합작을 끌고 있는 상태의 경제를 말한다. 어원은 18세기 영국에서 남해 거품 사건에서 기인한다.

개요

거품 경제는 실물 경제경제 성장 이상의 속도로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이며, 지속 불가능한 합작에 의해 만들어 낸 경제 상황이다.

토지와 주택, 주식 등 가격이 정해지지 않은 시가 자산은 거래 때마다 시시각각 약정 가격을 변화시킨다. 시가 회계에서는 시가 자산의 자산 가치는 최근의 약정 가격으로 시가 자산 총량을 걸쳐 맞춘 것이며, 시장의 거래가의 변화가 회계상, 사회 전체의 시가 자산 총액을 크게 변화시킨다.

자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공급이 부족한 국면에서는 자산 구매자 수가 판매자 수를 웃돌아, 자산 가격이 상승한다.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자산 재판매의 판매 수익(자본 이익)을 요구하는 투자자 금융 기관의 자산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자산 가격이 상승한다. 자산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소비자의 갑작스런 수요가 소비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고, 시장 자산 증가에 따른 장부상의 자산 증가 요인으로 소비가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어 소비자의 소비 수요 증가, 투자자에 의한 투자 수요의 증가가 발생하여 연쇄적으로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자산 인플레이션이 생긴다. 이 시기가 거품이다.

한편, 자산 가격이 소비자의 구매력을 크게 웃돌았을 때, 혹은 시장의 자산 공급량이 소비자의 실수요를 크게 상회할 때, 자산 구매자 수가 판매자 수를 밑돌 때, 자산 가격 하락은 시작한다. 투자 금융 기관은 거래 손실(자본 손실)을 피하기 위해 일제히 자산을 매각하고, 자산 가격이 급락한다. 시가 자산 폭락의 회계, 국가 자산 급감과 새로운 자산 가격 하락을 예상한 소비자의 기다림을 통해 자산 수요가 급감, 자산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진다. 이것이 버블 붕괴이다.

버블 붕괴는 부실 채권 문제를 수반한다. 이것은 버블 기에 시가 자산의 상승으로 팽창한 법인 금융 자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환불 불가능한 대출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버블 붕괴로 자산 가격이 하락하자, 남은 부채 상환의 대차대조표 조정은 투자의 침체를 초래한다. 이렇게 거품 경제가 실물 경제에 좋은 영향을 준 것과 같이 버블 붕괴는 실물 경제에 큰 타격을 주게 된다. 1929년 미국발 대공황1990년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등이 그 전형이다.

투자자의 행동과 거품 경기의 상관성

투자에 따른 이익은 채권 구입이나 대출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금리수익, 즉 배당이익 및 토지와 주식과 회화를 판매하여 얻어지는 판매 이익(자본 이득)으로 나뉜다. 자산 버블은 자본 투자에 기인한다. 채권 구매와 기업 회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금리 수익은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는 대신 낮은 이익(low risk low return)으로 금융전문가는 보유한 금융 기술을 이용하지 못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쟁 이데올로기의 근원인 금융가는 예금자, 출자자에게 고위험, 고수익을 요구하여 버블을 부추기는 행동에 나설 것이다.

거품 경제의 예방

자유로운 시장 거래에서 주식의 적정 가격은 투자하는 곳에 시장 참가자 중 누구도 알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한 기대와 실망이 군집붕괴를 일으켜 버블과 위기를 발생시킨다. 후생 경제에서는 확장기에는 주로 물가의 상승을 일으키고, 수축기(공황기)에는 소비와 투자의 침체, 실업의 확대가 문제가 된다. 물가와 임금의 통제, 경제 계획의 운용은 위기 발생을 미연에 방지 유망한 수단이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반드시 경제 후생을 높이는 것이 아니었다.


버블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는 주식이나 토지 등의 가격변동에 의한 매매 수익을 계획하는 투자 행동, 특히 대체 투자를 제한하는 시장의 자유로운 거래 형태를 제한하며, 행정부나 공기관이 거래 룰에 관여하는 공적 연금 자본이나 중앙은행에 의한 발표나 개입, 정책 금리나 세제에 의한 관여 등이 행해진다. 근래에는 기관투자가의 자기매매와 성공보수형의 보장 제도가 과잉인 리스크 머니를 가져오고 있다고 비판되고 있다. 시가 회계 주의에 의한 재무 지침을 취득원가주의에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것에는 오히려 시장의 투명성을 없애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 대체 투자에서는 과잉인 레버리지(leverage)가 스톱 로스(stop-loss) 오더에 의한 비정상인 가격변동을 가져오고 있다고 비판받고 있다.

행정부와 국회에 의한 공적 관여에 대해서도 정부 실패의 문제가 버블의 발생(시장실패)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다. 정책 금리와 재할인율은 거시 경제를 유도하는 강력한 정책 수단이다. 그러나 경제의 자연 성장률(자연 이자율)도 시장 참가자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하는 것이며, 국회의 간섭이나 당국의 오판 진단에 의해 유도 금리와 자연 이자율과 장기적으로 간섭하여 버블과 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 목표 면담은 인위적인 정책 금리에 대한 간섭을 없애라는 주장이지만, 그 효과가 역사적으로 입증된 단계는 아니다.

캐리(carry) 트레이드의 존재도 중요하다. 선진국은 인구 정체와 저성장으로 인해 시중 금리가 침체되는 반면, 신흥국에서는 캐치업의 고성장이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어 선진국의 저금리 단기자금을 재조합하여 장기자금을(장단기 스왑) 신흥국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항의 발생 등으로 선진국의 시중금리가 급등함으로써 신흥국에 투자 자금이 인상되어 통화가 급락하는 등 혼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아시아 통화 기금국제 통화 기금 등에 의한 국제 지원 체계가 있지만, 이것이 혼란을 예방하는 것은 아니다.

거품 경제의 여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