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2016년 동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최초 발생일 1월 7일(중태평양 역사상 가장 빠른 시작)
소멸일 11월 26일
열대 저기압 소멸일 -
발생(명명)수 동태평양 : 열대저기압 22개, 열대폭풍 21개, 허리케인 12개, 메이저 허리케인 6개
중태평양 : 열대저기압 1개, 열대폭풍 1개, 허리케인 1개[1]
사망자수 -
재산 피해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연도별 문서
2015년 2016년 2017년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2016년 동태평양 허리케인 (2016 Pacific hurricane season) 은 2016년 동태평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들을 기록한 문서이다. 동태평양 허리케인은 주로 5월 15일에서 11월 30일 사이에 발생하나, 중태평양 제1호 허리케인 팔리처럼 연중 어느 때나 발생할 수 있다. 1월 7일 중태평양 제1호 허리케인 팔리를 시작으로 9월 15일 현재 중태평양에서는 1개의 허리케인이 발생하였다. 동태평양에서는 6월 6일 제1호 열대저기압의 발생을 시작으로, 11월 29일 현재 21개의 열대폭풍, 12개의 허리케인, 6개의 메이저 허리케인이 발생하였다.

타임라인[편집]

SHSS[편집]

Hurricane OttoHurricane Newton (2016)Hurricane Madeline (2016)Hurricane Darby (2016)Saffir-Simpson Hurricane Scale

활동한 허리케인[편집]

동태평양[편집]

제1호 열대폭풍 애거사[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일 ~ 7월 5일
최저 기압 1003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0m/s (40kt; 75km/h)
태풍 피해 -

제2호 메이저 허리케인 블라스[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3일 ~ 7월 10일
최저 기압 94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3호 허리케인 실리아[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6일 ~ 7월 16일
최저 기압 97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5m/s (85kt; 155km/h)
태풍 피해 -

제4호 메이저 허리케인 다비[편집]

3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1일 ~ 7월 26일
최저 기압 96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0m/s (100kt; 185km/h)
태풍 피해 -

제5호 열대폭풍 에스텔[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15일 ~ 7월 22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60kt; 110km/h)
태풍 피해 -

제6호 허리케인 프랭크[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1일 ~ 7월 28일
최저 기압 979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0m/s (75kt; 140km/h)
태풍 피해 -

7월 26일 오후 3시에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여, 2016년은 북동태평양 7월 관측 사상 가장 많은 허리케인이 발생한 해로 기록되었다.[2]

제7호 메이저 허리케인 조젯[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21일 ~ 7월 27일
최저 기압 95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15kt; 215km/h)
태풍 피해 -

제8호 열대폭풍 하워드[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7월 31일 ~ 8월 3일
최저 기압 999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제9호 열대폭풍 이벳[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일 ~ 8월 8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5m/s (50kt; 95km/h)
태풍 피해 -

제10호 열대폭풍 하비에르[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7일 ~ 8월 9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55kt; 100km/h)
태풍 피해 -

제11호 열대폭풍 케이[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18일 ~ 8월 23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3m/s (45kt; 85km/h)
태풍 피해 -

제12호 메이저 허리케인 레스터[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4일 ~ 9월 7일
최저 기압 94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20kt; 220km/h)
태풍 피해 -

제13호 메이저 허리케인 매들린[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8월 26일 ~ 9월 3일
최저 기압 95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0m/s (115kt; 215km/h)
태풍 피해 -

제14호 허리케인 뉴턴[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4일 ~ 9월 7일
최저 기압 979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0m/s (80kt; 150km/h)
태풍 피해 -

제15호 허리케인 올린[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1일 ~ 9월 17일
최저 기압 96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0m/s (95kt; 175km/h)
태풍 피해 -

제16호 허리케인 페인[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18일 ~ 9월 21일
최저 기압 97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0m/s (80kt; 150km/h)
태풍 피해 -

제17호 열대폭풍 로즐린[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5일 ~ 9월 29일
최저 기압 100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3m/s (45kt; 85km/h)
태풍 피해 -

제18호 허리케인 울리카[편집]

1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9월 26일 ~ 9월 30일
최저 기압 992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5m/s (65kt; 120km/h)
태풍 피해 -

이 허리케인은 9월 26일 오후 3시경 동태평양 해역에서 제19호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경계인 서경 140도 근처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발생 직후 그 경계선을 통과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점차 발달하여 9월 27일 오전 9시에 열대폭풍으로 지정되었는데, 당시 경도가 서경 140.4도로 중태평양 해역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태평양 이름 "울리카" (Ulika)로 명명되었다. 이후 점차 전향하기 시작하면서 6시간 후 다시 서경 140도선에 도달하여 동태평양 해역으로 이동하였다. 한편 윈드 시어가 점차 감소하는 등 주변 환경이 발달에 용이해져 울리카는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고, 결국 9월 28일 오전 9시 울리카는 하와이주 힐로 동남동쪽 약 1830 km 부근 해상에서 1분 평균 최대풍속 65 kt, 최저기압 992 hPa의 1등급 허리케인으로 잠시 발달하였다. 그러나 머지않아 다시 윈드 시어가 증가하면서 최성기의 세력을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오후 3시 다시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이 무렵 다시 서쪽으로 전향하기 시작했고, 약화되던 열대폭풍 울리카는 9월 29일 저녁 9시경 세 번째로 서경 140도 선을 통과하였다. 울리카는 강한 윈드 시어로 대류운이 대부분 사라지면서 9월 30일 오전 9시에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고, 6시간 후 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이 저기압은 서진하다가 10월 1일 0시경 기압골로 약화되어 소멸하였다

제19호 메이저 허리케인 시모어[편집]

4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0월 23일 ~ 10월 28일
최저 기압 943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65m/s (130kt; 240km/h)
태풍 피해 -

제20호 열대폭풍 티나[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13일 ~ 11월 14일
최저 기압 100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 (35kt; 65km/h)
태풍 피해 -


제21호 열대폭풍 아토[편집]

열대폭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1월 25일(북대서양에서 이동) ~ 11월 26일
최저 기압 994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0m/s (55kt; 100km/h)
태풍 피해 -

열대폭풍 오토는 1996년 허리케인 시저-더글러스 (Cesar-Douglas) 이후 처음으로 열대 저기압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한 채 북대서양에서 동태평양으로 이동한 최초의 열대 저기압이다.[3] 한편 북대서양 제15호 허리케인이었던 오토가 동태평양에 진입하면서 동태평양 21호 열대폭풍으로 지정되었다.[4] 그러나 윈드 시어가 예상보다 오토에 크게 작용하여 급격히 약화되며 다음 날 기압골로 약화되어 소멸하였다.[5]

중태평양[편집]

제1호 허리케인 팔리[편집]

2등급 허리케인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1월 7일 ~ 1월 15일
최저 기압 977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5m/s (85kt; 155km/h)
태풍 피해 -

기타[편집]

2015년 12월 31일에 발생한 제9호 열대저기압이 이 해 1월 1일까지 활동하다가 소멸하였다. 이 열대저기압의 남은 에너지와 수분이 허리케인 팔리의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각 등급별 개수는 열대 저기압이 최초로 발생한 해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따라서 실제 그 등급에 도달했을 때의 해역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케인 울리카는 동태평양에서 열대저기압으로 지정되었으나, 중태평양 해역에 진입한 후에 열대폭풍으로 지정되었다. 이 경우 허리케인 울리카를 중태평양이 아닌 동태평양에서 발생한 것으로 한다는 것이다. 다만 열대폭풍 오토처럼 북대서양에서 발생하여 동태평양으로 진입한 경우 또는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중태평양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새로운 열대 저기압으로 간주, 최초로 진입한 해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2. Eric Blake (2016년 7월 26일). “HURRICANE FRANK DISCUSSION NUMBER 20”.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3. Jeff Masters, Bob Henson (2016년 11월 24일). “Cat 2 Otto Slams Nicaragua, Costa Rica; Strongest Late-Season Hurricane on Record” (영어). Weather Underground. 2016년 1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6일에 확인함. 
  4. Jack Beven (2016년 11월 25일). “Tropical Storm Otto Discussion 17”.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2016년 11월 26일에 확인함. 
  5. Lixion Avila (2016년 11월 26일). “Remnants of Otto Discussion 24”.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6. Bob Henson (2016년 1월 7일). “Rare January Depression in Central Pacific; Atlantic Subtropical Storm Next Week?” (영어). Weather Underground. 2016년 7월 20일에 확인함.